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진단, 나 너 믿어도 돼?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을까? 민감도와 특이도가 99%인 진단 방법으로 천만 명 중 100명 정도 걸리는 희귀병을 검사한다고 가정하자. 이때 희귀병으로 진단받은 사람이 실제로 희귀병 환자일 확률은 99/(99+99,999)다. 즉, 희귀병 진단이 맞을 확률이 0.1%보다 낮다.서울대 시스템 바이오 정보의학 ... ...
-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수열로는 아래와 같이 나타내고, 이를 ‘티티우스의 수열’이라 한다. 4 7 10 16 28 52 100 196 388 772…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를 10으로 놓고 태양에서 각 행성에 이르는 거리를 상대적으로 나타내면 그 값은 왼쪽 아래의 표와 같이 티티우스의 수열과 거의 일치한다. 예를 들어, 수열의 6번째 항인 52는 ... ...
- 놀이하는 동물, ‘꽃보다 악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놀았을까. 화석으로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과거에 이들이 했던 행위를 100% 재현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미국 스턴버그자연사 박물관의 브루스 로스차일드 박사는 티라노사우루스와 같은 공룡들이 과거에 놀았을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믿는다.2014년 로스차일드 박사는 초식공룡들의 뼈에서 ... ...
- Part 2. 의료인류학으로 본 MERS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뿐만 아니라, 인류의 몸 속에 기생하던 병원체의 다양성도 크게 감소했다. 또 인간은 약 100만 년 전부터 음식을 불에 익혀 먹기 시작했는데, 이는 인체에 들어오는 병원체의 수와 종류를 급감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개체 수준에서는 불의 사용이 음식을 통한 감염을 막는 순기능을 하지만, 인구 ... ...
- 번데기 한 마리로 갈린 미스터리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얼마일까.답은 100시간이다. 33℃에서 3℃를 뺀 다음, 이 값으로 3000ADH를 나누면 100시간이 나온다. 간단하지 않은가. 다만 실제로는 온도가 일정하지 않고 계속 변하기 때문에, 온도를 ‘적분’해야 정확한 값이 나온다. 그리고 온도만큼 큰 영향을 미치진 않지만 먹이와 습도, 광주기도 성장에 일정한 ... ...
- [Life & Tech] 혀를 중독시킨 붉은 마약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청양고추는 1만 정도다. 타바스코 고추가 그 10배인 10만에 이르고 인도의 나가 고추는 100만에 이른다. 인도에서는 이 고추로 수류탄을 만든다고 한다.하지만 매운맛이 전해지는 시간을 보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하바네로(SHU로 10만~25만)라고 하는 멕시코 고추는 입에서 주로 맵다. 일단 위로 넘어가면 ... ...
- 파워의 한국, 정교함의 일본?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한 것이 지금까지는 좋은 효과를 보고 있다고 분석할 수 있다. 다만 일본 타자들도 처음 100타석 정도는 뛰어난 활약을 보이다가 약점이 드러나면서 성적이 떨어진 사례가 있기 때문에 아직 판단은 시기상조다.상위리그에 진출한 일본과 한국의 타자들 기록을 살펴보면서 두 나라의 스타일 차이는 ... ...
- Part 1 번개에 대한 진실 BEST 3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내면서 땅으로 내려간다. 공기 저항 때문에 단번에 내려가기는 어렵다. 1μs(마이크로초, 100만분의 1초) 동안 50m를 내려가고, 약 50μs만큼 쉬었다가 다시 1μs 동안 50m를 내려가길 반복한다. 멀리 돌아가지 않고 땅에 가능한 한 빨리 도착하기 위해 공기 중에 있는 전하들과 연결다리를 만드는 셈이다. ... ...
- 성곽 길 따라 즐기는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정도였어요. ‘1보’는 사람이 두 발을 모두 한 걸음씩 움직인 거리로 약 1.2m를 말합니다. 100보면 120m 정도가 됩니다. 실제로 성벽을 따라 걷다보면 구조물이 120보~140보(144m~168m)의 간격으로 배치돼 있는 것을 알 수 있어요.이를 화성 전체로 확대해, 성곽 위의 모든 공격시설을 중심으로 원 모양의 ... ...
- 재채기로 건물 전체에 바이러스 퍼진다!수학동아 l2015년 07호
- 계산하는 모형을 만들었습니다. 모형에 따르면 반지름이 50μm(마이크로미터, 1μm는 100만 분의 1m)보다 작은 침방울은 4~6m를 날아갈 수 있었습니다. 이는 천장에 있는 환기시설까지 거리와 맞먹는 수치입니다 ... ...
이전2292302312322332342352362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