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층
성층
뉴스
"
지층
"(으)로 총 263건 검색되었습니다.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
과학동아
l
2016.10.01
아니지만, 한반도가 위치한 유라시아판이 인도판과 태평양판 사이에 끼어 있는 탓에
지층
에는 계속해서 압력이 쌓인다. 이것이 지반이 약한 단층대를 따라 한 번에 방출되는 게 지진이다. 이윤수 지질연 지질조사연구실 책임연구원은 “이번 지진의 특성을 좀 더 살펴보면 주향이동 단층의 ... ...
한국 판 경계면 아니라 다행? ‘불의 고리’ 밖 지진피해 더 컸다
2016.09.30
판 내부지진에 비해 판 경계지진의 파괴력이 크다. 땅이 위아래로 흔들리기 때문이다.
지층
이 압축되면서 밀려 올라가는 역단층이나, 양쪽으로 잡아당겨지면서 단차가 생기는 정단층 형태의 지진이 대부분이다. 이런 지진은 2011년 동일본대지진 때처럼 거대한 지진해일(쓰나미)을 일으키기도 한다. ... ...
(상보)경주서 또 규모 4.5 지진… “여진 가능성 높다”
2016.09.19
지난 번 지진과 같은 ‘양산 단층’ 대에서 일어난 지진으로, 전체적으로 지진이
지층
의 이동에 따라 차츰 남쪽으로 이동하며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 지진연구센터 측의 분석이다. 19일 지진은 또 다른 강진의 전조 현상일 확률은 낮지만 땅속 깊은 단층에서 벌어지는 사건이라 ... ...
한반도 역사상 가장 강한 지진 덮쳤다
2016.09.13
비교하면 이례적이다. 두 번의 지진이 일어난 단층은 서로 연결돼 있다. 첫 번째 지진은
지층
이 땅속에서 수평으로 1㎞, 두 번째 지진은 수평으로 수㎞ 이상 이동한 것으로 분석했다. 지반이 약한 곳이 크고 작은 단층이 모여 있는 단층대다. 국내 활성단층은 총 60여 곳에 달하는데 이 단층들은 ... ...
37억 년 전 지구엔 이미 생물이 번성했다!
2016.09.12
화석이다. 호주 북서부 노스 폴에는 화산암과 퇴적암으로 이루어진 두터인
지층
인 와라우나 층군(Warrawoona Group)이 있다. 1980년 학술지 ‘네이처’에는 무려 35억 년 전 형성된 와라우나 층군에서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을 발견했다는 논문이 실렸다. 지구에서 생물의 역사를 획기적으로 늘린 ... ...
화산 없는데 땅 밑에 웬 마그마
과학동아
l
2016.07.21
융기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 올림픽 규격 수영장 8만 개를 채울 만한 양의 마그마가
지층
밑에 축적돼 왔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뉴질랜드에는 활화산이 여럿 있지만, 마타타 근처에는 적어도 40만 년 동안 활화산이 존재하지 않았다. 연구팀은 2004~2011년 사이 이 지역에서 일어난 잦은 지진이 ... ...
‘호빗’의 조상, 70만 년 전에 존재했다.
2016.06.20
재조사한 결과 토양이 무너져
지층
이 뒤섞였다는 걸 발견하고 주위의 보존이 잘 된
지층
에서 발견된 시료를 갖고 연대측정을 다시 했다. 그 결과 기존 9만5000년~1만2000년 전 대신 10만~6만 년 전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한편 플로레스섬이 포함된 오스트레일리아 지역에 현생인류가 발을 내디딘 건 대략 ... ...
석유·가스 찾아 세계 누비는 ‘5000t급’ 탐사선 새로 만든다
2016.06.01
심부구조 연구와 이산화탄소 해저지중저장(CCS) 저장소 탐사 그리고 시간에 따른
지층
변화를 관측하는 4D(4차원) 모니터링 등을 통해 지구에 대한 이해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탐사·연구활동을 수행할 예정이다. 지질연은 현재 운영 중인 ‘탐해2호’가 1996년 건조된 국내 최초‧유일의 ... ...
5900t급 이사부 호, 취항 준비 이상 무
과학동아
l
2016.05.04
관통하면서 원통 안에 퇴적물이 채집된다. 코어가 깊게 박힐수록 더 오래 된 해저
지층
과 지질의 변화를 연구할 수 있다. ‘염분 수온 수심 측정기(CTD)’도 4월 초 동해 시험 운항에서 작동을 시작했다. CTD는 부피가 12L인 원통 36개가 연결된 해수 채집기다. 36곳의 해수를 지점별로 채취해 전기전도도, ... ...
“
지층
밀도 높을수록 지진 규모 커”
2016.03.03
3일자에 발표했다. 또 모델링을 통해 분석한 결과 일본 북동쪽으로 갈수록
지층
이 받는 중력이 강하다는 사실도 밝혔다. 이 지역은 1896년 이후 규모 7 이상의 큰 지진이 계속해서 발생했다. 이와 대조적으로 일본 남서쪽을 이루는 층은 밀도가 낮은데, 여기서는 1923년 이후 규모 7 이상의 지진이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