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방귀, 방심하면 놀란다! 소노란 산호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설명했답니다. 세상에서 가장 다정한 방귀 가짜 방귀 대회 마지막 참가자는 바로 바닷속에 사는 ‘청어’야. 청어는 가짜 방귀로 친구들과 대화를 하기도 하지. 정말 대단해! 뽀글뽀글, 뽁뽁, 방귀로 대화한다?!덴마크 아르후스대학교의 마그너스 발 베르그 박사팀은 청어의 방귀를 관찰하기 ... ...
- 내가 제일 잘 나가, ‘과일의 제왕’ 딸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일반적이다. 농촌진흥청 산하 국립농업과학원은 과일에 적외선을 쪼이기만 해도 당도를 바로 알 수 있는 ‘광센서 측정기’를 2010년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 광센서 측정은 과일에 빛을 쪼여 반사돼 나오는 빛의 파장을 재는 방식으로 당분을 확인한다. 과당은 700~250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 ...
- Part 1. 韓 가속기 굴기 ‘ 입자 공장’ 라온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다. 하지만 이보다 더 높은 에너지를 갖는 입자를 얻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이 필요하다. 바로 전기를 이용하는 것이다. 가속기도 이 원리를 활용한다. 가속기의 원리 자체는 간단하다. 양(+)극이나 음(-)극 중 한 가지 성질만 가진 구슬이 원통 안에 있다고 가정해보자. 원통은 전기를 연결하면 ... ...
- [Culture] 체육대회 묵시록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벗어난 식이라고 했는지도 알 수 있었다. 이 수식대로 계산을 실행시키면 컴퓨터가 바로 답을 찾아낼 수가 없다. ‘이중 근사 방법’이라는 좀 특수한 방법을 써야 결과가 나오는데, 그렇게 하면 계산에 꼬박 스무 시간은 걸릴 것이다. 그러면, 그 결과를 내일 오전 중에 볼 수가 없고 정리해서 제출할 ... ...
- [통합과학 교과서] 수상한 사람의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듯 손바닥을 마주 쳤어요.“질소 비료를 만든 하버 아저씨! 맞죠, 맞죠?”“그래~. 내가 바로 프리츠 하버야. 이제 피젯 스피너를 돌려 줄 때가….”하버가 피젯 스피너를 수호에게 건네려던 순간, 갑자기 피젯 스피너가 돌며 저 멀리 하늘로 날아갔어요. 그와 동시에 게임판에 환한 불빛이 들어왔지요 ... ...
- Part 4. 빵빵~ 미세먼지 잡는 자동차가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바로 자동차야. 자동차에 장착된 특수한 장비가 미세먼지를 깨끗하게 처리해 주지. 지금 바로 만나 볼까? 제트엔진을 싣고 달리는 차?우리는 대기권의 가장 아래 부분인 ‘대류권’에 살고 있어요. 대류권에서는 따뜻한 공기가 위로 올라가고 차가운 공기가 아래로 내려가면서 공기가 순환을 ... ...
- 그 소원, ‘가상현실’이 이뤄 드립니다!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상황이나 플레이어의 행동을 분석해 그에 맞는 반응을 보여줘야 하지요. 이때 필요한 게 바로 인공지능입니다. 실제 같은 캐릭터를 연출하려면 얼굴 표정을 인식하는 페이스 트래킹, 음성인식, 기계학습 같은 AI 기술을 모두 이용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AI 공룡은 스스로 판단해 잠을 자거나 ... ...
- 인공어초 파헤치기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물고기도 살 수 없습니다. 아주 넓은 사막처럼 숨을 곳도 없고 먹을 것도 없는 죽은 땅이 바로 갯녹음이 일어난 바다의 모습입니다. 특명! 바다를 구하라해양생물이 다시 모여 살게 하려면 해조류로 우거진 바다숲과 물고기가 머물 수 있는 집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황폐화된 바다에 인공어초를 ... ...
- 치킨은 피보나치 수열로 시키세요!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수열’을 이용하는 겁니다. 피보나치 수열은 1과 1로 시작하고, 앞의 두 수의 합이 바로 뒤의 수가 되는 수열입니다. 피보나치 수열을 나열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 수를 ‘피보나치 수’라고 합니다. 주문 전화를 하려던 찰나 준우네 옆집 사는 친구 동석이가 나타났습니다. 귀신 같은 녀석…. ... ...
- Part 4. [2D 어드벤처] 클라인 병이 사각형?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병을 원환면을 비튼 거라고 말하지요. 이제 이 위를 걸어 볼게요. 가로로는 언제나 똑바로 걷게 돼 있어요. 그런데 왼쪽 변과 만나면 오른쪽 변으로 나오고 오른쪽 변과 만나면 왼쪽 변으로 나와요. 세로로는 항상 대각선으로 걷게 돼요. 윗변으로 들어가면 마주보는 대각선 아랫변으로 나온답니다 ... ...
이전2462472482492502512522532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