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로
d라이브러리
"
꼭
"(으)로 총 3,763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현실 속으로 풍덩~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4호
찾아가고 있는 중이지. 그런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즉 키스트 안을 거닐고 있자니
꼭
어디선가 스틸로가 나타날 것만 같아. 하하.무더위를 뚫고 드디어 연구실에 도착! 반갑게 맞아 주시는 박사님께 인사를 드리고 본격적으로 취재를 시작했어. 먼저 가상현실이 무엇인지 여쭤 봤어.실제 공간에 ... ...
꽃매미를 추적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해서 자란다. 그래서 이 감로가 닿은 잎에는 검정곰팡이가 자라게 되고, 그 모습이
꼭
그늘이 진 것처럼 새까맣게 되어 버리는 그을음병이 생기게 된다.그을음병이 심해지면 잎이 광합성을 하지 못해 결국 말라죽게 된다. 특히 꽃매미는 다른 곤충에 비해 덩치가 큰 편이고, 떼를 지어서 살고 있기 ... ...
전기가 흐르는 누드김밥?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않잖아요? 그런데 이번에 개발된 나노전선은 코팅된 바깥쪽으로만 전류가 흐른답니다.
꼭
전선을 뒤집어 놓은 것처럼 말이지요. 하하하~, 그래서 누드김밥이라고 비유한 거예요.신기하면서도 재미있네요. 그런데 이번에 개발된 나노전선과 나노튜브는 어디에 쓸 수 있는 건가요? 실제 김밥이 아니니 ... ...
1969 vs 2020 달을 향해 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없다. 또한 극지방은 다른 곳보다 얼음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물은 사람이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자원이기 때문에 극지방에 기지를 건설하는 것이다. 달 먼지 콘크리트로 집을 짓는다달기지 건설에 필요한 재료를 지구에서 가져가려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돈이 많이 든다. 만약 달에서 직접 ... ...
올 겨울 고비 맞는 신종플루 궁금증 6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않을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백신을 접종받더라도 마스크를 착용하고 외출 뒤 손을
꼭
씻으며 개인위생에 신경을 써야 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청 생물제제과 강석연 과장은 “임상시험에서 백신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기준은 항체 생성률이 60~70% 이상인지 여부”라고 말했다. 이 기준을 넘고 안전상 ... ...
똥의 황홀한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이야기는 고대 이집트 사람들이 믿었던 종교 속 상상일 뿐이지만 쇠똥구리가 세상에서
꼭
필요한 존재임은 틀림없다. 지난 7월 라이브사이언스 닷컴에서는 쇠똥구리가 없었더라면 지금쯤 지구는 쇠똥을 비롯한 모든 동물의 배설물로 뒤덮여 있었을 것이며, 그 높이가 무릎까지 차올랐을 것이라고 ... ...
“소외층, 제3세계 구하는 제품 개발해요”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2000원밖에 안 든다”며 “부피가 작아 휴대하기도 편하다”고 설명했다.현지인들에게
꼭
맞는 맞춤형 기술이런 설계를 할 때 가장 중요한 조건은 ‘현지 사람들이 이용하기에 적절한가’이다. 실제로 아무리 효과가 좋은 제품이라도 재료를 쉽게 구할 수 없거나 가격이 비싸면 무용지물이다. 또 ... ...
뉴욕에서 서울까지 아이 러브 지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건 결국 우리 자신을 지키는 게 아닐까? 그 절박한 과제에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꼭
동참해 주길 바랄게! ❶ 녹색 지구를 가꾸는 첫 걸음은 무엇보다 생활 속의 작은 실천이라는 것을 보여 주는 전시물.❷ 운동기구를 열심히 밟으면 화면에서 산소가 늘어나고 이산화탄소는 줄어든다. 게임을 ... ...
[허풍의 퍼을 세계일주] 뉴욕시에 영웅 탄생!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1위까지. 시카고 컵스가 아깝게 우승을 놓치긴 했지만 말이야.”“감사합니다. 내년에는
꼭
우승을 해야죠. 이 꼬마가 로이드 씨의 마음을 사로잡은 아이인가요?”“하하, 참 귀엽지? 인사들 해요. 시카고 컵스의 팻 말론이에요. 미국 최고의 투수죠.”“퍼즐 대결을 하며 여행을 한다고 들었어요. ... ...
[인터뷰] 333법칙으로 공신이 되자!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목표를 바탕으로 실현가능한 범위에서 계획을 세웁니다.”너무 무리하지 않고 자신이
꼭
지킬 수 있는 범위 안에서 계획을 세워야 공부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어머니는 설명했다. 이때 중요한 것이 목표를 점수가 아닌 공부의 양, 즉 얼만큼 공부했느냐를 목표로 삼아야 한다는 점이다.“공부의 ... ...
이전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