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 백제의 흔적을 찾아 나선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10호
- 금당 앞 공간을 1/12 만큼 넓게 차지한 것과 비교해, 정림사는 석탑이 금당 앞공간을 1/100 만큼만 차지합니다. 다른 사찰보다 공간의 여유가 더 있지요. 그리고 금당 앞 공간을 대각선으로 연결했을 때, 중앙에 석탑을 둬 넓은 공간에서도 석탑에 사람의 시선이 머물도록 했습니다.석탑의 시조, ... ...
- 내 스마트폰에 내가 만든 게임을 쏙!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난이도를 설정해야 합니다. 세 단계 정도로 간략하게 만들 수도 있지만, 퍼즐 게임은 100단계가 넘어가는 레벨을 만들기도 하지요. 이렇게 게임을 만드는 과정에는 많은 요소가 필요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사실을 이용해서 만들어야 누구나 즐길 수 있겠죠?어떤 게임을 만들까?한 팀이 만든 ... ...
- 화성에서 살아남아라, 반드시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번호를 매긴 부호 체계다. 예를 들어 ‘Good’을 아스키 코드로 나타내면 ‘71, 111, 111, 100’이다.와트니는 아스키 코드를 16진법으로 나타내 지구와 교신하기로 했다. 16진법은 가장 오른쪽 자리의 자릿값이 160이고 왼쪽으로 갈수록 자릿값이 16배가 되는 숫자 표기법이다. 예컨대 100(6×161+4×160)을 1 ...
- 세포들의 사회 들여다보는 융합 연구의 대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자연과학부 스티브 그래닉 특훈교수는 매년 100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 받는 기초과학연구원(IBS) 산하 ‘첨단연성물질연구단’의 단장이다. 올해 4월 말에는 미국 국립과학원(NAS) 회원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미국 국립과학원은 과학분야 노벨상 수상자 대부분이 회원으로 활동하는 세계 최고 권위의 ... ...
- PART1. 나는 살아있는 것을 연구한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이 박물관에 혹시 곤충학자들이 찾아와서 기념식을 하진 않나요? 파브르가 죽은 지 100년째 되는 해라 행사가 있을 것 같은데…. 곤충학자? 못 봤는데. 문인들이라면야 유명한 사람이 많이 찾아왔지. ……, 뭘 자꾸 이상하다고 그래. 곤충학자들이 언제 그 선생 살아있을 때 좋아했는 줄 알어? 곤충학을 ... ...
- [과학뉴스] 3만 년 전 바이러스, “기상~!”과학동아 l2015년 10호
- PNAS)’ 9월 8일자에 발표했다.이번에 발견된 바이러스는 크기가 0.6μm(1μm는 100만 분의 1m)로 바이러스치고는 매우 큰 편이다. 연구팀은 새롭게 발견된 바이러스의 이름을 ‘시베리아에서 온 부드러운 바이러스’라는 뜻에서 ‘몰리바이러스 시베리쿰(Mollivirus sibericum, 사진)’이라고 지었다.인류가 ... ...
- [Hot Issue] 풍력발전기에 날개가 사라졌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볼텍스 미니’를 이용해 4kW의 전력을 생산하는 데 성공했고, 컴퓨터 하나를 돌릴만한 100W급 ‘볼텍스 아틀란티스’(높이 3m)와 1000여 명이 쓸 수 있는 1MW급 ‘볼텍스 그랜’(높이 150m)도 개발 중이다.볼텍스는 회전하는 부품이 전혀 없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매우 싸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다. ... ...
- [knowledge] 산신령이라 불렸던 사나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LG의 승부수, X존한국에서 가장 악명 높은 구장은 잠실야구장이다. 잠실은 좌우 펜스 100m, 좌우중앙 펜스 120m, 중앙 펜스 125m로 전 세계 프로구장 중에서 손꼽히게 크다. 구장이 너무 크다 보니 원래라면 펜스를 넘어갈 홈런성 타구가 펜스 앞에서 잡히는 경우가 많다. 장타력이 떨어지는 팀은 점수를 ... ...
- 백투더퓨처 2015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날 수 있는지 계산한다. 예를 들어 어떤 비행기가 무게가 1톤, 양항비가 10이라면 엔진은 100kg 정도의 추력만 내면 뜰 수 있다.집 앞에서 바로 날아올라 목적지에 착륙하는 방법은 없을까? 항공공학자들은 수백 명이 한꺼번에 타는 여객기가 수직이착륙을 하는 것은 현재보다 훨씬 효율이 높은 엔진을 ... ...
- [knowledge] 자연의 합리성을 사랑한 건축가, 가우디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역동감과 생기를 담아냈다. 건축 예술이란 이처럼 ‘물질에 의미를 담는 작업’이다. 100년 전 가우디의 건축 작품은 ‘오늘날 우리는 어떤 건축물을 짓고 있으며, 어떤 이성과 감성을 담아내고 있는가?’를 다시 생각하게 만든다 ... ...
이전2242252262272282292302312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