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바이오 기업 ‘테라노스’ 논란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얼마나 들어가는지 계산해봤습니다. 어림잡아 0.1mL 정도 들어가더군요. 보통 병원 검사의 100분의 1에서 500분의 1 수준입니다. 이렇게 적은 양을 가지고 그 많은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는 데 놀랐습니다.”테라노스에는 세 가지가 없다. 우선 주사가 없다. 주사 대신에 손가락 끝을 바늘로 살짝 찔러 ... ...
- Part2. 다시 시작된 아날로그 시대, 5세대 컴퓨터과학동아 l2015년 12호
- 8배 늘어나면 최대 256배까지 빨라진다. 큐비트수가 100개인 양자컴퓨터는 비트 수가 2100개. 즉, 약 1030비트 디지털 컴퓨터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큐비트의 확인 : 한국과학기술원(KIST)양자연구센터에 있는 큐비트 상태 확인 장치다. 마지막 양자상태를 정확히 읽어내는 것은 양자컴퓨터가 갖춰야 할 ... ...
- ‘지옥의 실험실’ 피할 방법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이유도 그제야 보였다. 일단 대체로 생계유지가 안 되고 있었다. 교수님은 입학할 때 100만 원씩 주겠다고 약속했지만, 실제로는 50만 원밖에 주지 않았다. 부모님께 용돈을 받는 사람은 괜찮았지만, 아닌 선배들은 상당한 빚을 지고 있있었다. 학위를 받는 시간도 다른 랩보다 오래 걸렸다. 한 선배는 ... ...
- 미래 에너지 기술 이끌 인재와 만나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20팀의 지도교사ㆍ교수에게 멘토링 지원비를 지급한다는 점이다. 고등부는 총 10개 팀이 100만 원씩, 대학(원)부는 총 10개 팀이 200만 원씩 지원 받았다. 정 실장은 “학생들이 비용 부담 없이 에너지 기술을 체험토록 하는 게 우리 공모전의 목적”이라며 “본선 진출팀에 제작 비용을 지원하는 국내 ... ...
- [과학뉴스] 외계생명체 보기엔 너무 일찍 태어난 지구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소진한 상태지만, 다른 은하에는 이런 물질들이 아직 많이 남아있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100조 년 후에도 지구형 행성은 만들어지고 있을 것이라 예측했다.베루치 연구원은 “외계생명체를 못 보는 것은 아쉽지만 지구가 일찍 생성된 덕에 우리는 빅뱅에서부터 초기 은하가 진화한 증거들을 볼 수 ... ...
- 방화범과 소방관 사이의 마무리 투수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순위와 구원 투수를 평가하는 전통적인 방식인 세이브와 비교해보자. MLB부터 살펴보면 100마일 직구로 유명한 세인트루이스의 트레버 로젠탈이 눈에 띈다. 로젠탈은 48개의 세이브를 거두며 MLB 전체에서 세이브 2위를 기록했지만 셧다운 순위에서는 그의 이름을 찾을 수 없었다. 로젠탈이 팀의 승리 ... ...
- [Life & Tech] MSG, 결코 해롭지 않아요과학동아 l2015년 12호
- MSG를 “최고의 재료”로 꼽습니다. 도대체 MSG가 뭐기에 이러는 걸까요.발견된 지 100년 넘은 감칠맛1907년 일본으로 가볼까요? 우리가 만날 사람은 도GIB쿄대 물리화학과 교수인 이케다 기쿠나에 씨입니다. 이케다 교수는 국물에서 나는 독특한 맛이 궁금했습니다. 당시만 해도 혀가 느낄 수 있는 ... ...
- Part1. 기나 긴 폭력의 역사, 하지만 본성은 아니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없이 중세 이후로도 인류의 폭력은 급감했다. 인구 10만 명 당 살해된 인구는 16세기에 100명 수준이었지만, 현대는 0.5명 수준으로 200분의 1로 줄었다. 지금 발생하는 테러와 피비린내 나는 복수들이 미디어를 통해 충격적으로 다가오기에 많아진 것처럼 느껴지지만, 실제로는 인류의 폭력성은 과거와 ... ...
- [지식] 테렌스 타오, 83년 묵은 수학 퍼즐 풀다!수학동아 l2015년 11호
- 1000번 까지 잘라서 본다. 만약 여기서 어떤 n의 배수번째 부분합과 0 사이의 차이가 100만보다 큰 경우를 찾았다면 가정에 모순이 돼 문제가 해결된다. 만약 찾을 수 없다면, 수열을 더 길게 자르고 1부터 1000번까지 부분의 엔트로피보다 1000번 이후 부분의 엔트로피가 어떤값 이상 차이나게 작다는 ...
- 스마트폰 화면이 피부 위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디스플레이를 개발했거든요. 이 디스플레이는 두께가 약 2.6㎛(마이크로미터, 1㎛는 1m의 100만분의 1) 정도로, 머리카락 두께의 약 40분의 1밖에 안 돼요. 게다가 유연성이 좋아 마음대로 구부리거나 늘릴 수도 있답니다. 또 해상도가 최신 스마트폰의 4~7배, 고해상도 텔레비전의 42배나 되지요.연구팀은 ... ...
이전2212222232242252262272282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