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2015 아벨상 수상자 존 내시, 루이스 니렌버그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캐나다 몬트리올의 맥길대에서 수학과 물리학을 공부했다. 뉴욕대 쿠란트 수학연구소에서 1949년 교수 직위를 받고 1999년까지 일했다. 그는 이번에 공동으로 상을 받는 존 내시를 ‘천재’라고 표현하며 평소 부러워했다고 한다.대신에 니렌버그가 가진 탁월함은 바로 융화력이었다. 혼자 연구하고 ... ...
- 2115년 인류 화성 정착기수학동아 l2015년 05호
- 같은 수치로 알 수 있다.몸무게를 알면 도시의 미래도 점쳐볼 수 있다. 2012년 미국 산타페 연구소의 루이스 베텐코트 교수는 임금, 특허, 통화량처럼 도시가 만들어내는 긍정적 가치(Y)와 범죄, 질병 같은 도시의 부정적 요소(W)를 뺀 수치(Y-W)와 도시의 몸무게(G) 사이의 관계를 그래프로 그렸다.이 ... ...
- 조류인플루엔자 좇는 초소형 위치추적장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백운기 박사와 한국환경생태연구소 이한수 박사 공동연구팀은 세계에서 가장 가벼운 야생동물 위치추적장치 ‘WT-200’를 개발했어요. 이 장치는 무게가 22g로, 기존 장치(50g)보다 훨씬 가벼워요. 그래서 오리와 기러기처럼 몸집이 작은 겨울철새의 몸에 붙여도 움직이거나 하늘을 나는 데 방해되지 ... ...
- [생활] 나만의 주치의, 맞춤의학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차세대 맞춤의학을 위해 관련 SW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박웅양 삼성서울병원 삼성유전체연구소장은 “이제 SW는 의료 분야에서 쓰는 또 하나의 중요한 언어”라며, “이를 잘 활용하는 사람이 미래 의료 분야의 리더”라고 말했다. 서정선 교수는 “SW를 다루는 능력보다는 SW를 만드는 알고리즘을 ... ...
- PART2. 소년이여, 신화가 되어라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에너지를 만들려면 양전자와 반양성자를 각각 3×1023개씩 모아야 한다.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반양성자감속기(AD)를 이용하면 1년에 반양성자 10조(1013)개를 만들 수 있는데, 이 속도로 모으면 3×1010년이 걸린다. CERN에서 추산한 비용은 7경원(62조5000억 달러). 그냥 핵폭탄을 쓰면 안 될까.AT필드 ... ...
- [Knowledge] 펨토초 엑스선으로 본 세상, 분자가 결합하는 찰나를 포착하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방사광가속기 에서만 얻을 수 있다. 사진은 이효철 교수가 실험할 때 이용한 일본 이화학연구소 (리켄)의 4세대 방사광가속기 ‘SACLA’.]“일반적인 화학 결합 관찰하는 게 목표”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그간 볼 수 없었던, 펨토초 시간대에 일어나는 일반적인 화학 결합을 볼 수 있을 것으로 ... ...
- [Knowledge] 1300년 전 석탑, 그 원형을 찾아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이르자 보수를 해야 할 단계가 됐습니다. 급하다면 급한 상황이었는데, 국립문화재연구소는 다른 방법을 택했습니다. 토론을 거쳐 최대한 신중하게 보수정비를 하기로 한 것입니다.연구도 병행했습니다. 탑을 들어내면서 해체 전과 중간, 후에 각각 3D 스캐너로 탑의 입체 정보를 기록 했습니다. ... ...
- 닥터 그랜마도 깜짝 놀란 사물인터넷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스킨’이 될 수 있어요.접히고 구겨지는 자기장 센서최근 독일 드레스덴 라이프니츠연구소와 일본 도쿄대학교 공동연구팀은 아주 얇고 유연해서 접거나 구겨도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자기장 센서를 개발했다. 음료수 병으로 쓰는 대표적인 합성수지인 ‘페트(PET)’ 로 만든 얇은 필름에 자기장을 ... ...
- [Knowledge] 7전 8기, 일반상대성이론의 탄생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막스 플랑크는 아인슈타인에게 독일 베를린대 정교수직과, 새로 건립된 물리-기술 제국연구소(PTR) 소장 자리를 제안했다. 강의나 잡무에 시달리지 않고 연구에 몰두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이었다. 아인슈타인으로서는 이를 사양할 아무런 이유가 없었다. 드디어 1914년 3월 말 베를린에 도착한 ... ...
- [Hot Issue] 올해 벚꽃, 제 날짜에 필까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밝혔다. 봄의 ‘온기’로 개화 시간 안다이 모형은 10여 년 전 이탈리아 생물기상연구소(IBIMET)가 개발했다. 온대수목의 꽃눈 분화 · 휴면 · 발아 · 개화 등에 이르는 전 과정을 시간과 온도 개념을 붙인 ‘냉각량’과 ‘가온량’으로 표현한다. 개나리나 벚꽃처럼 봄에 꽃을 피우는 식물들은 전 해 ... ...
이전2332342352362372382392402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