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층
성층
뉴스
"
지층
"(으)로 총 263건 검색되었습니다.
[짬짜면 과학 교실] 자연이 쓴 역사책
2018.03.03
그 공룡은 채 식지 않은 용암에 쓰러져 불탔을 겁니다. 이런 짐작이 가능한 걸 보면
지층
과 화석은 자연이 쓴 역사책입니다. ※ 필자 소개 윤병무. 시인. 시집으로 과 이 있으며, 동아사이언스에서 [생활의 시선]과 [때와 곳]을 연재했다. ... ...
국내 最古 유골 흥수아이, 구석기인 아닐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18.03.02
결론을 내렸다. 하지만 당시부터 잡음이 끊이지 않았다. 발굴에서 중요한 증거인 출토
지층
등의 엄밀한 기록이 빠져 있었기 때문이다. 대퇴골 등 긴뼈의 계측치도 누락돼 있었다. 구석기인이 아닐 가능성이 줄곧 제기됐지만, 누구도 입 밖에 꺼내지 않았다. 고고학계 한 원로는 이를 “침묵의 ... ...
1억 년 전 한반도는 '도마뱀-개구리 천국'
동아사이언스
l
2018.03.02
김복철 박사 등과 함께였다. 이들은 깎아지른 절벽을 탐사하던 중 1억1000만 년 전
지층
에서 가정용 도마 두 배 크기의 길쭉한 이암 판에 찍힌 특이한 발자국을 발견했다. 이는 길이가 1.9~2.2cm로 작았는데 모양이 이상했다. 구부러진 발가락이 바깥으로 갈수록 점점 길어져, 네 번째 발가락에서 최고 ... ...
네안데르탈인은 예술가였다...6만4000년 전 동굴 벽화 주인공으로 밝혀져
2018.02.23
발견해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동굴 내에서 발굴된 석기와
지층
정보를 바탕으로 약 4만 년 전의 네안데르탈인이 이 그림을 그렸을 것으로 추정했다. 당시 연구팀은 “네안데르탈인도 추상적인 사고를 할 수 있고 이를 표현할 능력도 있었다”고 주장했다. 2014년 ... ...
3개월 만에 발생한 지진이 포항 지진 여진인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8.02.11
달라진다. 잔잔한 수면에 돌이 던져진 것처럼 새로운 움직임이 생긴다. 소규모 단층이나
지층
에 있는 균열이 더 커질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지진이 생기는 것은 당연하다. 포항 지진은 규모 5.4로 기상청이 지진 관측을 시작한 이래 역대 두 번째로 에너지가 큰 지진이었다. 이 지진에서 발생한 ... ...
지진 조기 탐지의 진화...위성 정보로 대형 지진 정밀 분석
동아사이언스
l
2018.02.09
모의 지진을 통해 검증했다. 왼쪽 사진의 별표가 진원이고 주변 동심원이 지진에 의한
지층
의 움직임이다. 오른쪽이 측지경보시스템으로 재현한 지진이다. 진원도 거의 정확히 밝혔고 규모(8.89)도 가상지진의 규모(8.95)와 비슷하게 추정했다. - 지구물리연구저널 제공 크리스틴 룰 미국 버클리 ... ...
평창 겨울올림픽, 2200만년 전 동해 덕 봤네
동아사이언스
l
2018.01.19
수면 밖으로 상승했다. 특히 고생대 퇴적층이 이 시기에 한반도를 가로지르는 거대한
지층
대인 ‘경기외연대’와 겹쳐지면서 거대한 산맥을 만들었다. 동아일보 제공 평창, 정선 인근 지역에서 볼 수 있는 멋진 화강암 봉우리들은 이보다 약간 뒤인 중생대 쥐라기에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1억700 ... ...
아메리카 대륙 처음 밟은 인류는 3만6000년 전 동아시아인!?
동아사이언스
l
2018.01.04
게 현재의 결론”이라고 밝혔다. 1만1500년 전 어린이 유골 화석을 발견한 알래스카
지층
발굴 현장. - 벤 포터 제공 * 아래는 포터 교수와의 e메일 인터뷰 내용 1. 어떻게 이런 연구를 하게 됐나? -이번에 유골이 발견된 지역을 10년째 연구 중이다. 또 고위도 지역의 인류의 생태 적응에 대해서도 ... ...
35억년 전 생명 탄생 증거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22
박사과정생이 캐나다에서 발견한 미화석(아래). 지구 생성 초기에 만들어진 암석이나
지층
은 수십억 년 동안 변성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미화석이 발견되면 진위 논란에 휩쌓인다. 쇼프 교수의 화석은 1992년에 발견됐음에도 최근에야 진위 논란이 수그러들었다. - 윌리엄 쇼프, 매튜 도드 제공 ... ...
녹는 점 350도 낮은 석영이 거대 지진 키운다?
과학동아
l
2017.12.15
관련 모든 연구를 아우른다. 올해 5월호에는 이성근 서울대 교수 등 공동연구팀이 진행한
지층
속 석영의 녹는점에 대한 연구 결과가 실렸다. 연구팀은 석영이 99%를 차지하는 암석인 규암을 빠른 속도로 마찰시키면 석영 일부가 고온석영으로 바뀌면서 기존에 알려진 녹는점보다 실제 녹는점이 200∼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