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뉴스
"
박테리아
"(으)로 총 733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미터 크기 백신 실험실·감염병 조기 알아내는 AI 경보기…다음 팬데믹을 준비하는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2.04.08
코로나19를 뛰어넘는 다음 질병이 또 다시 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 기생충 등 인간이 감염될 수 있는 병원체 약 1400종 중 하나가 언제든 더 심각한 팬데믹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전망이다. 열대 지방에 아직 발견되지 않은 바이러스가 약 160만개나 있을 것이란 연구 결과도 있다 ... ...
반려견 천국 미국 FDA 사료지침까지 만들었지만 알고 있는 애견인 겨우 5%
동아사이언스
l
2022.04.08
게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대부분 애견인은 사료 그릇이 집안의 숨겨진
박테리아
원천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다”며 “이런 위험을 완화하고 적절한 애완동물 사료 보관과 위생을 실천하는 방법을 알면 가정이 더 행복하고 건강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진은 ... ...
박테리아
, 장애물 만나면 더 빨리 헤엄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06
유발 질병 치료법의 개발을 앞당길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온다. 청 교수는 “이번 연구로
박테리아
가 점성력이 큰 유체에서 헤엄칠 때 일어난 일에 대해 이해를 높였다”고 밝혔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공기로 빵을 만든 사람
2022.03.31
질소 산화물이 만들어질 수도 있다. 또는 콩과 식물 등의 뿌리에 존재하는 뿌리혹
박테리아
는 질소 분자를 고정시킨다. 그러나 이런 자연적인 과정에만 맡겨두기에는 인간에게 필요한 농작물을 키우기에 턱없이 부족하다. 이를 해결하려면 인위적으로 비료를 만들어서 공급해야 한다. 그런데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소비자의 안전을 위한 정부와 기업의 책무
2022.03.30
독성을 직접 확인한 것이 아니었다. 기껏해야 동물실험으로 확인한 ‘피부 감작성’과
박테리아
실험으로 추정한 ‘유전독성’을 문제 삼았다. THB가 피부를 자극해서 알러지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는 피부 감작성은 일반적으로 사용 금지의 명분으로 내세우기는 어려운 것이다. ... ...
잘 낫지 않는 세균 감염, 다 이유가 있었다
연합뉴스
l
2022.03.25
환경에서 극심한 스트레스에 직면한다. 체내 환경에 염분이 많거나 강한 산성인 경우
박테리아
는 심한 스트레스를 받는다. 아직 내성이 생기지 않은 항생제가 투여되면 그것도 세균 입장에선 큰 스트레스 요인이다. 이런 스트레스 요인이 세균의 생존에 필요한 주요 경로 가운데 어느 하나만 ... ...
우주인이 길러 먹는 골다공증 막는 양상추
동아사이언스
l
2022.03.22
전환은 외부 DNA 분자가 세포에 도입돼 유전적인 변화가 일어난 것을 의미한다. 연구팀은
박테리아
의 일종인 ‘아그로박테륨’으로 양상추 세포를 감염시키고 거기에 뼈 성장을 자극하는 부갑상선호르몬을 만들어내는 유전자를 집어넣었다. 그 결과 양상추 1kg당 약 10~12mg의 부갑상선호르몬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탄소중립 앞당길 미생물 공장
2022.03.22
다른 아세톤 생성 미생물보다 거의 1000배 더 많았다. 오토에타노게눔이 얼마나 대단한
박테리아
인가를 알 수 있는 대목이다. 탄소발자국을 추적한 결과 기존 화석연료 기반 화학 합성법에서는 아세톤 1㎏을 얻는데 이산화탄소 2.55㎏가 나오는 반면 배출 또는 연소 가스를 먹는 오토에타노게눔 ... ...
수십억 단백질의 비밀 '머신러닝'으로 푼다…이미 680만개 해독
연합뉴스
l
2022.03.03
있지만 일부는 그 기능이 베일에 싸여있다. 빌레쉬는 단백질을 작은 기계에 비유했다.
박테리아
같은 미생물부터 사람 같은 고등 생명체에까지 존재하면서 감염에 맞서 싸우는 일부터 학교에서 치른 시험에서 1등을 하는 일까지 많은 일들을 수행한다는 것이다.' 이런 단백질의 기능을 파악하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2년 전으로 되돌아간 방역시계
2022.03.02
아니다. 실제로 우리 몸의 세포에서 평화롭게 공생하고 있는 ‘프로바이러스’와 ‘프로
박테리아
’도 대단히 많다. 팬데믹이 진행되면 감염성은 커지더라도 독성이 약화된 변종이 등장한다는 주장도 바이러스의 ‘적응’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런 뜻에서 오미크론은 델타보다 훨씬 더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