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로
d라이브러리
"
꼭
"(으)로 총 3,76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끝없는 달력의 도전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않지만 어느 한 분야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담고 있어 매우 유용하답니다. 자기에게
꼭
필요한 정보를 담은 맞춤 달력인 셈이죠. 달력의 발자취가 담긴 박물관 제가 미처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옛날에는 지역에 따라 다양한 달력이 있었습니다. 박물관에서는 이런 다양한 과거의 달력을 보관하고 ... ...
[수학에 길이 있다] 금융에 불어온 수학바람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시작했어요. 미국이 세계 금융 시장의 중심이 된것도, 수학자와 물리학자가 금융계에서
꼭
필요해진 것도 이 방정식 덕분이에요. 1997년에는 이 수학 모델로 마이런 숄즈와 로버트 머튼이 노벨경제학상을 받기도 했지요.차 팀장님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처음 금융권으로 관심을 돌렸던 수학자 중 한 ... ...
반갑다, 과학기술위성 2호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공개된 과학기술위성 2호는 한 대가 아니라 두 대였어요. 발사가 실패할 때를 대비해
꼭
같은 기능을 가진 위성 두 대를 만들어 놓은 거지요.우리 손으로 만들어 우리 땅에서 처음으로 발사될 과학기술위 성 2호. 7월 말 성공적인 발사 소식이 들려오길 기대해 봅니다 ... ...
초록빛 형광 원숭이의 꿈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게 실례일 것 같아 내일 낮에 인터뷰를 하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인터뷰를 요청하신 분이
꼭
밤에 만나야 한다고 해서 이렇게 어둠을 뚫고 현장에 달려왔습니다. 그런데 인터뷰 요청자는 보이질 않고 ‘자외선 장치’라고 써 있는 스위치가 있군요. 어디 한번 눌러볼까요?뜨헉! 초록 괴물이다! ... ...
Part 3. 남녀 모두 수학이 맛있어지는 양념 공부법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나눈다면 수학이 더욱 즐거워질 거야. 부모님도 체험 활동을 통해 수학이 일상 생활에
꼭
필요한 학문이란 걸 아신다면 수학 공부를 더욱 격려해 주실 거야.★★★ 선생님과 함께지금까지 수학 수업이 혼자서 수학 문제를 푸는 경쟁적인 분위기였다면 협동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분위기로 바꿔 보는 ... ...
거울 속 우유 마시면 소화 안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결합할 수 있는데, 그 결합 방식이 정해져 있다. 즉 정사면체 중심에 탄소 원자가 있고 각
꼭
짓점 방향에 다른 원자들이 놓여 있는 배치다. 그러다 보니 4곳에 결합된 원자나 원자 무리가 서로 다를 경우 거울분자 한 쌍이 만들어질 수 있다.예를 들어 아미노산은 가운데 탄소에 수소(-H), 아미노기(-NH2), ... ...
현대인 깨우는 물리학 강의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그는 복잡한 알파벳과 숫자를 나열시켜 물리학을 설명한 것이 아니라 현대인에게
꼭
필요한 학문으로서 물리학이 현대인에게 전하는 메시지라든가, 현대사회에서 물리학이 차지하는 위치, 문화유산으로서의 물리학에 대해 서술했다.과학 중에서도 어려운 분야에 속하는 물리학을 왜 과학도가 아닌 ... ...
팔색조처럼 다양한 음색 해금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흐느낌을 닮았다. 활대를 움직이는 손이 빨라져 순간순간 바뀌는 음색을 듣고 있으면
꼭
개구쟁이 어린아이가 뛰노는 모습이 떠오른다. 애절함과 경쾌함을 일순간 넘나드는 해금은 정반대의 음색을 마음대로 내는 팔색조 같은 악기다.해금은 음역대가 넓어 웬만한 반음을 다낼 수 있고 전통음악뿐 ... ...
Part 1. 달력의 생명은 정확도!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일 년의 길이인 365일이 29.5일의 배수가 아니라서 12달이
꼭
일 년이 되지 않습니다. 그러면 나중에 이런 오차가 쌓였을 때 음력이 계절과 전혀 맞지 않는 일이 생깁니다.29.5일×12달=354일음력으로 한 달이 12번 모이면 일 년인 365일에서 11일이 모자랍니다. 그래서 약 3년에 ... ...
차세대 나노소자용 ‘반도체 나노결정 도핑 기술’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상용화가 한 걸음 가까워졌다.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반도체 나노소자를 만드는 데
꼭
필요한 ‘반도체 나노결정 도핑 기술’을 개발했기 때문이다. 이 기술은 10년간 나노기술 분야에서 풀리지 않는 숙제였다.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 교수팀은 반도체 나노결정의 핵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 ...
이전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