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양
해양
망망대해
바다
원
원양
넓은 바다
d라이브러리
"
대해
"(으)로 총 8,188건 검색되었습니다.
양자냐 아니냐, 그것이 문제로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속도 변화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양자컴퓨터의 특성이 나타나지 않은 것이다.이 연구에
대해
전문가들은 다양한 의견을 보였다. 구글의 기술부장인 하르트멋 네벤은 ‘사이언스’와의 인터뷰에서 “문제가 너무 쉬웠다”며 “제대로 된 검증이 아니었다”고 비판했다. 디-웨이브의 창업자 조르닥 ... ...
수학에 희망을 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수학 저술가 모리스 클라인이 쓴 책인데, 수학이 왜 철학과 함께 논의돼야 하는지에
대해
쓴 책이다. 박 실장은 “수학과 철학을 동시에 이야기하는 책인 만큼 수학과 철학을 잘 알면서 번역 능력까지 있는 사람을 찾는 것이 어려웠다”고 말한다. 번역된 원고도 어려워 교정과 편집에 어려움도 ... ...
08 양자의 얽힘(EPR 역설) - 빨간 약을 먹으면 양자세계가 사라질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이런 식으로 만들어진 모든 리스트, 어려운 말로 ‘모든 국소 적 숨은 변수이론’에
대해
만족돼야만 한다. 하지만 스핀을 그냥 양자역학적으로 다루면 이 부등식은 성립하지 않는다. 따라서 스핀 실험을 통해 만약 벨 부등식이 성립하지 않는다는 결과가 나오면 국소적 숨은 변수이론이 틀렸다는 ... ...
인공지능 ‘Her’, 아직은 시기상조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있다. 13살짜리 어린이라는 설정이 그렇다. 상대가 어린이라는 생각이 들면 질문에
대해
약간 어설픈 대답이 나와도 대수롭지 않게 넘어갈 가능성이 크다. 게다가 유진은 우크라이나에 사는 소년으로 돼 있다. 대회에서 쓴 채팅 언어인 영어가 모국어가 아니다. 문법이 틀리고 표현이 어색해도 ... ...
“위성은 태양계 역사의 산 증인”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박사가 과학동아 독자 60여 명과 만나 과학동아 6월호 특집 주제였던 위성과 달에
대해
심도 있는 이야기를 나눴다.최 박사는 달 같은 위성에 탐사선을 보내 연구하는 이유로 태양계의 역사를 알 수 있다는 점을 꼽았다. 위성에는 태양계의 역사가 차곡차곡 쌓여 있기 때문이다. 심 박사는 외계 생명체 ... ...
두유노우 마우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나이가 되면 실험 도구가 되고, 그리고 죽습니다. 마우스가 동물 실험에 유용한 이유에
대해
아마 독자 여러분께서는 대부분 번식이 빠르기 때문일 것이라 생각할 거예요. 맞습니다. 우리 쥐는 태어난 뒤 6~8주만 지나면 새끼를 낳을 수 있지요. 한 번에 열 마리 이상 씩 낳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 ...
[Life & Tech] 한여름에 더운 바람이 솔솔~ 제습기의 불편한 진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더 쉽게 마른다. 세탁기 안에 있는 빨래 건조 기능도 같은 원리다.이제 당신은 제습기에
대해
모든 것을 알았다. 선택은 당신 몫이다. 부디 현명한 소비와 함께 이 여름을 쾌적하게 보내시길 ... ...
[수학뉴스] 공룡, 수학으로 분류한다!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트리케라톱스와 사촌 관계임을 밝혀냈다.싱클레어 박사 연구팀은 세렌디파세라톱스에
대해
진실을 밝히고자 세렌디파세라톱스의 팔뚝뼈(척골) 화석을 집중적으로 분석했다. 연구팀은 먼저 팔뚝뼈 화석의 평평한 정도를 측정해 뿔이 달린 공룡(각룡류)들과 그 값을 비교했다. 이때 시간이 흘러 ... ...
트랜스포머 사라진 시대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된답니다. 그래서 아직까지는 잘 모르겠다는 게 제 결론이에요!수학을 전공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물리와 수학은 사람을 미치게 만드는 것 같아요. 3일 내내 감마함수 시험공부만 하는 친구를 지켜봤는데, 계속 계산만 하는 걸 보아 하니 아마 미친 것 같아요.이 정도면 충분한 것 같네요. ... ...
수학으로 달리는 똑똑한 지하철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10년 전 독일 베를린지하철 운행계획자들도 이 같은 문제에
대해
고심했다. 하지만 환승역이 수십 개나 되고 지하철이 10분 간격으로 계속 운행되다 보니 환승역마다 기다리는 시간을 짧게 만드는 것은 아주 어려운 문제였다. 결국 수학자들에게 문제 해결을 요청했다 ... ...
이전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