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방사능벨트가 지구 보호한다고?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네이처’에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실렸습니다. 미국 콜로라도대 대기 및 우주물리연구소(LASP) 다니엘 베이커 교수팀은 지구 상공 1만 1000km 인근에서 고에너지 킬러 전자를 완벽하게 차단하는 보호막을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 인공위성을 고장 내는 주범이라고만 생각했던 반 앨런대가 ... ...
- [Knowledge] 그 많던 플라스틱은 누가 다 먹었을까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사라진 플라스틱’이 잠들어 있을까. INTERVIEW 프랑수아 갈가니(프랑스 국립해양개발연구소 소장)‘플라스틱+미생물’ 덩어리 어디로 갈지 예측조차 안 돼심해저에 가라앉은 플라스틱이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하지만 표층에 떠 있는 플라스틱의 영향을 ... ...
- [Knowledge] 초속 299,792,458m를 약속하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맥스웰 방정식에 이미 존재했던 것이다.If?빛보다 빠른 입자가 있다면?2011년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한 과학자는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를 찾았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특수상대성이론을 정면으로 반박하는 결과에 물리학계는 큰 혼란에 빠졌다. 이후 이 연구결과가 틀렸다는 결론이 나오고 ... ...
- PART 3. 빙하시대의 거대동물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숨어 살다 전세를 역전한 또다른 포유류, 인류다.임종덕_dinostudy@outlook.com국립문화재연구소 천연기념물센터 학예연구관으로 동물과 지질분야 천연기념물 연구와 업무를 총괄하고 있다. 미국에서 자연사 박물관학과 척추고생물학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공룡과 매머드 등의 전문가로 ... ...
- [Hot Issue] 전기, 이제 주변에서 수확한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스마트폰 두 대 이상을 충전할 수 있다.에너지 하베스팅이라는 개념은 1954년 미국 벨연구소가 태양전지 기술을 공개할 때 처음 나왔다. 대표적으로 태양광을 수집하는 태양전지, 열을 모으는 열전소자, 진동이나 기계적 변위를 전기로 전환하는 압전소자, 전자기파를 수집하는 RF 방식 등이 있다. ... ...
- [생활] 빅 히어로 천재 형제, 가장 사랑스러운 슈퍼히어로를 만들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영화 의 돈 홀 감독은 베이맥스를 구상하는 과정에서 미국 카네기멜론대 로봇연구소를 찾아가 자문을 구했다. 로봇공학과 크리스 앳킨슨 교수는 돈 홀 감독에게 자신이 연구 중이던 소프트로봇을 소개했다. 바로 비닐 소재로 만든 로봇팔(아래 사진)이다. 돈 홀 감독은 이 로봇에서 ... ...
- 깜짝 놀라지 않을 턱이 있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친구들은 자신의 얼굴에 얼마만큼 만족하나요? 혹시 얼굴이 너무 둥글다거나 턱이 나왔거나, 얼굴이 조금만 갸름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 친구들이 있나요? 최근에는 턱이 뾰족하고 갸름한 얼굴형이 인기예요. TV에 나오는 스타들도 대부분 얼굴이 갸름하지요. 그런데 놀랍게도 ... ...
- 컴퓨터 vs 인간 수학 왕좌의 게임수학동아 l2015년 02호
- NP 문제가 대표적인 경우”라고 밝혔다. 컴퓨터과학에서 시작된 P대 NP 문제는 클레이 수학연구소가 발표한 7개의 밀레니엄 문제 중 하나다. 문제의 요점은 답을 찾는 게 쉬운 경우(P)와 답이 맞는지 확인하는 게 쉬운 경우(NP)가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지다.일반적으로 답을 찾기 쉬우면 그 답이 맞는지 ... ...
- 800년 동안 바다 속에 있던 보물선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세금으로 거둔 곡물을 한양으로 운반하던 조운선 등이 떠 있답니다.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수중문화재를 발굴하고 전시하는 유일한 기관이에요. 오랜 세월을 거쳐 바다 밖으로 모습을 드러낸 우리 문화유산을 통해 과거 여행을 떠날 수 있었던 뜻깊은 시간이었답니다 ... ...
- [지식] 펭귄의 남극살이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젠투펭귄과 턱끈펭귄의 주요 서식지를 ‘펭귄마을’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습니다. 극지연구소의 김정훈 박사님도 매년 남극에 가서 펭귄을 비롯한 여러 새를 관찰하고 있지요.원래는 도둑갈매기로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처음 시작했을 때는 세종기지가 있는 지역의 조류 정보가 부족해서 독일 ... ...
이전2372382392402412422432442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