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뉴스
"
에너지
"(으)로 총 7,437건 검색되었습니다.
물 속에서 움직이는 초소형 수상 로봇 구동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0.27
연성 구동기는 3V 이하 낮은 전압에서도 동작이 가능했다. 성능 측면에서도 100배 이상의
에너지
밀도와 10배 이상의 출력 밀도를 가졌다. 특히 작은 배터리로도 높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어 초소형·초경량 로봇을 제작하는 데 용이하다. 연구팀은 이를 적용해 물속에서도 동작이 가능한 초소형 ... ...
尹 정부 "文 정부 기후위기대응 선도자 위상 제고...탄소중립 이행기반 마련"
동아사이언스
l
2022.10.26
윤 대통령은 “탄소중립이 우리 산업에 부담으로 작용해선 안 되기에 친환경, 신재생
에너지
에 관한 혁신과 기술발전이 따라야 하고 그것이 우리의 먹거리 산업화가 돼야 한다"며 "이 분야가 그냥 국민 여론을 모아서 할 수 있는 게 아니다. 최고 전문가들이 정책 방향을 조언하고 또 구도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카카오' 사태 반면교사 삼아야...전기차 충전설비는 문제없나
2022.10.26
가하지 말아야 한다는 기본적인 사용수칙을 따라야만 한다. 전기차나 태양광·풍력의
에너지
저장장치(ESS) 또는 데이터센터의 무정전 전원장치에 사용하는 대용량 리튬이온 배터리의 경우에는 훨씬 더 적극적인 화재·폭발 예방 노력이 필요하다. 실제로 2017년부터 6년 사이에 리튬이온 배터리를 ... ...
[과기원은 지금] 이상훈 DGIST 교수팀 전자약용 신경자극기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0.26
재활, 전자약 분야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나노
에너지
’에 공개됐다. ■ 포스텍은 김철홍 기계공학과 교수와 노준석 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광음향 현미경’에 쓸 수 있는 빛나는 섬유를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광음향 현미경은 빛이 흡수될 때 ... ...
[탄소중립 최전선] ⑤전세계 기술실증·탄소저장 프로젝트 급증...한국은 시작도 못해
2022.10.26
활용법인 생물학적 전환이나 광물화에 비해 전환효율이 높고 전환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에너지
원도 크다”며 “예를 들어 화학적 전환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일산화탄소는 초플라스틱을 비롯한 다양한 화학 제품을 생산하거나 합성 연료나 메탄올 같은 대체 연료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물질로 ... ...
암모니아에서 99.99% 고순소 수소 뽑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25
연구진이 국산화에 성공한 팔라듐 복합 분리막과 하루 2 kg 수소 생산이 가능한 분리막 반응기. 한국
에너지
기술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팀이 암모니 ... 9.99% 이상의 고순도 수소를 하루 기준 2kg 정도 생산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
에너지
’에 지난 8월 21일 온라인으로 공개됐다. ... ...
[과학게시판] 국립중앙과학관, 5개 과학관 공동전시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0.24
13일까지 전시회를 개최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전시회에선 프랙탈 구조 체험 전시품,
에너지
저장장치(ESS) 원리 체험 기기 등 중앙·과천·광주·대구·부산 국립과학관의 16개 연구개발 전시품을 선보인다. 전시회는 다음 달 15일부터 12월 11일까지 충북자연과학교육원에서도 이어질 예정이다. ... ...
온실가스 메탄,
에너지
자원으로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23
촉매작용을 일으키려면 매우 높은 온도와 압력이 필요한 공정이 필수적이어서 많은
에너지
와 비용이 필요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자연계에서 메탄을 메탄올로 전환시키는 입자상 메탄산화효소(pMMO)의 생물학적 구조에 주목했다. 효소의 활성화 부위를 모방한 금속유기구조체(MOF)를 ... ...
[과기원은 지금] 김성용 KAIST 교수, 해양 원격 탐사 국제학회 기조연설
동아사이언스
l
2022.10.22
원격 관측을 통해 해양 난류를 이해하고 기후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대기-해양의
에너지
주입 및 전달에 관한 연구가 좋은 평가를 받았다“고 말했다 ... ...
[프리미엄 리포트] 메추리 알과 까치의 알이 색, 무늬가 다른 이유
2022.10.22
잘 잡아야 합니다. 번식 상대를 잘 고르는 것도 중요하지만 후손을 기르는 데에 들이는
에너지
가 개체의 생존을 위협하지 않도록 줄타기를 잘 해야 합니다. 어떤 경우에는 자신의 유전자가 전혀 없는 새끼를 키울 수도 있습니다. 어떤 새들은 자신의 알을 다른 새가 키우게 합니다(탁란). 대표적으로 ... ...
이전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