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일상을 지배하는 미적분의 재발견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설명하는 편미분방정식은 아직 해의 존재 여부조차 모르고, 적분이 제대로 정립된 지는 100년이 갓 넘었을 뿐이다. 현대 인류는, 미적분학 발전사의 한가운데에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일상을 지배하는 미적분의 재발견Part 1. 의심스러운 토대 위에 싹트다Part 2. 현대수학은 ... ...
- 야행성 VS 주행성 동물들이 보는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1600 정도로 높게 설정하면 어두운 환경에서도 밝은 사진을 찍을 수 있어요. 하지만 ISO가 100일 때보다 사진의 질이 떨어져요. 밝은 사진을 찍는 대신, 세밀한 것까지 볼 수 있는 해상도를 낮췄기 때문이랍니다.좋은 시력을 갖기 위해서는 해상도도 뛰어나고 감광도도 좋아야 해요. 그런데 물리적으로 ... ...
- [수학뉴스] 3차원 사진 찍는 ‘깊이 감지 카메라’수학동아 l2015년 09호
- 가시광선을 담아 사진으로 나타내지요. 사람의 눈은 파장이 380~800나노미터(nm, 1nm는 100만 분의 1mm)인 가시광선만 볼 수 있기 때문이랍니다.그런데 카메라가 깊이를 감지한다고요?네, 3차원 센서를 이용해 카메라와 사물 사이의 거리가 얼마나 멀고 가까운지 구분한다는 뜻이에요. 원근감을 이용해 ... ...
- 수학으로 밝혀낸 걸음걸이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이용해 동물의 움직임, 특히 걸음걸이에 대해 밝혀낼 수 있었다. 신경세포망★ 약 100조 개나 되는 신경세포가 거미줄처럼 얽혀 있는 것. 신경세포들은 서로 전기신호를 주고받으며 몸을 움직이거나 감각을 느낀다.다리 수가 같아도 걸음걸이 달라져마침내 미국 보스턴대 의학연구소 짐 콜린스 ... ...
- 시력 좋은 아리랑 3A호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4월 14일에 처음으로 공개했지요.아리랑 3A호는 아리랑 3호가 떠 있는 높이보다 100km 정도 낮은 528km 높이에서 지구를 돌며 사진과 영상을 찍고 있어요. 고도가 더 낮기 때문에 더 선명한 영상을 찍을 수 있죠. 흑백 영상의 해상도가 55cm로, 서로 55cm 떨어져 있는 물체까지 구별해낼 수 있답니다. 아리랑 ... ...
- [수학뉴스] 토성 고리의 수수께끼를 풀다수학동아 l2015년 09호
- 풀었습니다.토성 고리를 이루는 얼음 알갱이의 크기는 수 마이크로미터(μm, 1μm는 100만 분의 1m)부터 수 미터까지 다양합니다. 얼음 알갱이는 과거 우주에서 발생한 충돌로 생겼습니다. 이번에 연구팀은 이 얼음 알갱이들이 크기에 따라 다른 비율로 고리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아 냈습니다.토성 ... ...
- [생활] 페이 경쟁 생체인증이 대세수학동아 l2015년 09호
- 나눈 나머지 25로 변환해 저장한다. 이렇게 저장되는 값을 ‘해시’라고 한다.실제로는 100처럼 단순한 수가 아니라 128자리, 256자리, 512자리 등 훨씬 더 큰 수를 사용한다. 여기서 나누는 수를 정해놓지 않고 무작위로 만든 값을 사용하면 훨씬 더 복잡한 암호화가 가능하다. 그래서 사용자가 ... ...
-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아름다운 미스터리’로 꼽힌다. 지구가 2개 들어갈 크기의 영역 안에서 제트기류가 초속 100m 속도로 빠르게 회전하고 있다. 2008년 덴마크공대 연구팀은 액체를 채운 원통형 용기를 이용해 육각형 구름이 만들어지는 원리를 실험했다. 액체를 채운 원통형 용기에 원판을 넣고 전동기로 회전시키자, ... ...
- [Knowledge] 정자 셔틀? No! 정액의 재발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밝혀진 바로는 쥐와 사람에 수백 종류, 노랑 초파리에 200종류 이상, 꿀벌과 모기에 50~100종류가 있다. 정액 단백질은 종에 상관없이 생화학적 유형이 비슷하다. 일단 단백질분해효소와 그 억제제가 있고, 당결합렉틴이 있으며, 항균·항산화단백질, 응집단백질, 트랜스글루탐산분해효소 등이 있다 ... ...
- PART2. 탐사선, 위대한 여정의 시작과학동아 l2015년 09호
- 2004년 태양권덮개(94AU 지점, 1AU는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에 도달했으며, 2006년 8월 100AU 지점에 도달했다. 2015년 현재 지구에서 약 132AU(약 197억km) 거리를 비행하고 있다. 현재는 성간 공간 탐사임무를 하고있다. 보이저 2호 역시 1977년 발사돼 목성과 토성, 천왕성과 해왕성을 차례로 통과했다. ... ...
이전226227228229230231232233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