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d라이브러리
"
천문
"(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Ⅰ. 과학과 상상의 앙상블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때문에 이에 따라 빛이 휜다는 사실을 이론적으로 설명했다. 그의 설명은 1919년 영국의
천문
학자 에딩턴이 관찰한 개기일식에 의해 증명됐다.블랙홀의 존재는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으로부터 예견됐다. 그리고 1916년 독일의 과학자 슈바르츠실트에 의해 처음 이론화됐다. 그러나 1969년 미국의 ... ...
국립중앙과학관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것이다’ 등 10여편의 영화가 방영되고 있다. 영화관 복도에는 우주 개발사와 세계
천문
학자들의 업적이 전시돼 있다. 상설전시관처럼 주로 ‘보는 것’에 의존하지 않고 ‘직접 만져보고 머리를 쓰는’ 곳이 있다. 상설전시관 옆에 위치한 탐구관이다. 한마디로 전시품을 직접 조작하고 작동시켜 ... ...
우주탐사의 심장부 고다드 우주센터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긍지가 느껴졌다.NASA 고다드에서는 70년대에 ‘실현 불가능’ 판정을 받았던 월면 자외선
천문
대 ‘류트’를 계획하고 있었다. SF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 우주는 거대 실험실이며, 거기에는 미래를 여는 자물쇠가 있다. 못사는 줄 알았던 나라들도 앞다투어 우주기술에 박차를 가하는 ... ...
전세계를 실망시킨 몽고 개기일식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3월 7일
천문
대 연구원들과 아마추어
천문
가들로 구성된 28명의 몽골(몽고) 개기일식 원정대는 수도인 울란바토르를 향해 떠났다. 몽골은 -20℃의 강추위에도 불구하고 이번 개기일식이 가장 잘 보일 것이라는 예상 때문에 전세계에서 수많은 개기일식 마니아들이 모여들었다. 일본인만 2천명이 ... ...
오리온자리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별과 나중에 태어난 별 등이 함께 어울려 있는 재미있는 별자리다. 오리온자리는 마치
천문
학 교과서같다.베텔규스와 리겔 색깔이 다른 까닭별의 색깔은 별의 표면온도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포항제철과 같은 곳에서 쇳물을 녹여 붓는 장면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쇠를 달구면 처음에는 ... ...
금세기 최고의 우주쇼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사람들 때문에 벌써부터 북적된다. 우리나라에서도
천문
대 연구원과 열성 아마추어
천문
가들이 영하 15℃ 이하의 몽고로 떠났다.우리나라에서는 3월 9일 몽고 개기일식의 여파로 태양의 일부가 가리워지는 부분일식을 볼 수 있다. 최근 10여년 동안 우리나라에서 일어났던 일식을 살펴보면 이번 ... ...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학문 점성술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이라는 직책과 가난한 환경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점성술을 실천하면서 “어진 노모(
천문
학)를 먹여 살리기 위해 몸을 파는 멍청하고 남부끄런 딸(점성술)”이라고 자신의 처지를 한탄하기도 했다. 그러나 후일 그는 자세를 바꿔 점성술의 가치를 분명히 인정한 글과 좌상이론에 관한 중요한 업적을 ... ...
인류의 꿈펼친 행성
천문
학자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연구는 이후에도 여러 다른 시각에서 많이 이루어졌다.이처럼 세이건의 업적은 태양계
천문
학에서 기념비적인 의미를 가진다. 세이건은 물론 과학의 대중화에도 커다란 기여를 했다. 그러나 과학이 아직 대중화되지 못한 우리나라의 풍토에서는 이를 위해 일하는 과학자들이 ‘매스컴 교수’, ... ...
과학계의 팔방미인 '옐로우칼'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왜 그렇게 돈을 밝히냐는 주변 사람들의 질문에 세이건은 어렸을 적 이야기를 들려줬다.
천문
학자가 되겠다고 하자 아버지는 그런 학문을 해서 어떻게 먹고 살겠느냐고 꾸짖었다고 한다. 그래서 과학도 하고 돈도 벌겠다고 다짐했다고.세이건과 동시대에 대중과학자로 널리 이름이 났던 사람으로 ... ...
행성의 이름은 어떻게 짓는가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천문
학자인 쉬와패렐리가 19세기 말엽 개발하고, 프랑스에서 활동한 이탈리아 태생
천문
학자 안토니아디(1929)가 20세기 초 확장시킨 명명체계에 따르고 있다.외계 명명에 필요한 요건들은 1957년에 극적으로 변했다. 당시는 스푸트니크호의 우주비행 성공과 1960년대까지 이어진 인간을 달에 보내려는 ... ...
이전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