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d라이브러리
"
논문
"(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대칭성 깨뜨려 노벨상 움켜쥐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교육을 제대로 받고 정상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쓸 수 있는 평범한
논문
”이라고 얘기했다. 물론 중요한 점은 고바야시-마스카와 이론이 수학적으로 간단할지라도 자연계에 나타나는 많은 현상을 설명해주는 자연법칙이라는 점이다.고바야시-마스카와 이론은 CP 대칭성 깨짐과 ... ...
억울한 우울증의 독백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된 것 같아.2003년 세계적 과학저널인 ‘네이처’에 흥미로운
논문
이 한 편 실렸어. 이
논문
은 내가 유전적인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했지. 세로토닌 전달에 관여하는 단백질인 5-HTT 유전자에는 두 종류가 있는데, 이 중 한 형질(s형)을 지닌 사람은 다른 형질(l형)을 지닌 사람에 비해 자살할 확률이 3배 ... ...
차세대 메모리 비밀 밝히는 왕박사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8A 빔라인 X선 광전자분광법우리나라 한 해 총 수출액 중 DRAM 같은 디지털 기기의 저장매체가 차지하는 비율은 30~40%에 이른다. 그런데 전문 ... 실험 결과 Ge2Sb2Te5가 산소와 결합해 불순물이 생겼기 때문이었다. 이 내용은 내년쯤
논문
으로 발표될 예정이다. 차세대 메모리 비밀 밝히는 왕박사 ... ...
융합은 아이디어의 보고(寶庫)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다. 더 나은 점이라면 열정과 의지를 불태우는 연구원들뿐이다.
논문
으로나마 한국을 만나는 일은 필자에게도 좋은 동기부여가 된다. 그 열정과 의지를 잃지 않고 앞으로도 계속 파이팅! 최장욱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를 졸업한 뒤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화학및화학공학과에서 ... ...
부산 과학영재를 글로벌 리더로 이끈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진정세균의 유전자 활용’과 ‘알츠하이머 질병 연구방법’에 대한 주제 선정부터
논문
작성까지 스스로 진행했다”면서 “반복된 실험으로 힘든 적도 많았지만 원하는 실험결과를 얻었을 때는 연구자로서 희열을 맛보기도 했다”고 말했다. 2학년 김형진 군은 “일반 고등학생이 접하기 힘든 ... ...
[지구과학]쌍춘년의 주기 계산법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입는다.서울대 지구환경시스템공학부 김재관 교수는 2005년 한국지진공학회에 발표한
논문
에서 규모 5.0의 지진이 서울 동부 지역에서 발생했다고 가정하고 강남지역 대로변의 피해 정도를 가상실험으로 예측했다. 고층 건물보다 저층 건물의 피해가 상대적으로 컸는데 김 교수는 그 이유를 “실험의 ... ...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언어 잘 배우나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영어로 출판되기 때문에 다른 연구자의
논문
을 읽으려면 영어 독해력이 있어야 하고
논문
을 쓰려면 영작을 할 수 있어야한다. 그러나 이런 능력은 연구를 시작하는 대학원에서나 필요하다. 이공계 대학원 진학에 필요한 영어수준은 그렇게 높지 않은 편이다. 서울대의 경우 TEPS 성적이 사회대는 701점 ... ...
양자에 ‘순간이동’ 이름 붙인 주인공 찰스 베넷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뛰기를 멈춘다. 이런 일이 광자에도 똑같이 일어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그것이 이번
논문
의 결과다. 광자 2개를 분리한 뒤 광섬유로 18km 떨어진 마을에 각각 보냈다. 그런데 그 광자들이 목적지에 도착하자 즉시 서로의 (양자)상태를 인지했다. 광자 사이의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은 전혀 없었다. 이 ... ...
세계 최고 성능의 질량분석기 개발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존재하는 1500여 개의 단백질을 질량분석 방법으로 발굴해 ‘프로테오믹스’ 9월호에 표지
논문
으로 발표했다. 이때 정상인뿐 아니라 간질 환자의 뇌 조직 시료를 분석했다. 간질은 뇌 조직이 손상되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뇌 단백질 분석은 치매, 노화 같은 뇌 질환에 관련된 단백질의 ... ...
스스로 배열하는 ‘똑똑한’ 분자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200% 이상 활용해 ‘네이처’, ‘사이언스’, ‘케미컬 리뷰’에 매년 새로운
논문
을 게재한다. 광학현미경으로는 나노조립체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형태와 기능을 관찰하기 위해 투과전자현미경이 꼭 필요하다.이 단장은 “보이지 않는 세계를 설계하는 일보다 설레는 일은 없다”고 말한다. ... ...
이전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