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버팀목
장대
받침대
대들보
실린더
원통
지주목
뉴스
"
기둥
"(으)로 총 341건 검색되었습니다.
간담이 서늘한 공사 현장 ‘해외 SNS 화제’
팝뉴스
l
2016.12.05
그 카페를 받치고 있는
기둥
하나가 위태롭다. 인부들이 해머로 부수고 있는 것이다.
기둥
하나만 손상되어도 큰 위기 상황이 올 것 같다. 보는 사람의 마음을 졸이게 만드는 스릴러 사진이다. 사진 공개자에 따르면 다행히 사고는 일어나지 않았다고 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 ...
올해 역사 속 과학기술인은 신라시대 불국사 건축자 김대성
2016.11.16
세계문화유산인 이 건축물들은 균형미가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주춧돌과
기둥
이 톱니바퀴 물리듯 맞물리게 하는 ‘그랭이 기법’ 등 지진에 강한 설계 덕분에 이번 경주 지진에도 큰 피해를 입지 않았다. 염 전 교수는 한국 범종에서 아름다운 소리가 나는 이유를 과학적으로 규명했다. ... ...
거꾸로 자라는 땅속 마천루, 지하도시
과학동아
l
2016.11.04
건설비를 기존보다 약 20% 절약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렇게 만든 지하공간의 암반
기둥
을 보강하는 기술도 개발했다. 시멘트와 고분자 유기화합물을 섞어 만든 재료를 강한 압력으로 암반 표면에 뿜어 강도를 보강하고 지하수가 새어 나오지 않게 만든다. 장 선임연구위원은 “지하공간을 만드는 데 ... ...
LA 최고층 ‘335m 압도적인 셀카’
2016.11.03
팝뉴스 제공 도저히 실제라고 믿기 힘들다. 네 사람이 말 그대로 까마득한
기둥
위에서 셀카를 촬영했다. 아무렇지도 않은 표정이다. 두려움도 흥분도 느껴지지 않는 얼굴들이다. 이들은 미국 로스앤젤레스 중심가에 세워지고 있는 ‘월셔 그랜드 타워’의 공사 현장에서 일하는 건설 작업자들이다. ... ...
강릉여행의 시작은 강릉 대도호부 관아에서부터
2016.10.27
풍경(왼쪽 아래), 500살이 넘은 은행나무(오른쪽). - 고기은 제공 1) 정면에 서서
기둥
과
기둥
사이를 유심히 볼 것! 물고기 화반을 발견할 수 있다. 왜 물고기가 새겨져 있는 걸까. 살아서도, 죽어서도 눈을 뜨고 있는 물고기가 보고 있으니 7가지 공무를 공명정대하게 보라는 의미가 담겨 있지 않을까 ... ...
화성 위성에 있는 ‘빌딩 크기 돌
기둥
’
2016.10.21
빌딩을 닮기도 했습니다. 이런 시각적 증거(?)가 있으니, 몇몇 음모론자들에게는 이 돌
기둥
은 부정할 수 없는 문명의 증거가 되는 셈입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 ...
불타는 비행기 앞에서 기념 촬영 ‘미스터리’
2016.10.21
되기 위한 훈련을 받다가 촬영했다는 댓글도 보인다. 그렇게 보면 비행기의 날개가
기둥
으로 받쳐져있다. 사고가 아니라 계획된 화염이라는 추정이 가능하다. 한편 강력한 사실 후보 댓글도 있다. 현장에서는 소방 훈련 중이라는 설명이다. 비행기 화재에 대비해 공항 소방관들이 실시하는 훈련 ... ...
난치병 치료 희망 ‘줄기세포’ 대량으로 키운다
2016.10.11
수 있는 공간을 부족했다. 연구팀은 세포군체 형성을 촉진하는 나노(10억분의 1m) 크기
기둥
을 촘촘하게 만들어 3인치 크기의 실리콘 기판 위에 만들었다. 그리고 이 위에서 iPSC를 배양한 결과 세포 생존율이 두 배 높아지고 세포군체 크기 역시 2.6배 증가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 다 성장한 ... ...
거대한 원형 돌
기둥
은 5000년 전 천문대!
수학동아
l
2016.10.08
가깝게 보였습니다. 연구팀은 이렇게 고대 사람들이 해와 달이 뜨고 지는 시간에 따라 돌
기둥
을 세운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이것으로 천문 관측이 5000년 전부터 이뤄졌다고 말할 수 있게 됐습니다. 연구 결과는 ‘고고학 국제 학술지’ 8월 8일자 온라인 판에 실렸습니다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
과학동아
l
2016.10.01
적용된다. 주춧돌의 표면을 매끈하게 다듬지 않고 자연 상태의 모양 그대로를 쓰고,
기둥
의 아랫부분을 주춧돌의 표면에 꼭 맞게 깎아내서 밀착시킨다. 대웅전 남회랑 아래, 즉 백운교 좌우 석축과 석가탑의 암좌에도 이런 그렝이법이 적용돼 있다. 또 석재를 쌓을 때도 이음새에 부재로 작은 돌들을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