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2017년 한반도 열대과일 재배 현황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좋겠어! 상큼해지는 한반도동남아로 여행을 가면 시장에서 빼놓지 않고 사는 것이 바로 과일이에요. 망고, 용과, 패션 후르츠 등 새콤달콤한 열대과일들은 보기만 해도 군침이 돌지요.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도 다양한 열대과일이 재배되고 있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한반도의 기온이 오르면서 ... ...
- [현장취재 1] 2018 첫 특별탐사, 나무를 톡톡 치자 하늘소가 툭툭!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9일, 10여 명의 사람들이 한 손엔 곤충 채집망을, 다른 한 손엔 채집통을 들고 모였어요. 바로 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과 서울대학교 곤충계통분류학 연구실 이승현 연구원과 호서대학교 생명과학과 최웅 연구원이 었지요. 이들은 한 시간 가량 강원도 홍천 내린천 주변의 작은 산을 올랐어요 ... ...
- [팩트체크 5] DMZ, 평화지대로 거듭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만든 독일 ‘그뤼네스 반트’우리나라보다 먼저 통일을 경험한 나라가 있어요. 바로 ‘독일’이에요. 독일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배하면서 동독은 소련이, 서독은 연합군의 통치를 받게 됐어요. 이후 1949년부터는 각각 다른 정부가 들어서면서 분단 국가가 됐다가 약 40년 뒤인 1990년 10월 3일에서야 ... ...
- [엉뚱발랄 생각 실험실] 빛의 속도로 달리면서 거울을 볼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원리를 받아들이면서 빛의 속도가 일정하다는 사실도 받아들이는 이론을 발표해요. 그게 바로 1905년에 발표한 ‘특수 상대성 이론’이랍니다. 아인슈타인은 특수 상대성 이론을 통해 각자에게 자기만의 시간과 공간이 있다는 놀라운 주장을 해요. 특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빛의 빠르기로 달리는 ... ...
- 한 달 먼저 뽑아 본 2018년 10대 과학 뉴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지적한다. 03 스티븐 호킹 타계 “This was the Big Bang, the beginning of the universe(이것이 바로 빅뱅, 우주의 시작입니다).” 마르고 작은 체구에, 거의 한평생을 휠체어에 갇힌 채로, 목소리마저 기계음에 의존해야 했지만, 생각만큼은 광활한 우주를 날아다녔던 그가 별이 돼 떠났다. 3월 14일 ...
- Part 2.깃털의 원조는 공룡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날개를 이용해 하늘을 날 수 있었을까. 비행을 하려면 깃털만큼이나 중요한 게 있다. 바로 날개 모양이다. 하늘의 곡예사인 오늘날의 새는 날개 끝의 깃털이 가장 길다. 안키오르니스의 경우 날개 끝이 아닌 앞발목 부위의 깃털이 가장 길다. 어정쩡한 모양이다. 그래서 학자들은 안키오르니스가 ... ...
- 허리 고치는 수술 로봇 ‘닥터 허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전임상시험을 진행했고, 이를 통해 안전성과 성능을 확인했다. 그리고 10월 24일 카데바로 진행한 마지막 전임상시험을 통해 임상시험을 위한 만반의 준비를 마쳤다. 현재 닥터 허준은 상용화를 위한 전기전자 안정성 시험과 인허가 절차를 밟고 있다. 인허가가 끝나면 로봇과 함께 상용화에 들어갈 ... ...
- [과학자의 부엌] 진공과 온도의 효과적인 만남 수비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속 수분은 40도에서 끓게 됩니다.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도 음식을 익힐 수 있는 이유는 바로 진공 덕분입니다. 현재 식품용으로 사용되는 진공 포장기 내부의 공기압력은 대개 5~10토르(Torr·1토르는 표준대기압의 760분의 1) 정도입니다. 수비드 조리법은 적절한 진공포장재를 선택해야 하는데, 일단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조르당 곡선에서 정사각형을 찾아라! 내접 사각형 문제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처음 점과 끝점만 만나게 아무 선이나 그려보세요. 원도 좋고 아메바 모양의 구불구불한 곡선도 좋습니다. 이제 이 선 위에 네 점을 골라 정사각형을 그려보세 ... 아직 아무도 생각하지 않은 더 재미있는 좋은 문제를 만들어보고 풀려고 생각해보면 어떨까요? 그게 바로 수학 연구입니다 ... ...
- part 3. 최석정의 10차 라틴방진은 ‘아벨 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보이더군요! 전격 비교! 백자생성순수도 vs 아벨 군 위에 최석정이 쓰고 있는 표가 바로 백자생성순수도에 있는 10차 라틴방진, 오른쪽 아래 아벨이 쓰고 있는 표가 아벨 군을 이루는 의 덧셈표예요. 서로 달라 보이지만, 위 대응 규칙에 따라 바꾸면 같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아벨 군이 ... ...
이전2272282292302312322332342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