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2년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 ┃사스와는 다른 ‘중동의 사스’ 메르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는 2012년 6월 24일 이집트 바이러스 학자 알리 무함마드 자키 아인샴스대 의대 교수가 급성 폐렴 증상을 보인 사우디아라비아 환자의 허파에서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MERS-CoV)를 발견하면서 처음 알려졌다. 메르스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처음 보고된 이후 중동지역에서 지속해서 발생하고 있는 ... ...
- 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존재하고 있을 가능성은 다분하다. 케네스 스테드만 미국 포틀랜드주립대 생물학과 교수는 2018년 2월 국제학술지 ‘천문생물학’에서 우주 공간에 바이러스가 존재할 가능성은 충분하지만, 현재 우주 생명체 탐색 방법이 세포성 생명체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어 바이러스를 발견하기 어려울 ... ...
- Chapter 05. 노벨상┃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바이러스 파헤친 수상자들1954년 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배양하다1969년 바이러스의 복제 과정을 밝히다2008년 에이즈와 자궁경부암 바이러스를 발 ... 알아내다 ○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_ 피터 찰스 도허티 호주 멜버른대 교수 ... ...
- 1972년 항체의 구조, Y를 알아내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부분을 구성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같은 시기 대서양 건너편 영국 런던대에서 면역학 교수로 재직하던 로드니 포터도 항체를 연구하고 있었다. 포터는 항체가 항원과 결합하는 부위를 알아내고자 했다. 포터는 단백질을 분해하는 파파인 효소로 항체를 세 부분으로 나눴다. 이 중 두 개는 동일하며 ... ...
- 1987년 항체 다양성을 유전자로 설명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일본의 분자생물학자이자 면역학자인 도네가와 스스무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 “믿기지 않는다”던 그의 수상 소감과 달리, 학계는 그가 면역학 발전에 기여한 바에 비하면 너무 늦은 수상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도네가와는 인체가 다양한 항체를 생성할 수 있는 유전적 원리를 밝혔다. ... ...
- 수족관 탈출! 바다로 풍덩! 고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대표), 조약골(핫핑크돌핀스 공동대표), 천명선(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인문사회학 교수), Andy Bool(SEA LIFE Trust 대표), SEA LIFE TRUST Beluga Whale Sanctuary, The Whale Sanctuary Project ★ 참고핫핑크돌핀스, RiRi, 201 ... ...
- [이달의 과학사] 금보다 비쌌다고? 알루미늄 제련법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마틴 홀은 대학생 시절 ‘알루미늄 제련법을 발견하면 엄청난 부자가 될 것’이라는 교수의 말을 듣고 연구를 시작합니다. 1886년, 그는 ‘빙정석’을 이용해 알루미늄을 녹인 후 전압을 걸어 순수한 알루미늄을 추출하는 ‘전기분해법’을 개발해요.그런데 이 방법을 발견한 사람은 찰스 마틴 홀 ... ...
- [포토뉴스] 피겨 스케이팅 기술, 수학으로 연마한다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수학 모형을 개발했다고 5월 25일 발표했습니다.바크탕 푸트카라즈 수학 및 통계학과 교수팀은 2019년 11월 학술지 ‘비선형 과학’에 발표한 논문에서 스케이트를 날이 움직이는 방향을 따라 마찰 없이 빙판 위를 미끄러지는 물체로 가정했습니다. 그리고 스케이트의 속도와 위치, 질량 중심 위치 ... ...
- [수학뉴스] ‘7차원 초구’ 미스터리 풀렸다수학동아 l2020년 07호
- 거죠. 1960년대에 처음 제기된 뒤 약 60년 동안 풀지 못한 문제를 해결한 겁니다. 케린 교수는 “10년 동안 마음속에 간직하고 있던 아이디어로 문제를 풀었다”며, “이번 연구에서 더 재미있는 수학 문제가 파생돼 나오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는 수학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학술지인 ...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2. 외계인을 어떻게 찾아?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있습니다. 2019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미셸 마요르 스위스 제네바대학교 천문학과 명예 교수는 시선속도 방법을 사용해 최초의 외계행성을 발견했습니다. ☆ 렌즈 역할하는 천체로 찾는 ‘미시중력렌즈 방법’ 중력에 의해 빛이 굴절되는 현상을 ‘중력렌즈 현상’이라고 불러요. 특히 ... ...
이전2312322332342352362372382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