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영장류자원지원센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생후 몇 개월 된 아기 같았다. 원숭이의 사진을 흔들리지 않게 찍은 것은 이때가 거의
처음
이자 마지막이었다. 벽을 타고 움직이는 속도가 너무 빨라서 카메라 셔터도 쫓아가기 힘들 정도였다. 영장류 3000마리 집단 생활 가능한 사육동 영장류자원지원센터에는 붉은털원숭이 160마리와 같은 ... ...
허리 고치는 수술 로봇 ‘닥터 허준’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카테터의 3차원 공간 정보로 변환해 집도의에게 제공한다. 또한 연구팀은 닥터 허준을
처음
접한 의사가 수술에 익숙해질 수 있도록 훈련을 돕는 시뮬레이터도 함께 개발했다. 2013년부터 개발한 닥터 허준은 2016년 1차례, 2017년 2차례 등 총 3차례에 걸쳐 살아있는 돼지를 대상으로 전임상시험을 ...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알아냈습니다. 온도가 염색체를 무효화 한 사례가 실제 야생에서 발견된 것은 이 연구가
처음
이었죠. 온도에 의해 암컷이 된 ZZ암컷은 생식이 가능합니다. 심지어 ZZ암컷은 수컷(ZZ)과 교배했을 때 정상 암컷보다 더 많은 알을 낳습니다. 야생에서 ZW암컷은 점점 사라지고, W염색체를 가진 자손의 ... ...
part 2. 최저가 여행, 외판원 문제로 해결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사람이 고난의 길을 걸었습니다. 수학자들이 찾은 경로 문제 경로 문제를 언제
처음
으로 연구했는지는 불분명합니다.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오래된 기록은 아일랜드 수학자 윌리엄 해밀턴이 1856년에 만든 퍼즐입니다. 해밀턴은 정십이면체 위에 있는 꼭짓점 20개를 딱 한 번씩만 지나 ... ...
[알고리듬 시그널] 공개 키 암호화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내가 만든 암호를 상대방이 풀어낼 수 있게 하고요. 그런데 비밀코드를 전달할 때
처음
과 똑같은 문제가 일어나요. 암호 만드는 방법을 중간에 누가 훔쳐보면 그 다음에 어떤 암호로 바꿔도 비밀번호를 금방 해독할 수 있으니까요. 그래서 수학자들과 컴퓨터 과학자들은 아예 문제를 정면 ... ...
전해진 서울시립대 총장장학생 - “나만의 공부 방법을 만들어 보세요”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문제를 빨리 푸는 데 치중하다 보면 자칫 정확성이 떨어지지는 않을까. 전 씨는 “
처음
에는 시간 내에 문제를 풀려고 서두르다가 실수를 저지르기도 했다”며 “훈련을 반복하면서 정확성도 향상돼 실제 수능에서는 시간의 부족함 없이 모든 문제를 풀 수 있었다”고 말했다. 전 씨는 답안지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최고의 학과’ 만드는 ‘최고의 학생’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만점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며 공부했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정 씨는 교과서를
처음
부터 끝까지 외웠다. 고3 때는 EBS 교재를 교과서로 많이 쓰는데, 같은 문제를 열 번씩 풀었다. 정 씨는 “문제를 여러 번 풀면 개념이 계속 머리에 박히고 응용력도 좋아져서 새롭게 푸는 방법도 발견하게 ... ...
‘영원’을 쫓는 수학자, 2018 대한수학회 학술상 최영주 포스텍 교수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쌓여있을 거예요. 어린 학생들이나 수학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 학생도 마찬가지예요.
처음
엔 어렵기만 하던 게 익숙해지면 어느 순간 탁 튀어 오르듯 점프하는 때가 올 거예요. 학교에서 집이 가까운 게 연구하기에 좋아 교수 아파트에 산다는 최영주 교수는 최근 가장 빠져있는 일이 무엇이냐는 ... ...
[핫이슈]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18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이우혁 대원은 “바이오블리츠를 통해 내 주변에 이렇게 많은 식물과 곤충이 사는지
처음
알았다”고 소감을 밝혔어요. 또, 이연우 대원은 “생물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함께 어울려 생물에 대해서 알아보는 점이 좋았다”고 말했지요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이템을 모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소화가 되지 않고 남아서 미토콘드리아나 엽록체가 되어 함께 살기 시작했다는 거예요.
처음
에 많은 과학자들이 이 가설을 믿지 않았지만, 세포 내 공생설을 뒷받침하는 증거들이 속속 발견되면서 현재는 정설로 인정되고 있답니다. [통합과학 넓히기] 비상! 세계는 바이러스와 끝없는 전쟁 중 ... ...
이전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