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생물
병균
세균
박테리아
미소동식물
여과성병원체
바이러스
뉴스
"
병원균
"(으)로 총 288건 검색되었습니다.
핵전쟁부터 AI까지 인류 생존 위협하는 10가지 위험
연합뉴스
l
2018.11.06
수 있게 됐다. 빈 군축비확산센터 수석연구원 안젤라 케인은 생물무기로 사용된
병원균
이 전염병으로 이어지면 생물무기는 지구적 재앙을 초래할 수 있다고 했다. 화학무기는 생물무기보다 덜 치명적일 수 있지만 상수원 등에 투입된다면 광범위한 지역을 오염시킬 수 있는 것으로 지적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항생제 안 듣는 내성균 물리칠 신약
동아사이언스
l
2018.09.16
개발하더라도 계속해서 변형을 해야만 했다. 이런 가운데 항생제에 강한 내성을 가진
병원균
에 대항할 수 있는 새로운 무기가 개발됐다. 미국의 생명공학기업인 지넨테크의 피터 스미스 박사팀이 이끈 연구팀은 박테리아의 외벽을 새로운 방식으로 파괴할 수 있는 신약 후보물질인 ‘G0775’를 ... ...
박쥐는 왜 메르스에 안 걸릴까?
2018.09.11
능력으로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인터페론은 감염 뒤 생성되는 단백질입니다. 그러나
병원균
에 감염되지 않은 박쥐의 조직과 세포에서 지속적으로 인터페론이 생성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박쥐의 경우 감염에 지속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것이죠. 하지만 다른 종에서 ... ...
[메르스 비상] 27개국 퍼진 메르스…50~70대 남성 취약
동아사이언스
l
2018.09.09
보고해 조치를 받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메르스는 낙타 등의 동물 뿐만 아니라
병원균
을 가진 사람을 통해서도 전염될 수 있는 병이다. 사실상 만나는 모든 사람을 의심하고 조심하긴 어렵기때문에 동물을 접촉하는 상황을 특히 유의 관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WHO는 “동물에서 사람으로 ... ...
[과학 읽어주는 언니] '빨간약' 포비돈 요오드, 진짜로 만병통치약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16
상처를 소독하는 용도로도 쓰였다. 그런데 치명적 단점이 하나 있었다. 요오드가
병원균
과 피부세포를 가리지 않고 파괴해 환자에게 극심한 통증을 일으켰기 때문이다. 요오드가 지금처럼 소독제의 대명사로 알려지게 된 건 혈장 대용액으로 개발된 합성 고분자화합물인 ‘포비돈’을 ... ...
[과학 읽어주는 언니] 포경수술 할까, 말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7.19
막는 역할을 한다 반대론자들은 포경수술을 하면 오히려 성관계 중 찰과상이 생겨
병원균
침투가 쉬워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HIV 감염이나 성병 발생은 포경수술보다는 평소 성생활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1999년 미국소아과협회는 일상적으로 권할 정도로 신생아 ... ...
UNIST, 만성질환 원인
병원균
생물막 먹어치우는 박테리아 특성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07.05
몸이 피곤하거나 영양분이 부족할 때, 입술이 트고 갈라져 피가 나오거나 심하면 대상포진에 걸린 듯 울긋불긋 부풀어 입을 다물기도 어려워진다. 몸이 약해지면 입술 주변에 있던 포도상구균이 급격히 증식해 감염을 일으키는 것이다. 입술 뿐 아니라 위나 소장 같은 장기에도 상주하는 균이 있어 ... ...
대변의 활약....한국인 장(腸)내 미생물 Top4를 알아보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6.11
3.8%) : 인체를 포함한 다양한 환경에서 사는 미생물들. 대장균, 살모넬라, 비브리오 등의
병원균
들이 이에 속한다. 프로테오박테리아 - NIAID 제공 4위. 악티노박테리아(2.4%) : 생후 6개월 이하 유아에게 가장 많이 발견되는 미생물. 크면서 장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점점 줄어든다. 유산균인 ... ...
[표지로 읽는 과학] 세계 개구리 멸종 몰아간 곰팡이, 한국에서 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12
의한 감염을 양서류의 위험 질병으로 꼽았다. 연구팀은 그럼에도 계속해서
병원균
이 퍼져나가고 있는 점을 지적하며, 국제무역의 검역을 보다 엄격하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사이언스지 5월 11일자에서 확인할 수 있다 ... ...
세균도 촉각이 있다
과학동아
l
2017.12.21
거의 알지 못한다”며 “카울로박터는 병원성이 없지만, 이번 연구 결과를 인간
병원균
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0월 27일자에 실렸다. doi:10.1126/science.aan535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