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d라이브러리
"
차이
"(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양한 눈으로 바라본 세상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하고 있어 흔히 카메라와 눈을 비교하기도 한다. 카메라는 사람과 달리 눈이 하나라는
차이
점이 있기는 하지만 사람의 눈을 기계적으로 모방한 것이 카메라다.사람이 두 눈으로 상을 맺는 것은 다른 영장류와 포유동물에서도 볼 수 있는 특징으로, 거리와 깊이를 판단할 수 있게 한다. 빛은 투명한 ... ...
Part 2. 오후 6시가 되면 마법사가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빨아들이지만, 태풍은 가운데 부분(눈)에서 건조한 공기가 하강해 날씨가 맑다는 것도
차이
점이다. 태풍은 평균적으로 1년에 27개가 발생하며, 그중 3개 정도가 한국에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국가 태풍센터는 북서태평양지역에서 태풍이 발생한 위치와 시각, 경로 등을 체크하고 3일 뒤의 경로와 ... ...
북극 빙산으로 아프리카 갈증 푼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것이 가장 효율적이었다. 배를 3~4척으로 늘려도 운반 기간이나 효율 면에서는 큰
차이
가 없었다.무쟁 씨는 “배는 빙산이 움직이는 방향을 조정만 할 뿐”이라며 “해류의 힘을 이용해 빙산을 옮긴다”고 강조했다. 이는 바닷물을 ‘컨베이어 벨트’처럼 이용한다는 얘기다. 때로는 바람도 ... ...
PART 2 수학을 소재로 한 공포영화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신성하게 여겼어요. 원처럼 스스로 닫혀 있는 상태라고 생각했죠.숫자 2는 갈등이나
차이
를 나타내는 이중성을 의미해요. 두 원이 겹친 것을 보고 주인공은 숫자 2를 떠올리죠. 숫자 3은 하늘과 땅, 바다로 이뤄진 세계의 삼중성을 뜻해요. 즉 전체를 나타내죠. 숫자 4는 신을 뜻해요.주인공은 ... ...
나에게 유리한 수시 전략 세우기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이 여러 대학에 지원해 중복합격이 많이 나타나 대학별로 성적
차이
가 크지 않다. 그만큼 합격자의 성적도 높아 주요 대학의 경우 평균 석차등급 1.5등급 이내에서 합격선이 분포한다. Step1. 수능 최저학력 기준 확인하기 학생부 교과 성적이 수능 모의고사 성적에 비해 ... ...
고양이가 혀로 물 마시는 건, “볼 때문이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개과의 맹수류는 안타깝게도 우리처럼 입을 대고 물을 마실 수가 없다. 숨을 들이켜 압력
차이
로 물을 빨아 당기려면 입이 벌어진 부분이 온전히 물속에 잠겨야 하는데 맹수류는 입이 주둥이 양쪽 뒤까지 찢어져 있기 때문에(그래야 먹이를 물 때 턱을 많이 벌릴 수 있다) 양옆으로 틈이 생긴다.이 ... ...
[life & tech] 집중호우 예측, 64배 섬세해진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집중호우를 100% 정확하게는 예측할 수 없다. 왜냐하면 날씨는 초기의 매우 작은
차이
가 임의 시점부터 급격하게 커지기 때문이다. 수치예보의 초기 값은 앞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상당히 부족한 관측 자료로 구성되므로 초기 값의 부정확성은 항상 존재한다.수치예보는 발생할 확률이 높은 시나리오 ... ...
실험실 밖 세상의 화학 탐구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수행하고 그
차이
를 확인하려고 했다. 가설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록수와 활엽수에
차이
가 나타나야 하는데 정교한 실험을 위해 실험 방법을 수정해 재실험했다. •녹말/포도당 재실험의 개선점 - 포도당 실험에서 정확성을 위해 식물(상록수와 상록수가 아닌 것)의 잎을 빻아서 실험했다. - ... ...
PART 1 오디션에 숨어 있는 3가지 수학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진행된다. 참가자들의 당일 컨디션과 공연의 내용에 따라 심사위원과 시청자의 점수는
차이
가 날 수밖에 없다. 원래 실력이 아무리 뛰어나더라도 그날 다른 참가자의 공연과 비교할 때 합격점을 통과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기준이 변하기 때문에 합격점도 매번 바뀌기 마련이다. ... ...
PART 1 비를 알면 비행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아름다움에 빗대어 ‘기하학의 헬레네’ 라 부른다.*양력날개의 윗면과 아랫면의 기압
차이
로 인해 발생하는 힘이다. 이는 새 또는 비행기를 공중에 날 수 있도록 하는 힘이다.활공 비행에 유리한 비행기 날개활공 비행에 유리한 비행기를 만들려면 무조건 가로·세로 비의 값이 큰 날개를 만들어야 ... ...
이전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