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d라이브러리
"
차이
"(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 공부의 적극적인 확장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증명, 검증한다. 4) 연구 결과 실험으로 구한 π값이 2.82~3.19 정도로 실제 값인 3.14와 큰
차이
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바늘이 평행선과 만날 확률, 즉 (평행선과 만난 바늘의 개수)/(던진 바늘의 개수)=2L/πd임을 알 수 있다. 나만의 관점을 제시한 선행학습형 중학교 과정을 넘어서는 내용을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대지진 바로 알기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지진의 규모는 발생 당일 8.8로 알려졌다가 이틀 뒤 9.0으로 상향 조정됐다. 불과 0.2의
차이
지만 지진의 에너지는 2배가 커진 셈이라는 설명이 덧붙었다. 지진의 규모와 에너지는 어떤 관계가 있는 걸까?지진의 규모는 지진계가 관측한 자료를 수학적으로 분석해 알 수 있다. 땅속에서 진동이 발생하면 ... ...
Part 3. 수학과 과학은 서로 다르다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과학은 관심분야도 다르죠.조금 쉬운 예를 들어볼까요. 점과 선으로 수학과 과학의
차이
를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점은 무엇이죠? 크기가 없고 공간을 차지하지 않지만 위치를 나타낼 수 있는 도형 입니다. 선은 위치와 길이는 가지고 있지만 폭과 두께가 없는 점들의 모임이죠. 수학에선 크기가 없는 ... ...
스마트시대, 우리는 스마트해졌나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작업기억’이라고 부른다.고려대 김상일 교수는 “작업기억의 용량은 사람마다
차이
가 있는데 소위 머리가 좋다는 사람들이 용량이 크다고 볼 수 있다”며 “그럼에도 본질적으로 멀티태스킹을 능숙하게 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그러나 설사 사람의 정보처리능력이 보잘 것 없더라도 요즘 ... ...
2기 독자위원회 첫 모임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묘사해 알기 쉬웠다”고 하셨습니다. “양성가닥RNA와 음성가닥RNA가 복제되는 시스템의
차이
에 대한 설명이 추가됐으면 좋았겠다”는 바람을 전하셨습니다.이 밖에도 ‘독자 엽서에 기사에 대한 질문란을 만들었으면 좋겠다’는 의견, “스마트폰이 없어 QR코드를 이용하지 못하는 독자를 위해 ... ...
능동적이고 똑똑한 웹 만들기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메일과 스팸 메일의
차이
가 뭔지 아세요? 정보를 받는 사람이 유용하다고 느끼면 추천 메일이고, 쓸모가 없으면 성가신 스팸 메일입니다. 정보를 받는 사람에게 꼭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야 득이 되죠.”이상구 서울대 공대 컴퓨터공학부 교수는 음악 추천 서비스를 예로 들어 컴퓨터가 어떻게 ... ...
젊은 여성 위협하는 3대 질환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양성·악성질환은 에스트로겐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정설이다”고 말했다.정도의
차이
는 있어도 생리와 배란을 계속하게 되면 에스트로겐을 꾸준히 배출하기 때문에 임신을 하지 않은 미혼 여성이 기혼 여성에 비해 질병에 취약할 수 있다. 유지훈 원장은 “생리를 오래, 많이 할수록 ... ...
Part 1. 과학이 낳은 명탐정 홈즈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시스템은 미국 등에 비해 많이 낙후된 실정이다. 특히 과학수사 교육에서 극명한
차이
가 난다. 미국에서는 과학수사의 모든 분야를 아우르는 교육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어 이를 이수한 사람만이 증거물을 취급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에는 이런 프로그램이 없다. 창피한 이야기지만 필자도 ... ...
1984년 발터 게링 교수의 호메오박스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채 출간했고 그 결과 호메오박스라는 용어는 살아남았다.초파리와 사람, 아미노산 하나
차이
호메오박스의 발견은 단순히 초파리 발생과정의 비밀 하나를 풀었다는 정도가 아니라는 사실이 곧 밝혀졌다. 당시 생명과학센터에는 개구리의 발생과정을 연구하는 에디 드 로버티스 교수가 있었는데 게링 ... ...
수학으로 쏙쏙 밀어 넣는 포켓 당구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성장하도록 도와준 사람은 바로 대만의 류신메이 선수였다. 김 선수와 무려 14살이나
차이
나는 노익장이었다. 그녀는 그 시합을 생생히 기억하고 있었다.“7선승 경기에서 제가 6:1로 이기고 있었어요. 그 당시 이 점수라면 한국에서는 저를 이길 선수가 없었어요. 근데 제가 역전패를 당한 거예요. ... ...
이전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