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의 일본유학일기] 메이커의 성지, 공방에서 프로젝트를!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일이 점점 제한되며 무력감에 빠져 한동안은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았다. 그러나 주변 교수님, 친구들이 이런 상황에서도 연구에 매진해 성과를 내는 것을 보고 자극을 받았다. 나도 가만있지 않고 할 수 있는 일을 찾아보겠다고 다짐한 후 한 일이 지금의 인턴십이다. 인턴십을 하면서 ... ...
- [기획] 장난감의 변신! 다양성의 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봤어요. 이곳은 대학교에서 금속공학을 연구하시던 김종일 교수님이 2011년 퇴임 후, 동료 교수와 대학 동기들을 모아 설립한 장난감병원이에요. 아이들이 물건의 소중함을 깨달을 수 있도록 돕고, 장난감 재사용을 통해 친환경적인 사회를 만들기 바라는 마음을 모은 곳이에요. 할아버지 의사 여덟 ... ...
- [특집] 세 장, 냄새나도 괜찮아! 또~옹을 연구한 사람들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수가 아닌 어떤 시간 동안 걷는 사람이 노출된 비둘기 똥의 수로 보는 거예요. 올로프슨 교수는 수의사의 의견과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비둘기가 12분마다 1번씩 똥을 누는 것으로 가정했어요. 그러면 서울 시내 100m2를 2시간 동안 쉬지 않고 걸어 다니는 동안 노출되는 평균 비둘기 똥의 수는 다음과 ... ...
- 예술가가 알고리듬을 공부하는 이유는?수학동아 l2020년 08호
- 활용했습니다. 펄린 노이즈 알고리듬은 1980년대 켄 펄린 미국 뉴욕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가 지형이나 눈 같은 자연 현상을 현실감 넘치게 표현하기 위해 개발한 알고리듬입니다. 예를 들어 산맥에 있는 산의 높이는 무작위하면서도 특정 구간 안의 값을 가져야합니다. 말도 안 되게 들쭉날쭉하면 ... ...
- [매스미디어] 시네마틱 드라마, SF8수학동아 l2020년 08호
- 1973년부터 진행되고 있다. 자퀴스 비달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캠퍼스 교수가 식물인간 환자와 소통하기 위해 뇌와 기계를 연결하는 아이디어를 떠올린 게 그 시작이었다.그리고 46년이 지난 2019년 7월 16일, 늘 상상만 했던 기술을 개발해 세상을 놀라게 했던 미국 기업가 일론 머스크가 ... ...
- [한페이지 뉴스] ‘전지적 곤충 시점’ 보여주는 로봇 카메라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카메라를 작동시키자 배터리 사용 시간이 1~2시간에서 6시간으로 크게 늘었다. 골라코타 교수는 “실제 살아있는 곤충의 생태를 1인칭 시점으로 관찰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지금까지 이렇게 작고 가벼우며 무선 촬영까지 가능한 장치는 없었다”며 “초소형, 저전력, 저중량 로봇 ... ...
- 돌멩이 하나에 30억 원? 운석 재테크 해볼까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나이, 아옌데 운석으로 확인진주 운석이 발견된 뒤 최변각 서울대 지구과학교육과 교수팀이 운석을 분석했다. 우라늄-납 동위원소의 반감기를 이용한 연대측정법으로 운석의 나이를 측정하자 45억9700만~44억8500만 년 전에 생긴 물질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이후 국제운석학회는 이 운석의 이름을 ... ...
- [융복합파트너@DGIST] 뇌 속 단백질 조절해 지방 줄인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있는 후보 물질을 밝혀내면 부작용 없는 치료제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김 교수는 현재 뇌대사체학(Neurometabolomics) 연구도 진행중이다. 이는 뇌 기능 조절에 관여하는 핵심 뇌대사체를 규명해 비만, 당뇨, 고혈압 등 대사질환의 기작을 밝히는 연구 분야다. 그는 “뇌대사체학 연구로 ... ...
- [나의 일본유학일기] 동아리, 여행, 프로젝트, 대회로 꽉 찬 여름방학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낼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우리는 음성인식 분야 전문가인 도쿄대 전자정보공학부 교수와 도쿄대병원 이비인후과 의사의 도움을 받아 이런 단점을 해결한 새로운 기기를 개발했다. 손으로 들 필요 없는 목걸이형으로 디자인하고, 음성변환에 쓰이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해 실제 사람 ... ...
- [과학뉴스] 3.5밀리초만에 물체 피하는 드론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피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거예요.연구를 이끈 취리히대학교 다비드 스카라무짜 교수는 “장애물을 빨리 인식하고 피할 수 있다면 드론의 속도도 더 빨라질 것”이라며 “지진과 같은 재난 상황에서 제한된 배터리로 빠르게 비행해 더 많은 사람을 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이전226227228229230231232233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