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d라이브러리
"
차이
"(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수학적 사고력에 진짜 도움이 될까?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한국교육개발원이 개발한 수학적 창의력 검사지로 창의력 점수를 측정한 뒤 실력
차이
가 나지 않도록 두 집단으로 나눴어. 실험집단은 한 달간 1주일에 네 번, 한 번에 30분씩 숫자퍼즐과 도형퍼즐을 풀었고, 비교집단은 평소처럼 퍼즐을 풀지 않았지.한 달이 지난 뒤 창의력 검사를 한 결과 ... ...
수학·과학의 나눔터 울산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문학과 과학은 다른 듯 닮았다.울산대 과학영재교육원에는 문학과 과학의 공통점과
차이
점을 찾는 교육 프로그램이 있다. ‘주제탐방’ 이라는 프로그램에서 첫 번째로 다루는 주제가 바로 ‘문학과 과학’ 이다. 영재교육원에서는 매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쓴 글 하나를 학생에게 소개한다. ... ...
운석 키트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지표면이 굳어 생긴 암석을 이차생성물이라고 한다. 운석은 아니지만 지표면 암석과
차이
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초등교과서에는 운석이 아닌 이차생성물의 사진이 실렸다.만질 수 있는 운석 키트, 9월 출시이렇게 가치 있는 운석을 직접 볼 수는 없을까. 자연사박물관에 가면 운석을 볼 수 있지만 ... ...
지구 만든 미생물로 환경오염 처리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나노선이 나온 것을 증명했습니다.”나노선을 발견할 수 있었던 이유는 반응속도의
차이
때문이었다. 허 교수는 반응 속도를 낮춰 반응 과정까지 면밀히 살펴 중간에 생기는 나노선을 발견했다.“나노선 상태를 유지하면 우라늄을 만들거나 회수하는 과정에 미생물을 넣어 고순도의 우라늄을 얻기 ... ...
최종병기 활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줌통을 쥔 손과 시위를 당긴 손이 이루는 힘의 직선 방향과 약간 어긋나게 된다. 이
차이
탓에 화살은 활을 떠날 때 출전피를 스치면서 시위를 당긴 것과 반대 방향으로 살짝 휘게 되고, 이렇게 휜 화살은 다시 화살 자체의 복원력 때문에 조금 더 휜다. 즉 화살은 원래 조준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 ...
시조새는 공룡이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이전에 발견된 깃털을 가진 수각류(육식공룡. 예를 들어 벨로키랍토르)들과 별다른
차이
가 없어 보인다. 하지만 이 작은 깃털공룡을 연구한 결과 지난 150년이라는 세월 동안 ‘새의 조상’으로 불리던 ‘아르카에오프테릭스(Archaeopteryx, 이하 시조새)’의 지위가 위협받게 됐다. 시조새를 원시조류가 ... ...
[life & tech] 사장님과 말단사원, 누가 더 스트레스 받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말이 시사하듯이 주어진 상황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스트레스를 받는 정도에 큰
차이
가 난다. 부여다사랑병원 최명기 원장은 “생활하는 데 충분한 여유를 갖고 있는 사람들조차 ‘먹고 살자고 일한다’는 얘기를 한다”며 “이는 우리 뇌의 진화상태가 여전히 석기시대에 머무르고 있기 ... ...
생태계의 보고 갯벌, 시민이 지킨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1km2가 채 안 될 정도로 작았다. 100km2를 가뿐히 넘는 갯벌이 수두룩한 우리나라와는 천지
차이
였다. 통역과 안내를 맡은 이응철 사가대 지역사회개발학과 교수는 “큰 갯벌에 익숙한 우리나라 사람들 눈에는 너무 작아서 갯벌로 보이지도 않을 것”이라고 미리 귀띔해 줬다.도시 북서쪽에 자리한 ... ...
해양관측 바다를 보면 OO 이 보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정도가 각각 달라요. 그래서 육지와 바다는 늘 온도
차이
가 나지요. 이런 온도의
차이
는 공기를 움직이게 하는데, 이런 변화가 바로 날씨에 영향을 준답니다. 따라서 날씨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바다의 변화를 잘 관찰해야 해요. 공기는 차가우면 밀도가 커져서 아래로 가라앉아요. 가라앉은 공기들은 ... ...
1981년 마틴 에번스 교수의 생쥐 배아줄기세포 확립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관심은 인간배아줄기세포로 넘어갔다. 그러나 설치류와 영장류는 발생학적으로
차이
가 꽤 크기 때문에 먼저 원숭이의 배아 줄기세포를 연구했다. 미국 위스콘신대 제임스 톰슨 교수팀은 1995년 붉은털원숭이의 배아줄기세포주를 확립하는데 성공했고 3년 뒤인 1998년 마침내 인간배아줄기세포주를 ... ...
이전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