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d라이브러리
"
차이
"(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머리 좋은 가수가 살아남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곱하면 알 수 있는데, 0.3×0.0725=0.0225로 2.25%에 불과했다. 시청자 최고 점수와 최저점수의
차이
를 감안해도 심사위원 점수가 실제 결과에 거의 반영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대신 심사위원과 제자들과의 관계는 시청자의 투표 경향에 많은 영향을 줬다. 멘토에 대한 선호에 따라 시청자가 ... ...
시화호 조력발전소 건설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바다 쪽 수위가 높아진다. 평균 5.82m의 물 높이 차가 발생하는데, 이 때 위치에너지
차이
가 호수 쪽으로 물을 흐르게 한다. 이 흐름이 수차발전기를 돌려 운동에너지를 발생시키고, 최종적으로 전기가 생산된다. 밀물이 끝나고 썰물이 되면 물이 다시 빠져나간다. 발전기 날개가 바다쪽으로 향해 ... ...
PART 2 최다득표자라도 꼴찌가 될 수 있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평소 이미지가 좋지 않아서 안티팬이 많다면 일어날 수도 있는 일이다.이처럼 큰
차이
가 나지 않는 총점 때문에 빚어진 사태 역시 청중의 속마음을 잘 반영했다고 보기 힘들다. 상황이 어떻게 벌어지느냐에 따라 보르다 방식도 완벽한 투표 방식이 아닐 수도 있다. tip 보르다 투표 방식프랑스의 ... ...
귀납적 탐구와 연역적 탐구의 선택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방법의 두 가지 탐구과정을 거쳐 그 답을 얻으려고 노력했습니다. 두 가지 탐구과정의
차이
점을 알아봅시다. 어떤 방법으로 탐구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단정지어 이야기할 수 없습니다. 주어진 상황에 맞게 스스로 문제를 설정하고 답을 얻어내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 ...
암흑물질 후보 윔프 입자 ‘없다 VS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5월 5일 미국물리학회에서 “2010년 1월부터 15개월간 관측한 결과 희미하지만 계절별
차이
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암흑물질 검출 경쟁에 대해 금용연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자료가 축적되는 3년 뒤에는 확실히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게보린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많은가의
차이
일 뿐이다”라고 말했다. 정확한 용량을 지키지 않으면 약물과 독은
차이
가 없으며 약물에 대한 절대적 믿음을 경계하라는 의미다. IPA 논란에 대해서 박 교수는 “좀 더 면밀한 조사가 이뤄져야겠지만 아직까지 국내에서 치명적인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은 만큼 감정적인 대응보다는 ... ...
임지순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그런데 창의성은 달랐어. 스스로 연구 주제를 찾고 자신만의 방법을 찾아내고, 이런 게
차이
가 많이 나는 거예요. 나중에 노벨상을 받은 러플린 전 KAIST 총장 같은 사람을 보면서 ‘내 나이엔 따라잡을 수 없는 게 있다’고 생각했어요. 그래도 포기하지는 않았어요. 내가 잘 하는 걸 끈질기게 밀고 ... ...
배아줄기세포, 이제 병원으로 간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줄기세포는 서로 구분할 수 없었지만 여기서 만든 신경세포는 두 집단에서 뚜렷한
차이
가 났다. 즉 정신분열증 환자의 신경세포는 신경돌기의 숫자가 적었고 신경세포 사이를 연결하는 시냅스의 숫자도 적었다.연구자들은 배양한 신경세포에 다양한 약물을 넣어 어떤 약물이 효과가 있는지도 ... ...
내 몸에 맞는 생체시계 공부법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나는 아침형인가 저녁형인가사람마다 각성 충동와 수면 충동이 일어나는 시각은
차이
가 있다. 열 명 중 한 명은 남들보다 시각이 빠른 ‘아침형’, 두 명은 시각이 늦은 ‘저녁형’이다. 영국 서레이대의 더크 딕 교수는 아침형과 저녁형은 생체시계를 관장하는 유전자 중 하나인 per3의 길이가 ... ...
0을'러브'라 부르는 테니스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지름이 약 6.5cm인 걸 고려하면 네트의 양 끝과 가운데는 공 2개 반 정도의 높이
차이
가 난다.그래서 네트의 가운데로 공이 지나가도록 치면 네트에 걸릴 위험이 적다. 공을 코트의 대각선 방향으로 치면 네트의 가운데를 지난다. 테니스를 칠 때 팔이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자세도 ... ...
이전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