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각"(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4000년 역사 ‘근의 공식’ 이제는 외울 필요 없다?! 2차 방정식 푸는 쉽고 새로운 방법 찾았다!수학동아 l2020년 02호
- 통해 “근의 공식에 대한 4000년의 역사와 그동안 증명을 마주했을 수십 억 명의 사람들을 생각할 때 이 방법이 오늘날까지 인간의 발견을 피할 수 있었다는 것이 믿기지 않는다”며, “그럼에도 이 방법이 알려지거나 가르쳐지지 않았던 것은 분명한 사실”이라고 말했습니다. 브렌트 요기 미국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신기한 대칭의 세계수학동아 l2020년 02호
- ‘대칭’ 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나요? 왼손과 오른손, 거울로 본 내 모습, 상하좌우 혹은 회전시켜도 변하지 않는 모양, 주사위 같은 균형 잡힌 물체가 생각나진 않나요? 이런 대칭 ... 알수록 더욱 어렵고 깊어지는 규칙의 본질을 연구하는 재미가 군론의 묘미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 ...
- [동아리탐방] 미적분 공부하며 함께 성장한다, 경기북과학고 Limes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주제가 많으면 각각은 얕을 수밖에 없다”며, “미적분만 깊게 파고드는 게 낫다고 생각해 들어왔다”고 밝혔다. 2학년 김지수, 박석현 학생은 어렸을 때부터 미적분에 흥미가 있었다. 김지수 학생은 중학생 때 경기북과학고에 미적분에 특화된 동아리가 있다는 말을 듣고 그때부터 Limes에 ... ...
- [천리안 2B호] 위성 본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식이다. 이때 카메라가 고개를 틀며 위성에 진동이 생긴다. 굉장히 작은 진동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고도의 정밀도가 필요한 관측용 위성에서는 큰 오차를 야기할 수 있다.최 단장은 “정지궤도위성의 카메라는 각도가 0.1도만 틀어져도 지상 기준으로는 30~70km 옆을 바라보게 된다”며 “그래서 ... ...
- 잘 찾쥐! 놀 줄 알 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좀 바꿔볼게! 우리 쥐들이 연구에만 희생되는 슬픈 동물이라고 생각하면 마음 아파. 우리도 사람처럼 간지럼을 타고, 깔깔 웃으며 놀 줄 안다고! 귀여움도 겸비한 매력 부자 친구들을 소개할게! 간지럼 타는 쥐? 좋아서 깔깔대기도 해!쥐도 간지럼을 탄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2016년, 독일 베를린 ... ...
- 애피타이저와 날 것 즐긴 조선의 밥상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오랜 시간 익힌 전과 찜 요리가 대부분이었다. 아궁이를 이용했던 조선의 부엌 상황을 생각하면 당연하다. 박 단장은 “화구가 많지 않았던 만큼 한 번에 여러 요리를 하는 게 효율적”이라며 “밥 위에 음식을 올려 동시에 익히는 찜 요리가 많았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날 것 즐겨 먹었던 ... ...
- 카피추의 ‘아기상어라지만’은 표절일까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유사 멜로디 확인카피추의 ‘아기상어라지만’이 ‘상어가족’을 표절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없겠지만, 표절 여부를 가리는 일은 여전히 어렵다. 최근 남 교수팀은 흥미로운 연구를 진행해 지난해 11월 네덜란드에서 열린 음악 기술 분야 국제학회인 ‘ISMIR 2019’에서 그 결과를 발표했다. 두 곡의 ... ...
- 천문학자가 남극점에서 본 우주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천문학자를 꿈꾸는 후배들에게 해주고 싶은 조언이 있는지 물었다. 두 연구자는 생각해보지 않았다는 듯 멋쩍게 웃음을 지었다. 하는 수 없이 질문을 바꿔 지금의 내가 청소년기의 나에게 하고 싶은 말이 무엇인지 물었다. 그제야 편한 대답이 나왔다. “저는 좀 더 용기를 가지고 긴장하지 말고 ... ...
- [포토뉴스]스파게티면이 꼬불꼬불해지는 과정 수학으로 밝히다수학동아 l2020년 02호
- 하지만 조리하면 구불구불해지고 잘 끊어지지 않으며 부드러운 성질로 바뀌죠. 당연하게 생각했던 이런 현상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수학으로 밝혔습니다. 올리버 오라일리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스파게티면이 끓으면서 변화하는 과정을 관찰, 기록한 뒤 ... ...
- [매스크래프트]#2. 태국의 수상가옥에서 한붓그리기가 떠오른다!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오일러는 이 문제를 푸는 데 중요한 것이 다리나 육지의 모양이 아닌 ‘연결 관계’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그림➊과 같은 실제 다리를 그림➌처럼 점과 선으로 나타냈죠. 그리고 보니 쾨니히스베르크 다리 문제는 점 4개와 선 7개가 있는 한붓그리기 문제네요. 한붓그리기란 붓을 한 번도 종이 ... ...
이전2302312322332342352362372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