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그로텐디크의 대수학 강의수학동아 l2018년 08호
- 그런데 이 학술지의 내용과 어딘지 모르게 비슷한 내용이 담긴 책이 있습니다. 바로 20세기 프랑스 수학자를 주축으로 만들어진 집단 ‘니콜라 부르바키’에서 만든 책입니다. 니콜라 부르바키는 20세기 프랑스를 중심으로 활동한 수학 단체로, 1935년 만들어졌습니다. IHÉS설립 초기 교수였던 ... ...
- [과학뉴스] 플라스틱 빨대과학동아 l2018년 08호
- 호흡 곤란을 겪는 바다거북을 구조했는데요. 이들이 거북의 콧구멍에서 빼낸 것은 바로 가늘고 긴 일회용 플라스틱 빨대였습니다.유엔환경계획(UNEP)에 따르면 매년 800만 톤(t)에 이르는 플라스틱이 바다에 버려집니다. 바다로 흘러간 플라스틱은 거대한 쓰레기 섬을 형성하기도 합니다.그 중에서도 ... ...
- [Issue] 한반도 습격 시작한 남미붉은독개미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사람들은 특정 곤충 때문에 걱정이 많다. 언론에도 이 곤충 이야기가 자주 나온다. 바로 남미붉은독개미(Solenopsis invicta)다.필자는 이 개미의 이름을 명명하기까지 참으로 많은 고충을 느꼈다. 이흥식 농림축산검역본부 식물검역기술센터 연구관과 긴 논의 끝에 남미붉은독개미라고 부르는 데 ... ...
- [Career] ‘하버드 공대 공부벌레들’과의 2주일과학동아 l2018년 08호
- 해수배터리 - 태양전지 연결 7월 3일 하버드대 프로그램을 마친 참가자들은 쉴 틈도 없이 바로 비행기를 타고 6일 UNIST에 도착했다. UNIST가 선정한 주제는 해수배터리. 지도는 서 교수가 맡았다. 참가자들에게는 김영식 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팀이 교육용으로 제작한 3200밀리암페어시(mAh)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8호
- 험난한 여정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인간의 정자가 레이스를 시작하는 출발점은 질의 바로 윗부분입니다(오른쪽 그림). 사정 후 몇 분 뒤에 정자는 자궁 경부를 빠져나갑니다. 정자는 자궁 근육 수축에 힘입어 자궁을 지나 나팔관에 도착합니다.정자가 잠시 쉬었다 가는 이유나팔관 입구에 도착한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8] 인류의 역사를 바꾼 화학반응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있다. 다양한 종류의 산과 염기가 각각 공통적인 성질을 나타내는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산과 염기를 각각 구성하는 공통적인 물질 때문이다. 아레니우스가 정의한 산과 염기를 살펴보자. 즉, 산의 공통적인 성질은 수소 이온, 염기의 공통적인 성질은 수산화 이온에 의해서 나타난다. 이번에는 ... ...
- [핫이슈] 제주항공우주박물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펼칠 예정이지요. 그런데 현실에서도 우주탐험대를 만나 볼 수 있는 방법이 있어요. 바로 제주도에 위치한 제주항공우주박물관을 방문하는 거예요. 제주항공우주박물관 2층에 있는 테마관에서는 우주탐험대 멤버 리코, 뮤, 이즈, 불리와 함께 우주로 모험을 떠날 수 있어요. 제주의 소리를 듣고 ... ...
- [매스미디어] 뮤지컬, 프랑켄슈타인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어울리고 싶었던 괴물"저주받을, 저주받을 창조자! 어째서 나는 살았던 것인가? 어째서 바로 그 순간, 당신이 그렇게 방탄하게 붙인 존재의 불꽃을 꺼버리지 않았던 것인가? 알 수가 없다. 절망이 아직도 나는 사로잡지 않았던 것이다. 분노의 복수의 감정뿐이었다."_괴물 죄책감에 시달리던 빅토르 ... ...
- [Culture] 영화 속 그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바닥이 물방울 하나의 무게도 감지할 만큼 민감해, 무게나 온도 변화가 생길 경우 바로 경보를 울리기 때문이다. 영화에서 헌트의 이마를 타고 내려오는 땀방울을 보는 관객들 역시 함께 긴장의 땀을 흘렸다.22년이 지난 지금은 영화 속 컴퓨터실뿐만 아니라 보안도 한층 강화할 수 있다. 박홍규 ... ...
- [Origin] 물리학의 환상이자 난제, 고온 초전도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넘는 기간 동안 초전도체를 상용화하는 데 완전히 해결하지 못한 걸림돌이 있습니다. 바로 초전도체의 낮은 임계온도입니다. BCS 이론은 30K(영하 243도) 미만에서만 원자가 진동할 때 초전도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예측합니다. 학계에서는 BCS 이론이 설명하는 초전도체를 ‘저온 초전도체’라고도 ... ...
이전2402412422432442452462472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