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층
성층
뉴스
"
지층
"(으)로 총 263건 검색되었습니다.
남극에서 귀한 돌이 운석뿐이랴, 또 다른 돌 화석을 찾아라
2016.02.05
맡았다. 올해 베이스캠프를 친 곳은 약 3억 년 전인 후기 고생대 페름기에 형성된
지층
이 있는 곳이다. 당시 남극에는 얕은 강이 흘렀고 나무도 자랐다. 이를 입증하듯 베이스캠프 주변에서는 겉씨식물로 추정되는 나무 화석이 대거 발견됐다. 헬기를 타고 약 100㎞ 날아가자 종자고사리 잎 화석도 ... ...
“내 아를 낳아도” 육식공룡 구애 흔적 발견
과학동아
l
2016.02.04
연구팀은 구덩이 모양의 화석 50여 개를 미국 콜로라도 주의 1억 년 전 중생대 백악기
지층
에서 발견했다. 구덩이 안에는 공룡이 발톱으로 긁은 흔적이 남아 있었다. 연구팀은 이를 대형 육식공룡 수컷이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땅바닥을 긁어댄 흔적이라고 판단했다. 이족보행하는 수각류 ... ...
태백산 광맥, ‘3D’ 모델링으로 찾는다
2015.12.09
세츨러 캐나다 지질조사소 연구원은 “현재의 지질모델링 기술을 통해서는 복잡한
지층
구조를 완전히 파악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며 “지질학적 지식에 기반 한 수치모델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패널 토의에 참가한 박맹언 부경대 교수, 이태섭 KISTI 전문연구위원, 조성준 ... ...
음악검색 원리 이용해 지진예보한다
2015.12.08
일반적으로 땅 속 단층에서 발생한 지진파는 관측소에 이르기까지 통과하는
지층
이 동일하기 때문에 특성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이런 특성이 지진을 구분하는 ‘지문(fingerprint)’ 역할을 하는 셈이다. 연구팀이 FAST를 이용해 6개월 분량의 대용량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기존 방식에 비해 검색 ... ...
2억5000만 년 뒤 모든 대륙, 하나로 모인다
2015.11.20
그는 열대나 온대 지역에 빙하의 흔적이 남아있고 남극 대륙에서 열대 우림 지대의
지층
이 발견된다는 점에 의문을 품었다. 이에 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의 해안선 모양과 두 대륙에서 비슷한 화석이 발견된다는 점 등을 덧붙여 대륙이동설을 주장했다. 하지만 당시 과학자들은 지구 내부가 단단해 ... ...
지구 최북단 영구동토 탐험… 맘모스 세포 찾아 인류기원 밝힌다
2015.10.23
네덜란드 등 국제 공동 조사단과 함께 매머드 발굴 작업을 벌였다. 5, 6층의 계단으로
지층
을 파내고 10여 m 깊이에서 매머드의 흔적을 찾았다. 그 결과 매머드의 다리뼈와 코뿔소를 닮은 고대 동물인 ‘리노세로스 시베리아(Rhinoceros siberia)’의 뼈를 새롭게 발견했다. 여기서 발굴된 화석은 현재 ... ...
‘분수의 기초’도 안 배웠는데 ‘분수 덧셈- 뺄셈’이 불쑥…
동아일보
l
2015.07.16
3학년 때도, 4학년 때도 분수의 기초는 등장하지 않았다. 또 과학 과목에서도 ‘
지층
과 화석’ ‘지표의 변화’ 등이 사라졌다. 교육부는 별지 형태의 수업 보충자료를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수습했다. 또 올해 초등학교 6학년 국어 교과서는 이 학생들이 지난해 배웠던 5학년 국어와 40여 ... ...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06.30
생겼다고 해서 마블바라고 부르는데 마치 소고기 마블링처럼 보이기도 한다. 이런
지층
이 100km 이상 길게 이어져 있다. 필바라의 암석 중에는 35억 년 전 편평하게 쌓인 현무암이 오랜 기간 사방에서 밀려드는 압력에 의해 수직으로 선 것이 있다. 고온 고압의 환경 때문에 광물질이 재배열돼 변성암이 ... ...
“철제 솥 찾아라” 명령 받은 크랩스터, 2시간 만에 임무 완수
동아일보
l
2015.04.30
진흙을 잠수부들이 삽으로 퍼내는 작업을 하고 있다. 이곳은 수심이 10m도 채 안 되지만
지층
이 워낙 단단해 잠수부들이 작업하는 데 애를 먹고 있다. 현재까지 청자와 백자의 도자기편 4개가 나왔지만 마도 5호선의 것인지는 아직 불확실하다. 홍광희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마도해역발굴팀장은 ... ...
한반도 덮치는 무서운 물
과학동아
l
2015.03.27
토양은 하천에 빠르게 도달해 홍수 피해를 키운다. 토양이 쓸려 내려간 자리는
지층
이 얇아져 다시 지하수로 돌아가는 물의 양을 줄이게 된다. 새로 지하수로 유입되는 물은 줄어드는데 농촌의 지하수 사용량은 제대로 관리조차 되지 않는다. 덕분에 지하수의 최종 종착역인 하천은 메마르고 있다.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