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별인터뷰] 종이비행기, 국가대표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돼서 처음 만난 세 명의 선수는 힘을 합쳐 또 다시 이전에 없던 직업을 만들어 냈답니다. 바로 ‘이색 스포츠 마케터’지요. 이색 스포츠 마케터는 이전에 스포츠라고 생각하지 않았던 활동들을 스포츠로 만드는 사람들이에요. 이정욱 선수는 “예를 들어 물수제비도 스포츠가 될 수 있다”며 ... ...
- Part 3. 우주 망원경으로 외계행성을 찾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우주망원경NASA는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뒤를 이을 새로운 우주망원경도 준비 중이에요. 바로 올해 4월 16일 이후 발사 예정인 ‘테스(TESS)’지요. 현재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발사를 위해 준비 중이랍니다. TESS가 외계행성을 찾는 방법은 케플러와 같아요. 하지만 케플러보다 5배 정도 많은 50만 개의 ... ...
- [수학공작실] 빨대로 만드는 정사면체 복합체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컴퓨터공학과 인공지능 연구소의 재커리 아벨은 재미있는 방법으로 이를 해결했습니다. 바로 빨대를 이용한 것이지요. 아벨의 방법을 이용해 정사면체-5개-복합체를 만들어 봅시다 ... ...
- Part 4. 게임의 미래 책임질 인공지능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물 풍선 공격, ‘피파 온라인’에서 크리스티아누 호날두(포르투갈)의 세리머니 등이 바로 미리 정해놓은 규칙에 따라 게임 속 캐릭터와 사물이 다양한 동작을 하는 예다.김 실장은 “추후 딥러닝 기반 기계학습이 게임분야에서 활용되면 지금보다 훨씬 더 실제처럼 자연스러운 게임이 탄생하게 될 ... ...
- [Future] 랍스터 하나 주문이요~ 음식도 3D 프린팅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음인데, 이날따라 이 소리에 마구 설렌다. 프린터로 인쇄하고 있는 것이 종이가 아니라 바로 음식이기 때문이다.인쇄가 끝나자 노즐이 지나다녔던 자리에 하얀 가루가 수북하게 쌓였다. 공기를 뿜어 가루를 훅~ 하고 불어내니 모니터에 띄워놓았던 3차원(3D) 디자인과 똑같은 ‘인쇄물’이 나타났다. ... ...
- [Issue] 한국 출산율 하락, 숨겨진 원인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출산율 하락의 또 다른 이유그런데 왜 한국의 출산율은 하락했을까. 그 이유는 바로 유배우 여성의 비율 하락, 다른 말로 결혼하지 않은 여성의 비율이 급격히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한국 20~49세 여성의 유배우 비율은 2005년 62%가 넘었지만, 2014년에는 그 비율이 54%까지 떨어졌다. 만일 2000년의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첨단 가상현실 체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파악해요. 즉, 현실 속에서 HMD를 착용한 사용자가 움직이면 라이트하우스 센서가 이를 바로 파악해 가상현실에 그대로 반영되는 거랍니다. 둥둥 떠다니는 그림을 그려 보자!“왼손을 내밀면 공중에 가상의 메뉴가 뜰 거예요. 이 메뉴를 조작하면 여러 가지 가상 체험을 할 수 있답니다.” 연구팀이 ... ...
- Part 2. 메가기둥 구조로 중력을 거스르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뺀 나머지 무게만 들어 올리면 된다. 그런데 초고층건물에서 생기는 문제가 하나 있다. 바로 카가 지나다니는 길로 생기는 바람이다. 건물이 높아지면 카가 들어가 있는 공간인 승강로에는 ‘굴뚝효과’가 생긴다. 굴뚝효과는 위아래의 온도와 기압차로 인해 공기가 승강로 같은 긴 통로를 따라 ... ...
- 그는 건물에 무사히 닿을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8년 07호
- 감동적입니다. 그런데 감동 이전에 따질 건 따져야 하는 사람들이 있어요. 그들의 정체는 바로 전 세계 이과생! 스카이스크래퍼도 그들의 레이더망을 벗어날 수 없었어요. 미국 플로리다대학교에서 공학을 전공한 한 트위터 이용자(아이디 @ChristianBedwel)는 포스터에 의문을 품고 소여가 얼마나 빨리 ... ...
- [Issue] 양서류 흑사병 발원지가 한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항아리곰팡이(Batrachochytrium dendrobatidis)’의 출처가 밝혀진 것이다. 그런데, 발원지는 바로 한국이었다. 전 세계 38개 연구팀, 항아리곰팡이 계보 추적1993년 호주에서 처음 발견된 항아리곰팡이는 양서류의 피부 조직인 케라틴을 먹이 삼아 기생하는 병균이다. 항아리곰팡이에 감염되면 양서류는 ... ...
이전2432442452462472482492502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