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왜 내게 이런 일이!- 스마트폰 잔혹사-수학동아 l2016년 01호
- 것일까? 이것은 배터리 내부 전압을 측정해 계산한다. 최대 전압과 최소 전압 사이를100등분하여 화면에 백분율로 표시해주는 것이다. 즉 배터리 내의 전압이 가장 높을 때가 100%, 가장 낮을 때가 0%로 표시된다.그런데 전압의 변화는 사용량에 따라 일정하게 변하지 않는다. 배터리 용량이 적게 남아 ... ...
- [소프트웨어]아직도 숫자 세니? IT기술과 만난 신개념 줄넘기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보통 줄넘기는 혼잣말로 개수를 세면서 합니다. 그런데 사람이 하는 일이다보니 100개가 넘어가면 숫자를 셀 때 헷갈리기 시작하지요. 여기서 줄넘기 넘은 횟수를 눈앞에 보여주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재밌는 아이디어를 떠올리게 된 배경에 대한 탱그램팩토리 김병동 과장의 설명이다 ... ...
- [News & Issue]4세대 방사광가속기 준공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가속시켜 정교하고 강한 레이저를 얻는 장치로 길이가 1110m에 이른다. 기존 3세대에 비해 100억 배 이상 밝은 빛을 얻을 수 있어 원자나 분자의 3차원 결합구조를 분석할 수 있다. 앞으로 친환경 에너지 기술과 신소재 개발, 세포와 단백질 구조 분석, 플라즈마 물리학 연구, 표면 및 계면 연구 등 다양한 ... ...
- 그땐 그랬지! 1988 VS 2016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시야각은 100˚나 돼요. 사람의 시야각은 한쪽 당 45˚씩 총 90˚ 정도이기 때문에 시야각이 100˚가 되는 오큘러스 리프트를 쓰면 마치 게임 세상 속에 들어가 있는 느낌이 든답니다. 여기에 센서와 가속도계, 나침반이 게임기를 착용한 사람의 위치를 정밀하게 파악해 움직이는 방향이나 시선에 따라 ... ...
- 보온에서 생존 비결까지! 털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4호
- 이름 그대로 아주 가느다란 실을 말해요. 보통 굵기가 0.5*데니어로 머리카락의 약 100분의 1 굵기예요. 양털이 머리카락의 약 4분의 1 굵기니까 극세사가 얼마나 얇은지 알겠죠? 이렇게 가느다란 극세사를 여러 개 꼬아서 실을 만들고, 이 실로 천을 짜면 실 사이사이에 많은 공기를 품을 수 있어서 ... ...
- 미끌미끌~! 초보 산타의 빙판에서 살아남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4호
- 1cm 움직일 때 발생하는 열을 계산한 결과, 아주 얇은 마이크로미터(㎛, 1마이크로미터=100만 분의 1m) 두께의 물 층이 만들어졌답니다.하지만 그냥 신발 바닥으로 얼음을 밟았을 때처럼, 얼음이 녹을 정도의 열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는 이 학설로 설명하기 어려워요. 빙판에는 원래 물이 있다?!얼음 ... ...
- 연꽃잎으로 메타물질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3호
- 영국의 의사 제임스 파킨슨의 이름을 따 지은 이름이에요. 60세 이상의 사람들 100명 가운데 한 명이 걸리는 병으로, 아직 치료법이 정확히 밝혀지지 않은 희귀 난치병이지요.파킨슨병에 걸린 사람은 뇌에 이상이 생겨 온 몸이 떨리고 몸을 제대로 가눌 수 없어요. 뇌에 있는 ‘흑질’이라는 부분에서 ... ...
- 수증기로 슝~! 꼬마 증기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3호
- 모여 있게 돼. 이때 분자 사이사이에 공간이 생겨서 부피가 커지는 거야.수증기는 물이 100℃ 이상의 온도에서 끓거나 증발해서 생긴 기체를 말해. 수증기는 얼음보다 부피가 훨씬 커. 물의 부피를 1이라고 하면 얼음은 1.1 정도, 수증기는 1700 이상이라니 정말 엄청나지? 이렇게 수증기의 부피가 큰 ... ...
- 우주날씨의 비밀을 밝혀라~! 오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3호
- 불어오는 바람, 즉 태양풍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에요. 태양은 지금도 1초에 약 100만 톤 정도의 양성자와 전자를 뿜어내고 있어요. 이게 마치바람처럼 초속 200~750km로 지구로 날아온답니다.태양풍이 생기는 건 태양의 활동과 관련이 있어요. 태양은 중심 부분에서 핵융합으로 에너지를 만들어내고, ... ...
- 기후변화의 비극 환경난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2호
- 또한 기후변화의 영향을 피해갈 수 없어요. 지금과 같은 추세로 온실가스가 배출된다면, 2100년 경 우리나라의 평균 기온은 지금보다 5.3℃ 오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거든요(환경부,2013a). 이건 세계 기온 상승 전망치에 비해 월등히 높아요. 이 때문에 우리나라는 앞으로 폭염이나 열대야 같은 이상 기후 ... ...
이전2172182192202212222232242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