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로
d라이브러리
"
꼭
"(으)로 총 3,763건 검색되었습니다.
1. 공간 절약의 비법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대세였어요. 레코드판의 지름은 30.2cm로 레코드판을 싸던 재킷도 레코드판의 크기에
꼭
맞는 가로세로 30.2cm짜리 정사각형이었어요. 새롭게 CD를 만들면서 연구진은 CD 케이스 크기에 대한 고민에 빠졌어요. 레코드판을 꽂아두던 진열대를 활용할 수 있다면 공간을 절약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한 거죠. 그 ... ...
0의 발견 숫자 가문의 영광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있음’을 뜻하는 표시로 굴껍데기를 사용했다고 한다. 모양이 눈처럼 둥그런 것이
꼭
0을 닮았다.또 기원전 2세기경 바빌로니아인은 60진법을 이용해 자릿값 기수법을 사용했다고 한다. 그들이 만든 달력을 보면 0에 해당하는 기호를 썼던 것을 알 수 있다.그러나 두 곳에서 발견된 0을 의미하는 ... ...
수학으로 하늘의 뜻을 알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일식 예측에 사용됐다.일식과 같은 천문 현상을 설명하고 예측하기 위해서는 수학이
꼭
필요하다. 고대 바빌로니아의 사례로 알 수 있듯이 수학이 발달한 곳에서 천문학도 함께 발달했다. 우리 조상들도 뛰어난 수학 실력을 이용해 칠정산처럼 믿을 만한역법을 만들어 쓸 수 있었다. 이제 앞으로는 ... ...
“기후변화요? 히말라야 오르면 보입니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만날 기회가 그리 흔치 않을 것 같았다. 한국을 대표하는 산악인 엄홍길 대장을 그래서
꼭
한번 만나고 싶었다. 그가 최근‘기후 변화 현장 탐험가’로서 히말라야에서 직접 보고 겪은 지구온난화의 실태를 알리는 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했기 때문이다.“1985년부터였죠, 히말라야에 오르기 시작한 ... ...
“아라온 호, 극지 심해서 자원 확보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집)는 있었지만 이곳을 자유롭게 오갈 수 있는 쇄빙선(교통수단)은 없었어요. 쇄빙선이
꼭
필요할 때면 하루에 8000만 원을 써가며 다른 나라에서 빌렸습니다. 앞으로는 꽁꽁 언 바다를 뚫고 기지에 보급품을 실어 나르거나 극지 주변 바다에서 자유롭게 연구할 수 있게 된 거죠. 한국이 극지에 좀 더 ... ...
한국인 입맛 사로잡은 먹을거리 오징어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눈’이라 부르지만 사실 이것은 눈이 아니라 이빨이다. 이 부분을 잘 살펴보면
꼭
새의 부리처럼 생겼다. 오징어 배를 갈라 보면 시커먼 먹물이 튄다. 까마귀와 같은 색이다. 이 특징들이 바로 오징어와 까마귀를 연결짓는 고리다. ‘뱃속에서 새 부리와 까만 먹물이 나오는 것을 보니 까마귀를 ... ...
북한 로켓 발사 소동 위성인가, 미사일인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보고 있지요.그럼 탄도미사일은 막을 방법이 전혀 없는 걸까요?
꼭
그렇지는 않아요. 요격이 어렵다고 했지 불가능하다고 한 것은 아니니까요. 확률은 낮아도 미사일을 요격할 수단이 있다는 사실 자체만으로도 미사일 발사를 막는 효과가 있어요. 또한 발사하고 난 뒤는 ... ...
춤추는 봄의 요정 나비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팔랑팔랑~ 봄바람에 떨어지는 꽃잎인 듯 하다가도 다시 훨훨~ 날아올라요. 그 모습이
꼭
춤을 추는 것만 같군요. 자, 모두 눈치 챘나요? 바야흐로 나비의 계절이 돌아왔답니다. 나비는 완전변태!겨울엔 보이지 않던 나비가 어느 날모습을 드러냈어요. 추운 겨울 동안 어디서 무얼 하며 지낸 걸까요? ... ...
비버 선생의 건축 비법 건툴의 달인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굴 입구를 거미줄로 만든 문으로 막고 있어. 누가 문을 열고 들어오려고 하면 다리로
꼭
붙잡고 열리지 않도록 버티지.거기서 끝이 아니란다. 혹시나 누가 침입할까 봐 은신처도 만들어 두고 있어. 은신처에 들어가서 문을 닫고 있으면 침입자는 굴이 비어 있는 줄 알고 그냥 떠나겠지. 어때, 이 ... ...
LED, 21세기 밝힐 경제적 친환경 빛 뜬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용도로 쓰이고 있다. 예부터 ‘빛과 소금’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빛은 우리 생활에
꼭
필요한 존재였는데, 오늘날엔 산업 전반에 활용되며 그 가치가 더 높아졌다.빛에너지는 대부분 전기에너지를 통해 얻는다. 현재 우리나라는 생산하는 전기의 5분의 1을 빛을 밝히는 데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 ...
이전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