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별 JOB 인터뷰 2] 잎새에 숨겨진 표정을 찾는 사람, 식물세밀화가 이소영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정확히 표현하기 힘들어요. 예를 들어 흠집이 난 사과의 사진을 도감에 실으면, 사과를 처음 보는 사람들은 흠집이 사과의 특징이라고 착각할 수 있잖아요? 그래서 식물세밀화가는 같은 종의 식물 여러 포기를 보고 공통적인 특징을 찾아 그림을 그린답니다.” 화가인데 탐험도 한다고?화가는 ... ...
- Part 2. 다이아몬드는 지구 내부의 타임캡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맨틀에 액체 상태의 물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은 해왔지만, 그 증거를 발견한 것은 처음”이라고 말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보석부터 지구의 타임캡슐까지, 다이아몬드의 활약Part 1. 다이아몬드는 어디서 만들어질까?Part 2. 다이아몬드는 지구 내부의 타임캡슐?!Part 3. ... ...
- Part 4. 다이아몬드, 인공적으로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발표했어요. 인공 다이아몬드를 공업용이 아닌 보석으로 대량 생산하는 것은 처음이에요. 현재 다이아몬드 1캐럿의 가격은 최대 800만 원 정도인데, 인공 다이아몬드로 만든 보석은 10분의 1 가격인 85만 원 정도라고 해요. 그렇다면 보석으로 사용될 다이아몬드는 어떻게 만들까요? 우선 작은 ... ...
- [해외취재] 아리안5에서 엑소마스까지…. 유럽 우주 개발 현장 탐방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과정이 무척 오래 걸리고 어려워요. 아리안스페이스는 이 과정을 줄이기 위해 아리안6를 처음부터 수평으로 조립하고 있는 거랍니다. [해외현장 취재 ➋] 위성 맞춤형 발사체, 아리안6 아리안6는 2020년 발사를 목표로 개발되고 있어요. 아리안스페이스는 무엇보다 만드는 비용은 줄이고, 아리안 ... ...
- Part 3. 한반도에 상륙한 무서운 녀석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감염되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가 계속 발생하고 있거든요. 2013년에 처음으로 환자가 발생해 그 해 36명이 SFTS에 걸렸고, 이후 계속 그 수가 늘어 작년에는 무려 272명의 환자가 발생했답니다. 올해도 벌써 5월까지 18명의 환자가 발생했고 그중 7명이 사망했지요. 안타깝게도 ... ...
- [실전! 반려동물] 반려견 여행 과 함께 을 떠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충분히 해야 해요. 여행을 가기 몇 주 전부터 반복적으로 훈련하는 것이 가장 좋아요. 처음에는 주차된 차에 태워 반려견이 안정을 찾도록 여유시간을 줘요. 이때 반려견에게 간식을 주거나 쓰다듬어 주는 것도 좋아요. 만약 반려견이 불안에 떨고 있다면 간식을 주거나 쓰다듬는 행동을 바로 멈춰야 ... ...
- Part 2. 한반도 바다에 나타난 낯선 녀석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넓은띠큰바다뱀’이 대표적이지요. 2012년과 2015년에 각각 제주도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해안가에 종종 출몰하고 있답니다. 식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어종도 함께 바뀌고 있어요. 오징어의 경우, 수온이 상승해서 동해에서 북한 쪽으로 올라갔어요. 이를 중국 어선들이 무분별하게 잡아 들여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학교 밖 체험 다 모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분비하지요. 살아있는 벌레를 잡아먹은 파리지옥은 잎이 검은색으로 변한답니다. 처음에는 썩은 줄 알고 잎을 잘랐는데, 알고 보니 잡아먹은 벌레를 소화하는 중이었어요. 벌레를 잡아먹지 않을 때 파리지옥은 일반 식물처럼 광합성을 하지요. 독특한 매력을 가진 벌레잡이 식물은 키우기 쉬운 종도 ... ...
- [에디터노트] 1993년 ‘불수능’의 기억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역대 수능에서 한 해에 공식적으로 시험이 두 번 치러진 건 이 때가 유일하다. 교육부는 처음 수능을 치르는 수험생들을 ‘배려’하기 위해 2번의 기회를 줬겠지만, 아뿔싸, 2차 시험은 ‘불수능’이었다. 자연계열의 경우 1차 시험의 평균점수가 101.5점이었는데, 2차 시험의 평균점수는 91.4점으로 1 ... ...
- KAIST 과학로켓 우리새-2호 하늘을 날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IITO-1A’를 개발했지만, 데이터 수립이 목적인 진정한 의미의 과학로켓은 우리새-2호가 처음이다. 게다가 당시 개발된 로켓은 모두 고체연료를 썼다.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로켓은 추력이 좋고 구조가 간단하며 보관이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연소 제어가 어렵고 효율이 떨어진다. 인공위성 등 ... ...
이전226227228229230231232233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