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버팀목
장대
받침대
대들보
실린더
원통
지주목
뉴스
"
기둥
"(으)로 총 341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막 위에 서 있는 유령 같은 건물들
팝뉴스
l
2017.05.28
” 트레졸디의 말이다. 그는 고전 건축과 현대건축 모두에서 영감을 얻어 독특한 면과
기둥
, 큐브들을 창조했다. 특히 밤이 오면 그의 작품들은 더욱 더 신비로운 분위기를 얻는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 ...
유격 훈련 하다가 집 무너뜨려
팝뉴스
l
2017.05.27
받는 듯한 자세다. 그런데 세상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일이 터졌다. 줄을 묶은
기둥
이 반으로 잘려 쓰러졌고 잇달아 지붕이 무너졌다. 순식간에 일어난 일이다. 다행히 지붕 아래에 있던 사람은 다치지 않았다. 영상은 어떤 스릴러 영화에도 밀리지 않을 놀라움과 긴장을 선물하면서 해외 네티즌 ... ...
과학자들이 ‘에이리언’ 찾는 3가지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17.05.19
생물을 발견한 덕에,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토성의 위성 ‘엔켈라두스’에서 물
기둥
을 발견한 것을 바탕으로 그곳에 생명체가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발표할 수 있었다. ● 세 번째 방법: 지적 생명체의 신호를 기다린다 인간이 우주선이나 망원경으로 우주를 탐사하는 것처럼 우주 어딘가에 ... ...
X선 결정구조 분석법을 통해 최초로 밝혀진 세포막의 구조
동아사이언스
l
2017.05.14
고정된 단백질이 필요합니다. 석영이 규산염(SiO2) 분자가 규칙적으로 배열돼 육각
기둥
형태가 나오는 것처럼 단백질도 규칙적으로 배열이 되면 결정구조가 만들어집니다. 이 결정을 향해 X선을 투과시키면 단백질을 구성하는 원자에 의해 X선이 회절되면서 무늬가 만들어집니다. 이 무늬를 분석해 ... ...
뉴욕 식물원의 찬란한 유리 식물들
팝뉴스
l
2017.05.13
무중력 상태를 떠다니는 바위 같은 모습으로 분수를 장식하는 오브제에서부터, 콩크리트
기둥
위에 앉아 있는 푸른 고슴도치 같은 작품, 붉은 유리 나무와 하얀 유리 넝쿨 등, 식물원은 일반인들이 상상하기 힘든 모습의 유리 조각 작품들로 가득하다. 데일 치훌리는 원래부터 ‘유리 조각’ ... ...
진짜 화성생명체 있을까? ‘물’을 보면 알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4.23
게 그 증거다. 토성의 달(위성) ‘엔켈라두스’ 표면을 덮고 있는 얼음층 틈 사이로 물
기둥
이 솟아오르는 모습의 상상도. 지구에서는 이런 현상이 90도 이상의 뜨거운 물이 솟아 오르는 심해 열수구에서 일어난다. 심해 열수구 인근에는 자기영양미생물을 비롯 다양한 해양 생물이 서식한다. - NASA ... ...
“토성의 달 ‘엔켈라두스’에 심해 생명체 존재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17.04.14
등이 포함됐다. 토성의 달(위성) ‘엔켈라두스’ 표면을 덮고 있는 얼음층 틈 사이로 물
기둥
이 솟아오르는 모습의 상상도. 지구에서는 이런 현상이 90도 이상의 뜨거운 물이 솟아 오르는 심해 열수구에서 일어난다. 심해 열수구 인근에는 자기영양미생물을 비롯 다양한 해양 생물이 서식한다. - ... ...
내기에 진 친구의 최후
팝뉴스
l
2017.04.10
3월 30일 미국 휴스턴 경찰에 신고 전화가 빗발쳤다. 한 남자가 테이프로 묶여 교통표지
기둥
에 붙어 있다는 것이다. 경찰이 출동했을 때 두 번째 남자도 나타났다. 그의 손에는 칼이 있었다. 경찰은 당장 칼을 내려놓지 않으면 전기 충격기로 공격하겠다고 위협했다. 그런데 알고 보니 상황은 ... ...
세계 최대 전파망원경 ‘알마’가 포착한 500만년 전 아기별 탄생 순간
동아사이언스
l
2017.04.07
탄생순간의 모습. 붉은 불
기둥
은 빠르게 움직이고 있는 일산화탄소 가스이며, 푸른 불
기둥
은 상대적으로 천천히 움직이고 있는 가스다. - ALMA 제공 ‘우주의 불꽃놀이’ 별들의 요람에서 새로운 아기별이 태어나는 순간의 이미지가 포착됐다. 미국 콜로라도대 연구진은 세계 최대 전파망원경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불의 추억
2017.03.28
검은등딱따구리(black-backed woodpecker)의 경우 산불이 심하게 난 곳에서 잘 산다. 불탄 나무
기둥
을 선호하는 딱정벌레가 낳은 애벌레를 즐겨 먹기 때문이다. 산불다양성의 생태적 효과는 불이 난 이듬해보다는 10년이 지났을 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기후변화로 대형 산불이 잦고 생태계도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