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천문"(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여름밤 은하수 위를 훨훨 나는 독수리과학동아 l1997년 08호
- 뒤집어놓은 듯한 'M'자 모양의 작은여우자리가 있다. 17세기 말 폴란드의 천문학자 헤벨리우스(1611-1687)가 만든 별자리로 원래 이름은 '거위를 문 여우'였다. 작은여우자리 중앙에는 거문고자리 고리성운(M57)과 더불어 하늘에서 가장 아름다운 행성상성운이 자리잡고 있다. 마치 운동기구를 연상케 ... ...
- 뉴허블 통신과학동아 l1997년 07호
- 멋진 천체사진을 제공해왔던 허블우주망원경이 닉모스와 스티스로 새롭게 단장됐다. 그 결과 가시광선, 자외선, 적외선 영역에서 시력이 크게 향상됐다. 뉴허블이 처음으로 보여주는 우주의 신비를 공개한다.1997년 2월 13일. 디스커버리호는 거대한 불기둥을 내뿜으며 하늘로 치솟았다. 조종간을 ... ...
- 지구 옆에 있던 행성 사라져과학동아 l1997년 07호
- 루이시아나 주립대학의 크리스토돌로가 행성들의 위치를 예견하는 새로운 방법을 미국천문학회에서 발표해 화제를 모았다. 그는 중력, 회전, 자기장 등에 따라 태양계를 형성한 원시 구름이 어떻게 응집되기 시작했는지를 연구했다. 그의 분석결과는 행성을 형성한 구름의 밀도가 (그림)과 같이 ... ...
- 생명체의 진실 규명할 패스파인더 화성도착과학동아 l1997년 07호
- 가능할 것이라고 말한다. 또 어떤 과학자들은 2019년에 가능할 것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천문학적 숫자’에 이르는 예산이 큰 변수다. 셜리는 “화성여행을 하려면 산소, 물(산소로 만들 수도 있음), 먹을 것, 착륙선, 화성탐사를 위한 과학장비, 의약품, 지구와의 통신수단, 태양전지, 그리고 소일할 ... ...
- 유럽을 구한 십자가 방패자리과학동아 l1997년 07호
- 보이지만, 사실 여느 산개성단들보다 별들이 더욱 밀집돼 있는 곳이다. M11은 1681년 베를린천문대의 고트프리드 키르흐가 발견했다. 19세기 영국의 유명한 관측자였던 스미스 제독이 “이동하는 물오리떼와 닮았다”고 묘사한 후부터 ‘물오리’(Wild Duck)라는 애칭이 따라붙었다. M11은 황색의 8등성을 ... ...
- 은하계 중심 사수자리과학동아 l1997년 06호
- 산광성운이다. 1680년 영국의 플램스티드가 성운으로 처음으로 언급했다. 그러나 후에 천문학자 메시에(1730-1817)가 ‘구름처럼 보이는 커다란 별무리’로 기술한 것으로 보아 성운 속에 보이는 산개성단 NGC6350을 M8로 착각한 것으로 보인다. NGC6350과 M8이 어떤 물리적 관계를 지니고 있는지는 아직까지 ... ...
- 사마르칸트와 부하라과학동아 l1997년 06호
- 것이 울루그베크 메드레세이다. 메드레세는 이슬람 신학의 강당으로 건축됐고, 후에는 천문학, 수학, 철학 등의 연구소로 이용됐다. 티무르 제국 문화의 원천이었던 곳이다. 현재도 레기스탄 광장에서 행해지는 ‘빛과 소리의 제전’은 티무르 제국의 사라진 영화를 멋지게 재현한다. 이슬람의 ... ...
- 신비 고고학으로 치장한 백인 우월주의 스타게이트과학동아 l1997년 06호
- 스스로 위안하는지도 모른다. 우리나라의 첨성대가 매우 정교하게 만들어진 고대 천문대이기 때문에, 외계인들이 만들어 놓은 것이라고 서양인들이 주장한다면 얼마나 황당할까? 서로 다른 패러다임자연을 기술하는 과학의 패러다임은 어느 것이 더 우수하다고 말하기 힘들다. 고대 동양과학은 ... ...
- Ⅱ. 블랙홀 과학사 : 2. 허블우주망원경의 숨바꼭질과학동아 l1997년 05호
- 분석해 조언하지는 않는다. 그런 점에서 '스타트렉의 물리학'은 매우 귀한 책이다. 천문학자 크리우스는 SF에서 나오는 시간여행을 분석함으로써, 우선 과학적 요소와 비과학적 요소를 구별해 주었다. 우주선이 빛의 속도에 도달하려면 두달 보름이 걸린다. 또 빛의 속도로 날아가는 우주선이 ... ...
- Ⅱ. 블랙홀 과학사 : 1. 파란만장한 블랙홀 자서전과학동아 l1997년 05호
- 관해서는 전혀 알려진 바가 없다. 하지만 아이러니컬하게도 이들 거대한 블랙홀 없이는 천문학계 최대 수수께끼의 하나였던 퀘이사의 정체가 해결될 수 없었다.영국의 천체물리학자인 호킹이 옳다면 태초에 태어난 조그만 원시 블랙홀도 우주에는 많이 돌아다녀야 한다. 이들 중에는 현미경으로 ... ...
이전2382392402412422432442452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