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새로운 적에 대항할 ‘슈퍼약물’이 나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실험실에서 키울 수 있는 종이 아니어서 항생제 후보물질을 찾는 데 한계가 있었어요.교수팀은 이들 99% 토양세균이 만드는 물질을 이용하기 위해 ‘아이칩’이라는 특수 장치로 세균을 키웠어요. 이렇게 얻은 항생 물질을 총 1만여 종의 세균에 각각 실험해 어느 병원 세균에게도 내성을 일으키지 ... ...
- [수학뉴스] 100년 묵은 내접 사각형 문제 영상통화하며 푼 수학자들수학동아 l2020년 08호
- 휴젤마이어가 가로세로 비율이 인 직사각형이 항상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두 교수는 휴젤마이어와 본의 생각을 발전시켜 조르당 곡선 위에는 임의의 가로세로 비율을 갖는 직사각형이 반드시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 증명이 맞다면 가로세로 비율이 1인 정사각형이 존재하는 ... ...
- [수학뉴스] 거리두기 강화해야 코로나19 전파 억제한다수학동아 l2020년 08호
- 거리두기로 하루 25명 정도의 사람을 만난다면 18명 수준으로 줄여야 한다는 뜻입니다. 정 교수는 “지금의 거리두기로는 연말쯤 재유행이 올 수 있다”며, 거리두기를 강화할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 ...
- [교육뉴스] 복잡한 수학 공식 이제 쉽게 검색하자!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없이 간편하게 수식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아누라그 아가왈 로체스터공과대 수리과학과 교수는 “매스덱을 사용하면 복잡한 수식과 기호를 정확히 검색해 관련 답을 찾기 쉬워질 것”이라 말했습니다. 매스덱 프로그램은 홈페이지(mathdeck.cs.rit.edu)에서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 [특집] 두 장, 더 깨끗한 화장실, 더 빨리 이용하기수학동아 l2020년 08호
- 단순하게 나눈 화장실의 평균 대기시간은 여성이 6분 19초, 남성이 11초인데 반해 교수팀이 제안한 여성과 남성이 함께 사용하는 ‘성중립화장실’의 평균 대기시간은 여성이 1분 27초, 남성이 58초로 시간의 차이가 현저하게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어요 ... ...
- [한페이지 뉴스] 이산화탄소 줄이려 쓴 천연가스, 대기 중 메탄 농도 높였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약 15% 증가했다. 연구팀은 그 원인이 천연가스 사용 증가에 있다고 분석했다.잭슨 교수는 “미국을 비롯해 세계적으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고자 천연가스를 생산하는데, 이 과정에서 대량의 메탄이 발생해 대기 중 메탄 농도가 증가했다”며 “전체 메탄 배출량을 감소시키려면 소 사육두수와 ... ...
- [때문에 과학] 1탄. 꿀잠 좌우하는 심부 체온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제거하는 약물을 주입했을 때는 수면 부족에 따른 증상들이 계속 나타났다. 로굴자 교수는 “항산화제라는 하나의 수단으로 죽음을 막았다는 것은 곧 수면 부족으로 인한 여러 이상 증상이 활성산소라는 한 가지 원인에서 비롯됐음을 뜻한다”고 말했다.인간은 평생의 3분의 1을 잠으로 보낸다고 ... ...
- USA┃INTERVIEW “셜록 홈즈처럼 화성 미스터리 풀겠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e메일 인터뷰를 진행했다. 인터뷰는 비글 부부서장과 사제지간인 김준곤 고려대 화학과 교수가 맡았다. 셜록을 소개해달라셜록은 퍼시비어런스의 로봇팔에 달린 분광분석기로, 분광 이미지를 찍는다. 분광분석기가 미네랄, 화합물, 유기물 등을 감지하면 함께 장착된 두 대의 현미경이 픽셀당 10. ... ...
- ADHD, 이제 게임으로 치료한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것은 4.9%에 불과하다. 바꿔 말하면 95.1%는 효과에 관한 명확한 증거가 없다는 뜻이다. 김 교수는 “게임 치료는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확실한 대조군 검증을 통해 그 효과가 명확하게 검증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게임과 같은 비약물 치료법은 아직까지 ... ...
- [기초과학의 힘] RNA 연구단,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완벽한 유전체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영화의 한 장면 같기도 했죠.”장혜식 RNA 연구단 연구위원(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은 국립보건연구원에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샘플을 처음 가져왔던 2월을 이렇게 회상했다. 당시는 대구에서 확진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직후였다. 김빛내리 단장(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이 이끄는 RNA ... ...
이전2282292302312322332342352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