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뉴스
"
에너지
"(으)로 총 7,434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후 지옥행 가속페달 밟았다"…COP27, 중저소득국가 보상 논의 수면 위로
동아사이언스
l
2022.11.08
호소했다. 그는 "적절한 재정 지원이 있다면 지구온난화를 극복하기 위한 녹색
에너지
를 실천하고 지속가능한 농업을 전개할 수 있다"며 "케냐는 150억 달러(약 21조원) 만큼의 나무를 키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웨이벨 람칼라완 세이셸 대통령은 "우리의 탄소배출 기여도는 미미하지만 가장 큰 ... ...
방사선으로 자동차 부품소재 강도 3배 늘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08
자체 보유한 10MeV(메가전자볼트)급 전자선가속기를 활용했다. 전자선은 파장이 짧고
에너지
효율이 높은 방사선이다. 물질에 쪼이면 빠르고 단단하게 분자 구조를 변화시킨다. 촉매나 경화제도 필요 없어 경화공정시간이 10분 이내로 줄어든다. 연구팀은 40 kGy(킬로그레이) 전자빔으로 3m 크기 대형 ... ...
11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권경민 연구위원·우인근 부장
동아사이언스
l
2022.11.07
성능 이상의 난방이 가능하도록 개선했다. 이를 통해 난방 성능을 30% 개선했고 최대 20%의
에너지
를 절감했다. 권 연구위원은 "세계 최고 수준의 고효율, 친환경 냉난방 공조제품을 지속 개발해 냉난방 공조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탄소중립 실현에 이바지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우인근 부장은 ... ...
[과학게시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22 테크비즈 파트너링'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1.04
류승한 에기연 선임연구원은 한국
에너지
기술연구원의 광열살균필터시스템과 건물
에너지
관리시스템 기술을 적용해 크린테크가 개발중인 AI기반 실내공기질 향상 환기 시스템의 상용화에 적극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양자암호통신 기술 및 구축 동향을 ... ...
[과기원은 지금] UNIST, 귀금속 대체하는 탄소 기반 촉매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표창이라 더욱 뜻깊고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인수일
에너지
공학과 교수팀이 1일 호흡기 전문 기업 '샐릭스'와 산소호흡기용 이산화탄소 흡착제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이산화탄소 흡착제는 지하철 역사, 백화점 등 다중이용시설에서 ... ...
[과학게시판] KIST, 사업화 유망기술 교류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4일 UST 대학본부에서 '제7회 UST 학술제'를 개최한다고 2일 밝혔다. 미래
에너지
원인 핵융합
에너지
부터 암 치료제 개발까지 각 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 다양한 과학기술 연구 개발을 수행하는 과학도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행사다. 'Scientist in Action(행동하는 과학자)'이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 ...
버려지는 나무로 수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바닐린은 식품이나 의약품 원료로 쓰이는 고부가가치 화합물이다. 수소는 친환경
에너지
원으로 꼽힌다. 지구 표면의 70%를 덮고 있는 아주 흔한 원소로 액체나 고압 기체로 저장이 가능하다. 온실가스와 같은 환경오염이 발생하지 않는다. 다만 수소를 생산하는 공정에서 탄소와 같은 지구 온난화 ... ...
[인사] 한국
에너지
기술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한국
에너지
기술연구원 ▽승진 △ 부원장 양태현 ...
[과기원은 지금] 신기정 KAIST 교수, 정보검색 분야 학술대회 튜토리얼 강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UNIST)은 최문기 신소재공학과 교수팀과 양지웅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
공학과 교수팀이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체를 이용해 고효율·고화질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데 성공했다고 1일 밝혔다. 얇고 유연한 웨어러블 기기나 모바일, 사물인터넷(IoT)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연구팀은 마치 ... ...
우주에 거미줄처럼 펼쳐진 죽은 별 잔해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2.11.01
언젠가는 죽음을 맞는다. 별도 예외는 아니다. 별이 수명을 다하면 초신성 폭발로 엄청난
에너지
를 내뿜으며 잔해만 남긴 채 사라진다. 유럽남방천문대는 5억5400만 픽셀로 이뤄진 돛자리(Vela) 초신성 잔해의 모습을 칠레 북부에 있는 초거대망원경 측량 망원경(VST)으로 관측한 결과를 31일 발표했다. ... ...
이전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