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디터노트] 1993년 ‘불수능’의 기억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역대 수능에서 한 해에 공식적으로 시험이 두 번 치러진 건 이 때가 유일하다. 교육부는 처음 수능을 치르는 수험생들을 ‘배려’하기 위해 2번의 기회를 줬겠지만, 아뿔싸, 2차 시험은 ‘불수능’이었다. 자연계열의 경우 1차 시험의 평균점수가 101.5점이었는데, 2차 시험의 평균점수는 91.4점으로 1 ... ...
- KAIST 과학로켓 우리새-2호 하늘을 날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IITO-1A’를 개발했지만, 데이터 수립이 목적인 진정한 의미의 과학로켓은 우리새-2호가 처음이다. 게다가 당시 개발된 로켓은 모두 고체연료를 썼다.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로켓은 추력이 좋고 구조가 간단하며 보관이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연소 제어가 어렵고 효율이 떨어진다. 인공위성 등 ... ...
- Intro. 자연이 선사한 가장 과학적인 선물, 깃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있는 매끈한 깃털, 그리고 올빼미 날개를 이루는 소음 제거 깃털. 약 1억5000년 전 공룡에 처음 등장한 깃털은 긴 세월을 거치며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탑재했다. 공통점이라면 깃털을 가진 개체의 삶에 최적화된 방향으로 진화했다는 점이다. 그것도 매우 과학적인 방식으로. 자연이 선사한 가장 ... ...
- Part 2.깃털의 원조는 공룡과학동아 l2018년 12호
- 012년 캐나다 캘거리대의 고생물학자 달라 젤레니츠키 교수팀은 타조 공룡의 깃털 흔적을 처음으로 보고했다. 이들이 보고한 타조 공룡의 종류는 오르니토미무스(Ornithomimus)였다. 사람보다 조금 큰 공룡으로 이빨이 없는 대신 각질로 된 부리를 가졌으며, 지금으로부터 약 7650만 년 전에서 약 6650만 년 ... ...
- [매스미디어] 수학 잘하는 법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우수상 수상작이기도한 이 웹툰을 보면 우리도 수학 잘하는 법을 깨우칠 수 있을까? 처음 보는 사람도 단숨에 스토리를 따라잡을 수 있는 족집게 과외 시간을 준비했으니 바짝 집중하고 들어가 보자. 명문대 수학과 재학생인 도진은 어릴 때부터 주목받았던 수학 영재다. 수학을 정말 좋아했고 ... ...
- [전지적 수학 시점] 메이플스토리, 내분점으로 방어율을 뚫어라!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손에 잘 닿게 방향키나 점프키(Alt) 주변에 놓는 게 편리하고 좋아요. Q 메이플스토리를 처음 시작하는 초보자에게 팁을 한 가지 준다면? 메이플스토리 특성상 직업이 다른 캐릭터를 여럿 키우는 게 좋아요. 그래서 다양한 캐릭터를 플레이하다 마음에 드는 걸 주 캐릭터로 고르면 되지요. 저는 ... ...
- [DJ CHO의 롤링수톤] 김연자의 ‘아모르파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흐름에 따라 그 공간에서 변환을 여러 번 시행했을 때 어떤 집합에서 출발해 결국에는 처음 상태로 돌아올 확률이 1이라고 증명했습니다. 그러니 만약 당시 푸앵카레가 니체를 만났다면 이렇게 말했을지도 모릅니다. “시간은 무한하고, 우주가 유한하면 당신의 말은 확률 1로 옳습니다.” 물론 ... ...
- [팩트체크 5] DMZ, 평화지대로 거듭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독일 국경 근처에서 열린 이 모임엔 400명 정도가 모였지요. 이때 모인 사람들이 처음으로 동독과 서독의 경계지역을 그린 벨트로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에 뜻을 모았답니다. 이게 생태공원 조성의 시작이 됐죠. 이후 분트는 2001년부터 독일 자연보전청과 함께 생태공원을 만들기 위한 일을 해 왔어요. ... ...
- [프리미엄 리포트] 천리안 2A호가 뜬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3교대를 서가며 24시간 진행하는 시험인데, 중간에 문제가 생겨서 시험을 멈추고 다시 처음부터 시작한 적도 있다”며 “진동 시험 때는 연료가 폭발할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특수 소방차가 매번 출동하는 등 잊을 수 없는 에피소드들이 많다”고 말했다. 4배 더 밝아진 눈, 6분이면 전지구 ... ...
- 젖소, 돼지, 양, 연어…AI는 동물 얼굴도 인식할까?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교수는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영장류의 얼굴 구조는 인간과 비슷하기 때문에 처음에는 기존의 인간 얼굴 인식 프로그램을 영장류에게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인간과 달리 동물은 얼굴 각도를 통제하기가 어렵고, 얼굴의 특징을 인식하기도 더 ... ...
이전2282292302312322332342352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