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버팀목
장대
받침대
대들보
실린더
원통
지주목
뉴스
"
기둥
"(으)로 총 350건 검색되었습니다.
NASA가 중대발표란 이름의 ‘낚시’를 하는 이유
2016.09.27
바 있다. 2012년에도 허블망원경으로 유로파 표면에서 160㎞에 이르는 비슷한 수증기
기둥
을 발견한 바 있다. 그럼에도 NASA는 발표 5일 전부터 언론에 ‘중대 사실을 발표하겠다’고 예고했다. NASA는 과거에도 중대발표를 예고해 전 세계를 들뜨게 한 후 실망스러운 발표를 한 경우가 많다. 2010년엔 ... ...
37억 년 전 지구엔 이미 생물이 번성했다!
2016.09.12
여기에 또 미생물 매트가 형성되는 과정이 반복돼 생긴 덩어리로 형성 당시 환경에 따라
기둥
, 원뿔, 판 등 다양한 형태를 띤다. 엄밀히 말하면 암석에 박혀있는 스트로마톨라이트는 박테리아 같은 미(微)화석이 모여 있는 덩어리이지만 그 자체를 화석으로 본다. 따라서 화석 가운데 가장 가치가 ... ...
거대 도시가 사라지려면
과학동아
l
2016.09.05
구조가 다르다. 즉, 위와 아래의 무게 중심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컷앤다운 공법은 지지
기둥
을 잘라야 하기 때문에 무게중심이 달라지면 측면붕괴의 위험성이 있다. 조금 더 상상력을 발휘해 수십 년 뒤 63빌딩을 좀 더 효율적으로 철거할 방법은 없을까. 많이 거론되는 꿈의 기술은 레이저광을 ... ...
‘필수체크’ 세살 척추가 여든까지 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8.27
자칫하면 큰 수술로 이어질 수 있기에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척추는 신체의 중심이자
기둥
과도 같다. 평소 본인의 생활 습관과 자세를 잘 살피고 바르게 유지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같은 척추질환이라 하더라도 환경이나 습관에 따라 증상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평소에 목, ... ...
올해의 착시 경연대회 수상작 화제
수학동아
l
2016.07.30
수기하라 교수가 고안한 것입니다. 실제 착시 현상에 사용된 입체도형은 각
기둥
도 원
기둥
도 아닌 특이한 모양입니다. 일렁이는 파도처럼 도형의 모서리가 물결 모양이지요. 즉 모서리 네 개 중 정면 두 개는 위로 볼록한 포물선 모양이고, 옆면 두 개는 아래로 볼록한 포물선 모양입니다. 이렇게 ... ...
너도나도 캠핑 전성시대! 이런 텐트 괜찮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6.07.19
때 견딜 수 있는 수압 수치를 말한다. 예를 들어 내수압이 1000mm라면 텐트 위에 1m의 물
기둥
이 올라가도 물이 새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500mm는 가랑비, 1000mm는 보통 비, 1500mm는 폭우로 분류하므로 보통 내수압 3000mm 이상이면 우중 캠핑이 가능하다! 환기성과 통풍성도 확실히 따져보아야 한다. ... ...
당신의 여름은, 어떤 냄새인가요?
과학동아
l
2016.07.04
생겼다(➍). 곧 그 방울이 터지면서(➎) 가는 물
기둥
이 솟아나오고 있다(➏). 이 물
기둥
이 작은 방울들로 흩어지면서 에어로졸이 만들어진다(➐). 땅 속의 성분들이 에어로졸에 실려 공기 중으로 확산되고 있다(➑). - 정영수 제공 ● 여름 냄새를 지배하는 자, 박테리아 지금까지 여름 냄새의 원인을 ... ...
술에 비친 그림자만 보면 알코올 도수 안다?
2016.06.28
연구팀은 투명한 사각
기둥
속에 원통형 저장 공간을 만들어 액체를 채운 뒤 사각
기둥
에 빛을 비출 때 만들어지는 그림자를 이용해 굴절률을 알아낼 수 있는 방법을 고안했다. 그 결과 액체 굴절률이 증가하면 그림자 너비가 감소했다. 반대로 굴절률이 감소하면 그림자 너비가 증가했다. 액체 ... ...
75t급 액체엔진 75초 연소 성공…韓 우주개발은 순항 중
2016.06.10
느껴졌다. 열기를 식히기 위해 뿌린 물이 3000도의 화염을 만나면서 거대한 수증기
기둥
이 하늘로 솟아올랐다. 엔진 안에서는 연료인 케로신(등유)과 산화제인 액체산소가 1초에 225㎏씩 섞여 타면서 엄청난 화염을 만들어 내는 중이다. 이 힘들을 모아 한국형 발사체는 지구를 박차고 우주로 ... ...
다윈의 나방 유전자 마침내 규명
2016.06.06
발견되는 곳은 나뭇가지로 52%에 이르렀고 대부분(89%) 아래쪽에 있었다. 그러나 35%는 나무
기둥
에서 발견됐고 대부분(35%)은 북쪽에 있었다. 즉 직사광선을 피하는 게 중요하다는 말이다. 나머지 13%는 잔가지에 붙어 있었다. 즉 케틀웰의 실험이 장소면에서도 큰 문제는 없다는 말이다. 여담이지만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