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d라이브러리
"
논문
"(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산소화 효소 중간체의 비밀 밝히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개발했다. 2003년 이후 ‘사이언스’를 포함해 ‘PNAS’ 등 유명 학술지에 70편 이상의
논문
을 발표했고 그 피인용 횟수는 1600회에 이른다. 남 단장은 “연구단의 비상(飛上)은 이제 시작”이라며 “전 세계 생무기화학 분야를 깜짝 놀라게 할 연구단을 지켜봐 달라”며 포부를 밝혔다.남원우 단장1985 ... ...
그랑제콜 두고 서울대 온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비슷하다.아직 한국말도 서툴고 한국에 대해 모르는 것 투성이다. 곧 석사학위를 받지만
논문
심사를 앞두고 있어 긴장된다. 하지만 다른 문화와 다른 연구방식을 접하고 이를 내 것으로 소화한다면 앞으로 발전에 밑거름이 되지 않을까 ... ...
한겨울 몸값 치솟는 비타민 D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같은 다양한 질병에 관여한다는 사실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최근 매일 한편씩 비타민D
논문
이 나올 정도로 관련 연구도 급증하고 있다.미국같이 땅덩어리가 넓은 나라는 한 나라 안에서도 뉴욕 같은 북동부와 로스엔젤레스 같은 남서부가 위도와 날씨 차이로 연중 햇빛의 양에 큰 차이가 난다. ... ...
2003년 디디에르 라울 교수의 미미바이러스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사이언스’에 실은 7쪽짜리
논문
에서 구체화됐다.라울 교수팀과 클라베리 박사팀은 이
논문
에서 미미바이러스 게놈에 대한 새로운 사실을 여럿 밝혀냈다. 먼저 게놈 크기는 80만 염기쌍이 아니라 120만 쌍이었고 유전자도 최대 1200개가 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가운데 실제 단백질을 만드는 ... ...
퍼져라~! 행복바이러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 엘리자베스 던 교수팀은 2008년 3월‘사이언스’에 발표한
논문
에서, 남을 위해 돈을 쓴 사람의 행복도가 자기를 위해 쓴 사람보다 높음을 밝혔다. 옆 사람의 행복이 곧 나의 행복이라는 사실이 증명된 것이다.돈으로 행복을 살 수 있을까?영국 워릭대학교 앤드류 오스발트 ... ...
“나비와 함께 훨훨~!” 나비박사 석주명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3호
나비를 관찰하고 표본을 수집해 나비를 분류했어요. 그러는 동안 나비 분류학 관련
논문
을 120편 발표했고, 외국 학자들이 잘못 이름붙인 우리나라 나비의 이름 800여 개를 바로잡았지요. 그 결과 현재 우리나라 나비의 70%가 제가 지은 이름을 갖게 되었답니다.와! 정말 대단하세요! 박사님의 연구는 ... ...
소금 법정 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0호
해치는 주범에 천덕꾸러기가 되어버린 게 안타깝군요. 세계적으로 고혈압과 소금에 관한
논문
만 해도 무려 8000편이 넘는다는 사실에 놀라지 않을 수가 없네요.어떠한 판결을 내려야 할지 정말 고민이 됩니다. 적당한 양의 소금을 섭취하면 건강을 해치지 않을 것도 같고, 검사 쪽의 증언을 듣자니 ... ...
있다? 없다? 별난 신종 생물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7호
종인지 아닌지 확인한다.형태가 다른 새로운 종류라면
논문
을 작성해 발표한다. 이후
논문
이 심사를 받고 새로운 종을 발견한 것으로 인정받기까지는 몇 년이 걸리기도 한다.앗, 세상에이런생물이!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미지의 생물을 찾아가 볼까? 새로운 생물을 찾는 과학자들이 가장 눈여겨보는 ... ...
바다영웅 전설, 우리 바다를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3호
것과 대한민국의 과학자들이 독도를 열심히 연구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는 거지. 이
논문
들 덕분에 우리가 실제적인 독도의 지배국임을 널리 알릴 수 있단다. 세계에 널리 퍼진 독도의 바다독도의 바다 속에는 독도라는 이름이 붙어 세계무대에 알려진 것들이 꽤 많아. 저서생물의 ... ...
0.05초 만에 결정되는 첫인상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순간 상대방의 얼굴을 보더라도 그 사람의 특성을 상당히 정확히 예측한다는 내용의
논문
을 발표했다.연구팀은 실험참가자들에게 시간의 길이를 달리하면서 사람들 사진을 보여 주고 사진 속 사람이 이성애자인지 아니면 동성애자인지를 가려내게 하는 실험을 했다. 그 결과 참가자들은 0.05초라는 ... ...
이전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