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팩트체크 4] DMZ, 멸종위기종의 천국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65년 간 인간 없는 세상, DMZ한반도에는 65년 간 미스터리로 남아있는 지역이 있어요. 바로 폭 4km, 길이 248km인 비무장지대(DMZ)지요. 이곳은 남한과 북한이 전쟁을 멈추기로 하는 ‘정전협정’을 맺으면서 생긴 지역으로, 휴전선에서 남북으로 2km까지 군사시설을 배치하지 않기로 약속한 곳이지요. ... ...
- 한 달 먼저 뽑아 본 2018년 10대 과학 뉴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지적한다. 03 스티븐 호킹 타계 “This was the Big Bang, the beginning of the universe(이것이 바로 빅뱅, 우주의 시작입니다).” 마르고 작은 체구에, 거의 한평생을 휠체어에 갇힌 채로, 목소리마저 기계음에 의존해야 했지만, 생각만큼은 광활한 우주를 날아다녔던 그가 별이 돼 떠났다. 3월 14일 ...
- Part 2.깃털의 원조는 공룡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날개를 이용해 하늘을 날 수 있었을까. 비행을 하려면 깃털만큼이나 중요한 게 있다. 바로 날개 모양이다. 하늘의 곡예사인 오늘날의 새는 날개 끝의 깃털이 가장 길다. 안키오르니스의 경우 날개 끝이 아닌 앞발목 부위의 깃털이 가장 길다. 어정쩡한 모양이다. 그래서 학자들은 안키오르니스가 ... ...
- 허리 고치는 수술 로봇 ‘닥터 허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전임상시험을 진행했고, 이를 통해 안전성과 성능을 확인했다. 그리고 10월 24일 카데바로 진행한 마지막 전임상시험을 통해 임상시험을 위한 만반의 준비를 마쳤다. 현재 닥터 허준은 상용화를 위한 전기전자 안정성 시험과 인허가 절차를 밟고 있다. 인허가가 끝나면 로봇과 함께 상용화에 들어갈 ... ...
- [과학자의 부엌] 진공과 온도의 효과적인 만남 수비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속 수분은 40도에서 끓게 됩니다.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도 음식을 익힐 수 있는 이유는 바로 진공 덕분입니다. 현재 식품용으로 사용되는 진공 포장기 내부의 공기압력은 대개 5~10토르(Torr·1토르는 표준대기압의 760분의 1) 정도입니다. 수비드 조리법은 적절한 진공포장재를 선택해야 하는데, 일단 ... ...
- part 5. 수학 여행 체험 활동지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이름의 앱도 누구나 쓸 수 있어요. 우리 크루는 이번 여행을 성공적으로 마치면 바로 올해 크리스마스부터 산타가 될 수 있습니다. 벌써부터 설레는데요, 그럼 떠나볼까요~ ... ...
- 우수영 서울시립대 입학처장 - “서류 비중 높여 면접 부담 줄였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있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2019학년도에는 논술전형에도 중요한 변동사항이 있다. 바로 학교장 추천제 폐지다. 2018학년도 선발까지는 학교장의 추천을 받은 학생에 한해서만 논술전형에 지원할 수 있었다. 하지만 2019학년도부터는 학교장 추천이 폐지돼 고교 졸업(예정)자나 졸업과 동등한 ...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12] 왜 대학은 독서를 중요하게 생각할까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언어로 쓰는 것이 대학과 그 이후의 공부다. 그리고 이 모든 과정에 녹아있는 것이 바로 독서다. 이는 단순히 학업적인 차원에서만 필요한 것이 아니다. 현행 교육과정은 창의융합형 인재 육성에 방점이 찍혀 있다. 학생부종합전형이 현행 입시의 ‘대세’가 된 것 또한 이런 교육과정의 방향 ... ...
- ‘영원’을 쫓는 수학자, 2018 대한수학회 학술상 최영주 포스텍 교수수학동아 l2018년 12호
- 것을 하자고 다짐했어요. 만약 재기어 말만 듣고 문제 풀기를 주저했거나 틀렸다는 말에 바로 물러섰다면 이 아름다운 정리를 완성할 수 없었을 테니까요. ● 내일의 수학자에게 Q. 수학자가 되고 싶은 독자에게 조언해주신다면? 수학 강연이나 세미나가 있으면 꼭 찾아 들으세요. 예전에는 그런 ... ...
- [팩트체크 5] DMZ, 평화지대로 거듭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만든 독일 ‘그뤼네스 반트’우리나라보다 먼저 통일을 경험한 나라가 있어요. 바로 ‘독일’이에요. 독일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배하면서 동독은 소련이, 서독은 연합군의 통치를 받게 됐어요. 이후 1949년부터는 각각 다른 정부가 들어서면서 분단 국가가 됐다가 약 40년 뒤인 1990년 10월 3일에서야 ... ...
이전2282292302312322332342352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