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함께 나누는 수학 놀이 청주 중앙여중 파이(π)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않고 이어지는 숫자에 매력을 느꼈다고 했다. 동아리 지원서에 ‘$π$의 소수점 이하
100
자리를 써 보시오’, ‘3월 14일은 무슨 날일까(화이트 데이 제외)?’ 같은 문항을 만들기도 했다.3.1415926535897…. 그렇게 셋이서 처음으로 시작한 활동은 동아리 이름이기도 한 $π$의 소수점 이하 자리를 외우는 ... ...
Part 3. 빛이 있으라! 결정적 순간 5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얻었다. 이를 통해 순도가 높은 이산화규소 유리로 섬유를 만들면 빛 손실이 적어서
100
km가 넘는 장거리까지 빛을 전달할 수 있다는 것도 알아냈다. 그의 연구는 이후 광섬유의 개발을 가속화시켰다. 카오의 노벨상 강연 제목 ‘수 세기 전 과거로부터 온 모래, 미래의 목소리를 빠르게 전송한다(Sand ... ...
“반복되는 표절, 막을 방법 있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그가 베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소설, 두 가지가 독립적으로 작성됐을 확률은 대략
100
만 분의 1 정도라고 생각한다. 컴퓨터 프로그래머로서 말할 수 있는 것은 여기까지다. 문학계 전문가들이 이 확률을 토대로 진짜 표절 여부를 가려내야 한다 ... ...
세월호 인양7가지 질문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한다. 차 떼고 포 떼고 나면 작업 가능시간이 1년에 고작 41일 정도다. 그마저도 시야가 20~
100
cm로 짧아 작업하기가 쉽지 않다.세월호의 중량은 화물 등을 합쳐 1만200t으로 추정된다. 선체 길이만 145m에 이른다. 40층짜리 건물 높이다. 이렇게 큰 배를 수심 44m에서 온전히 인양한 사례는 없다. 해외 ... ...
파워의 한국, 정교함의 일본?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한 것이 지금까지는 좋은 효과를 보고 있다고 분석할 수 있다. 다만 일본 타자들도 처음
100
타석 정도는 뛰어난 활약을 보이다가 약점이 드러나면서 성적이 떨어진 사례가 있기 때문에 아직 판단은 시기상조다.상위리그에 진출한 일본과 한국의 타자들 기록을 살펴보면서 두 나라의 스타일 차이는 ... ...
[Life & Tech] 혀를 중독시킨 붉은 마약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청양고추는 1만 정도다. 타바스코 고추가 그 10배인 10만에 이르고 인도의 나가 고추는
100
만에 이른다. 인도에서는 이 고추로 수류탄을 만든다고 한다.하지만 매운맛이 전해지는 시간을 보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하바네로(SHU로 10만~25만)라고 하는 멕시코 고추는 입에서 주로 맵다. 일단 위로 넘어가면 ... ...
축복인가 재앙인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만들어야 했다. 반면에 크리스퍼는 단백질 보다 훨씬 작은 RNA가 그 역할을 한다. DNA
100
개만 바꾸면 전혀 다른 서열 특이성을 가 지는 유전자 가위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모든 생물의 유전체를 수정할 수 있게 된 인간크리스퍼의 발견은 유전자 수정 붐을 일으켰다. 가장 먼저 2013년 12월 동물 세포에서 ... ...
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중 국 정부는 이를 대지진 전조현상으로 여기고 한겨울 에 하이청에 살고 있던 주민
100
만 명을 주변 대피시 설로 이동시켰다. 그로부터 1주일 뒤 지진이 하이청 을 강타했다. 도시를 크게 파괴시킬 수 있는 큰 규모 였지만 인명피해를 2000명 수준으로 줄일 수 있었다. 그러나 이듬해 중국은 탕산 ... ...
전염병 예측하는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를 더한 ‘SEIR 모델’을 많이 쓰고 있다.소프트웨어로 재탄생한 전염병 확산모델지난
100
년 사이 인구와 교통량이 크게 늘었다. 대도시로 사람이 몰리고, 세계 곳곳이 거미줄처럼 연결되면서 전염병 모델도 복잡해졌다. 사람 손으로 계산할 수 없는 수준에 다다른 것이다. ‘SEIR 모델’ 같은 전염병 ... ...
“미래의 모든 산업을 이끌어갈 기초과학”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운명”석사, 박사과정은 물론이고 학사과정에서 하는 실험도 생각보다 쉽지가 않습니다.
100
번 중에 한 번 성공하면 다행일 정도기 때문에 끈기는 필수입니다. 저는 새로운 전극재료를 개발할 때, 몇 달 동안 실험조건을 조금씩 바꿔가며 하나의 물질을 합성하는 데에만 매달렸던 기억이 나네요. 물론 ... ...
이전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