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뉴스
"
박테리아
"(으)로 총 733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쉬운’ 과학용어보다 ‘익숙한’ 과학용어가 더 중요하다
2022.09.28
endemic)‧에피데믹(epidemic)은 아무리 들어도 낯설 뿐만 아니라 서로 구분하기도 어렵다. ‘
박테리아
’(bacteria)는 오래 전부터 쓰던 외래어이지만 아직도 ‘세균’(細菌)이라는 한자어가 훨씬 더 쉽게 느껴진다. 영어권의 외래어를 표기하는 일도 만만치 않다. 2002년에 유행했던 ‘SARS’ ... ...
[과기원은 지금] 강주헌 UNIST 교수팀 혈액정화 치료법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27
효과적이고 범용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다제내성균과 사람의 분변에 존재하는 다양한
박테리아
135종을 99% 제거할 수 있으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변이들도 제거 가능하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스몰’ 온라인판에 7일 공개됐다. ■ 포스텍(POSTECH)은 이대수 물리학과 ... ...
박테리아
보다 작은 생체 구조 3D 이미지 얻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02
간 거리가 850nm(나노미터, 10억분의 1미터) 정도 떨어져있는 것도 구분할 수 있을 정도다.
박테리아
크기가 1000nm(1μm) 정도다. 측정한 홀로그래피 정보를 보정해 다중 깊이의 3D 이미지도 복원할 수 있는데 물체 간 깊이가 14μm정도 떨어져 있는 것도 구분할 수 있다. 최원식 부연구단장은 ... ...
원숭이두창 감염자 회복속도 높이는 약물 첫 임상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2.08.24
호비 옥스퍼드대 교수는 "환자의 약 10%는 꽤 끔찍한 합병증으로 병원에 입원한다”며 “
박테리아
감염, 뇌염에 걸리거나 드물게 사망에 이르는 경우도 있다”고 전했다. 이어 “원숭이두창에 대해 입증된 효과적인 치료법은 없다”면서도 “테코비리마트는 건강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안전한 ... ...
비료 물 적게 써도 수확량 그대로...친환경 농업시대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22
밝혔다. 그런 뒤 화합물에 대한 유전자 교정을 진행했다. 공기 중 질소를 흡수하는
박테리아
가 포함된 생물학 생성을 촉진하는 화합물이 벼에서 생성되도록 한 것이다. 그 결과 유전자 교정한 벼는 질소 비료를 사용하지 않고도 질소 비료를 사용한 벼와 동일한 생육 상태를 보였으며 수확량도 ... ...
[표지로 읽는 과학] 세포 사이 계면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2.08.13
노력해왔다. 잉마르 리델크루세 미국 애리조나대 분자세포생물학과 교수 연구팀은
박테리아
가 생성하는 부착소를 기반으로 한 시스템을 만들어냈다고 이날 네이처에 공개했다. 연구팀이 만든 시스템은 ‘4색 정리’를 기반으로 한다. 4색 정리는 서로 인접한 두 나라를 다른 색으로 칠한다고 할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스타벅스 캐리백 논란...엄습한 발암물질 공포
2022.08.03
호들갑을 떨 이유가 없는 것도 그런 이유 때문이다. 방어 메커니즘이 훨씬 취약한
박테리아
에서 확인한 유전독성을 근거로 인체 발암성을 주장하는 식약처의 현실은 몹시 안타까운 것이다. IARC의 분류는 발암성의 강도가 아니라 인체 발암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에 따른 것이라는 사실도 중요하다. ... ...
'모다모다 샴푸' 논란 어디쯤 왔나...
박테리아
실험 결과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22.08.02
샴푸 개발자인 이해신 KAIST 화학과 교수는 지난달 이같은 연구결과를 공개하며 “
박테리아
테스트 수준에서 유전독성 음성을 과학적으로 증명한 것”이라며 “식품의약품안전처에 곧 이 자료를 제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유전 독성이 약하다 혹은 강하다는 정확한 과학적 표현이 ... ...
숙주 체취 바꿔 모기 꼬이게 만드는 바이러스의 영악한 확산전략
연합뉴스
l
2022.07.01
하지만 뎅기나 지카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항균 펩타이드를 많이 만들지 않아 바실루스
박테리아
가 급증하는 것으로 쥐를 통해 확인됐다. 왕 박사는 "이들 바이러스는 숙주 피부의 미생물을 조작해 모기를 끌어들임으로써 바이러스 확산을 꾀한다"면서 이런 전략은 지카나 뎅기와 같은 모기 ... ...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빛 본지 10년...세상에 없었던 치료법이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01
2012년 6월 28일 다우드나 교수가 주도한 국제연구팀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를 통해
박테리아
를 대상으로 한 실험결과를 처음 세상에 내놓은 이후 10년 만에 크리스퍼가 나오기 전에는 생각조차 할 수 없었던 질병 치료법이 두각을 드러내며 잠재력을 폭발시키고 있다. 영국에서는 크리스퍼를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