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뉴스
"
박테리아
"(으)로 총 733건 검색되었습니다.
10만년전 조상부터 현생 인류까지 잇는 역대 최대 규모의 '인류 족보'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28
연구팀은 개발한 알고리즘은 인간 외 다른 생물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연구팀은 “
박테리아
부터 오랑우탄까지 모두 적용 가능하다”며 “진화의 역사를 명확히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집단유전학자인 정충원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현재 수준에서 가장 완벽한 유전체 정보에 ... ...
[인터뷰] 생체 모방으로 탄생한 친환경 약물 패치
과학동아
l
2022.02.26
바이오 에너지와 친환경 유기 소재를 만드는 연구에도 도전하고 있다. 그는 “전기를 띤
박테리아
를 화학적으로 조작해 바이오 에너지를 생산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며 “전 주기 관점에서 환경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친환경적인 고분자를 만들고 싶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
항생제 내성 세균은 독성 물질을 어떻게 밀어낼까
연합뉴스
l
2022.02.22
막 채널을 통과하게 안내하는 촉수와 비슷한 일을 했다. 2분자체로 합쳐진 EmrE는
박테리아
세포 안에 있던 독성 분자를 밖으로 운반했다. 이때 세포 안은 중성 페하(neutral pH)지만 밖은 산성이었다. 세포막을 사이에 두고 이렇게 페하(수소 이온 농도 지표)가 다른 게 EmrE 구조에 영향을 미쳤다. ... ...
[지구는 살아있다] 세균이 만든 산소, 지구를 숨쉬게 하다
2022.02.19
지구를 산소로 채우다 스트로마톨라이트를 세로로 잘라보면 퇴적물과
박테리아
가 차곡차곡 쌓이며 만든 ‘엽층리’라는 무늬가 나타난다. 셔터스톡/어린이과학동아DB 최초의 바다가 갓 만들어진 약 38억 년의 지구로 돌아간다면 아마 숨도 쉬지 못할 것입니다. 지구가 만들어진 후 약 10억 년 ... ...
미세플라스틱 '자폐스펙트럼' 유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17
미생물분석법인 ‘메타지노믹스 분석 기법’을 통해 자폐스펙트럼 장애 환자와 동일한
박테리아
변화도 관찰할 수 있었다는 게 연구팀 설명이다. 김 선임연구원은 “플라스틱 폐기물이 먹이사슬을 거쳐 식탁에 다시 오르는 심각한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며 “자폐스펙트럼 장애 뿐 아니라 다른 ... ...
딥러닝 기법으로 수십초 내 98% 정확도로
박테리아
검출
연합뉴스
l
2022.02.10
등 다양한 환경 내 대장균과 표피 포도상구균의 신호를 학습해 최대 98% 정확도로
박테리아
를 검출·구분했다. KAIST 조성호 교수는 "의료·식품 안전 분야로 확장해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바이오센서 및 바이오일렉트로닉스'에 지난달 18일 온라인 ... ...
슈퍼
박테리아
퇴치 원리 규명…신개념 항생제 개발 단서
연합뉴스
l
2022.02.10
이봉진 교수는 "빠른 대처가 필요한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뿐만 아니라 다른 슈퍼
박테리아
관련 신개념 항생제를 설계할 수 있는 실마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핵산 연구'(Nucleic Acids Research)에 게재됐다. ... ...
북극 극한 바다서 300년 산 해면 먹이는 수천년 전 생물 화석
연합뉴스
l
2022.02.09
확인했다. 연구팀은 해면이 화석화한 생물의 잔해를 분해할 수 있는 효소를 제공하는
박테리아
의 도움을 받아 이를 먹이로 삼아온 것으로 제시했다. 해면과 생물 화석의 질소와 탄소 동위원소가 같은 것이 결정적 단서가 됐다. 논문 제1저자인 해면 전문가 테레사 모간티 박사는 "해면이 고대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생물의 이름에 남겨진 보통과학자의 기억
2022.01.27
있다. 학자마다 추정치는 300만에서 1억 종으로 다르지만, 여기에 진정한 지구의 지배자인
박테리아
를 더하면 미생물의 종류만 1조가 넘어갈 것이라고 추측이 가능하다. 만약 추정치를 멸종한 생물 모두로 넓히면 수백조가 넘는 생물이 지구 상에 살아왔고, 또 살아가고 있는 셈이다. 서구 기독교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유전자와 생명의 이름에 숨겨진 이야기들
2022.01.13
전통적인 학문의 틀 안에서 융합된 여정이다. 분자생물학은 처음엔 대장균이라는
박테리아
를 중심으로 유전자의 기능을 연구하는 학문이었고, 1960~1970년대를 거치며 인간의 암세포 연구와 생쥐유전학과 빠르게 결합하며 발전해나갔다. 분자생물학의 패러다임에 익숙하지 않던 초파리 유전학이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