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회
공학
연구실
대학
학회
사회정책연구소
사회
d라이브러리
"
연구소
"(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거짓말 잘하는 비결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할 때 내 얼굴이 어떻게 변하나 보려고 되지도 않는 뻥을 쳤다. 김형희 한국바디랭귀지
연구소
소장이 진실과 거짓을 섞어서 대답하라며 20가지 질문을 던졌다.김 소장은 “진실과 거짓을 말할 때 얼굴에 미세한 차이가 나타난다”며 스스로 한번 보라고 녹화파일을 보내줬다.얼굴에 변화라. 봐도 ... ...
[Hot Issue]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거대한 공동묘지를 연상케 했다. 놀라는 기자에게 김동수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
연구소
박사는 “방제가 깔끔하게 잘 됐네요”라며 힘없이 웃어 보였다.“저희도 밤에 보면 으스스 하지예. 기분이 묘합니더. 제주도에서는 몇 백 년 된 큰 소나무도 많이 죽었십니더. 맨날 보는 저도 충격을 받았을 ... ...
[Knowledge] 건축물 진단하는 ‘문화재 의원’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8개월 만에 3cm 기울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난리가 났었지요. 하지만 국립문화재
연구소
에겐 이미 10년 전부터 해온 기울기 측정 자료가 있었습니다. 그에 따르면 첨성대는 기울어 있긴 했지만 진남관처럼 변형이 진행되는 경우는 아니었습니다. 안전에 큰 문제가 없는 경우였지요. 물론 문화재청은 ... ...
양띠 독자가 나섰다! 양의 비밀을 밝혀낼 거양!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자궁에서 제대로 자라난 배아는 돌리뿐이었지요.하필 왜 양을 복제했을까요? 로즐린
연구소
에서는 원래 소를 복제해 우유와 고기의 생산량을 늘리는 연구를 하고 있었어요. 그런데 소는 너무 비쌌고, 난자를 꺼내기도 힘들었어요. 그래서 찾아낸 동물이 양이랍니다. 양은 소과에 속하는 동물이라 ... ...
화재 막는 과학 우리 집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4호
많이 사용하지만, 불이 나면 금방 타고 유독가스가 나와 아주 위험하지요.국립과학수사
연구소
에서 조사한 결과, 주차장에 있던 4륜 오토바이에서 전선이 합선되면서 생긴 작은 불꽃에서 불이 시작된 것으로 나타났어요. 불꽃은 벽이 없어 바람이 자유자재로 부는 필로티 주차장에서 자동차 연료, ... ...
[Knowledge] 한반도 고래 혼획 보고서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혼획을 가장한 불법 포경은 바다생태계를 위협하는 큰 요인이다. 국립수산과학원 고래
연구소
는 2011년부터 ‘고래자원의 보존과 관리에 관한 고시’를 시행해 불법 포획을 단속하고 혼획량을 조사해 발표하고 있다. 이런 혼획량을 조사하는 국가는 현재 한국과 일본뿐이어서 전 세계적으로 혼획되는 ... ...
[Knowledge] 야생동물 천국에서 낯선 기생충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워크숍에 참석한 사이먼 음두마 탄자니아 야생동물
연구소
장은 “지난 2년 동안
연구소
재은행과 함께 일하며 야생동물뿐 아니라 동물에 붙어사는 기생충과 세균 등도 모두 보존해야 한다는 사실을 새로 알게 됐다”며 “앞으로 현지에서 직접 샘플을 채취해 한국으로 보내는 작업을 확대할 ... ...
현미경으로 들여다본 아주 작은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4호
혹시 꿈이라도 꾸고 있는 걸까요? 이건 미국 버지니아주에 있는 하워드휴즈의학
연구소
의 이고르 시바노비치 박사의 사진작품이에요. 갈색개 참진드기의 배와, 벼룩의 입을 현미경으로 관찰해서 찍었지요. 과학자들은 아주 작은 곤충이나 미생물, 세포를 현미경으로 관찰할 때 부위별로 쉽게 ... ...
[생활] 인간을 닮은 컴퓨터, 인공지능
수학동아
l
2015년 04호
경고하기도 한다. 하지만 무작정 두려워할 필요는 없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W콘텐츠
연구소
의 김현기 박사는 “인공지능 소프트웨어는 인간이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도구”라며, “이를 잘 활용하면 인간은 더 창의적이고 고차원적인 지적 활동을 할 시간을 벌 수 있을 것”이라고 ... ...
Part 2. 한반도 덮치는 무서운 물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NASA)의 그레이스(GRACE) 위성이 내놓은 결과는 더욱 충격적이다. NASA 제트추진
연구소
의 제이 파미글리에티 박사는 2014년 11월 ‘네이처 기후변화’에 논문 한 편을 발표했다. 파미글리에티 박사는 가뭄 때문에 지구 전체의 지하수 사용이 늘어 더 이상은 자연적으로 보충될 수 없을 지경이라고 밝혔다. ... ...
이전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