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대전 사이언스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어린이들 주목! 오는 10월 19일부터 4일간 과학의 도시, 대전에서 신나는 축제가 열려요. 바로 2018 대전 사이언스페스티벌이지요! 로봇과 VR 체험은 물론, 인기 크리에이터 허팝의 과학쇼까지 다양한 프로그램이 준비돼 있지요. 또 어떤 재미난 일들이 기다리고 있을지 미리 살짝 살펴 봐요~! VR ... ...
- 달나라 여행 광산 투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풍부하다보니, 달에 있는 자원을 채굴할 목적으로 달 탐사를 계획하는 곳도 있어요. 바로 미국의 민간 기업 ‘문 익스프레스(Moon Express)’예요. 문 익스프레스는 2016년, 민간 최초로 달에 착륙해도 된다는 미국 정부의 승인을 받기도 했지요. 문 익스프레스는 2020년까지 달의 암석을 상업적으로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수학으로 만드는 예술 퍼즐램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다면체이지요. 아르키메데스 다면체의 각 면의 중심을 꼭짓점으로 하는 입체도형이 바로 ‘카탈란 다면체’예요. 따라서 카탈란 다면체의 꼭짓점 개수는 아르키메데스 다면체의 면의 개수와 같지요. 마름모삼십면체는 아르키메데스 다면체의 십이이십면체로부터 나온 입체도형이랍니다. 미션 ... ...
- 달나라 여행 가이드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미국 민간기업 ‘스페이스X’에서는 세계 최초의 달 여행자가 결정됐다고 발표했어요. 바로 일본 패션기업 조조의 설립자 마에자와 유사쿠였지요. 유사쿠 설립자는 2023년, 전세계 6~8명의 예술가와 함께 우주 왕복선 ‘빅 팰컨 로켓(BFR)’을 타고 일주일 정도 달 궤도를 돌아볼 예정이랍니다. 이로써 ... ...
- 달나라 여행 주의사항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지구에 있는 가족들에게 연락하기 어려울 거예요. 달의 뒤쪽에서는 지구까지 전파를 바로 보낼 수 없기 때문에 통신이 어렵거든요. 달은 자전 주기와 공전 주기가 모두 약 27.3일로 같아요. 달이 스스로 한 바퀴 도는 동안 지구도 한 바퀴 공전하지요. 그래서 지구에서는 늘 달의 앞면밖에 볼 수 ... ...
- [실전! 반려동물] 호야가 하루종일 발만 핥아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수 있답니다. 강박증의 원인은 수만 가지!강박증을 해결하는 방법은 딱 한 가지예요. 바로 강박증을 일으킨 원인을 없애는 것이지요. 주변 환경, 질병뿐만 아니라, 과거의 경험, 유전적 요인 등 굉장히 다양한 원인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각각 잘 따져 봐야 해요.우선 부모나 형제도 비슷한 ... ...
- 달나라 여행 떠나는 사람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것부터 실험해볼 거예요. 지금 연구를 이끌 연구자 4명을 선정한 상태예요. 그 중 한 명이 바로 한양대학교 이태식 교수님이랍니다. ● “처음으로 정착할 우주는 달 아닐까요?” - 앤디 위어(, 작가) SF 소설 으로 유명한 미국 작가 앤디 위어는 지난해, 후속작 ... ...
- [통합과학 교과서] 공간 조절 능력 획득!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그런데 빈 공간이 있으면 위에서 누르는 무게를 견디지 못해 땅이 무너지게 되지요. 이게 바로 싱크홀이에요. 그런데 최근 싱크홀은 대부분 도시 내에서 발생하고 있어요. 지난 9월 6일에는 가로, 세로 50m 크기의 땅 꺼짐 현상으로 서울의 한 유치원 건물이 10°가량 기울며 무너져 내리는 사고가 ... ...
- 트와일라잇 존, 바다눈이 지구온난화 막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바다 생물만 피해를 입는 게 아니야. 트와일라잇 존은 아주 중요한 일을 하고 있거든. 바로 지구온난화를 막는 일이지! 동물플랑크톤, 야식 먹으러 매일 1km 오르락내리락트와일라잇 존의 동물플랑크톤과 어린 어류 일부는 밤이면 수면 가까이 올라왔다가 해가 뜨면 다시 내려가는 ... ...
- AI 기자 경기 내용을 분석해서 담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문장, 내용을 담은 기사를 완성하면서 심사위원들의 주목을 받았어요. 그 주인공은 바로 싯 리포터(SIIT-Reporter) 팀이랍니다. “최신 축구 기사를 보며 필요한 통계 데이터를 공부했어요!”싯 리포터 팀의 리더인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주동규 박사과정 연구원은 팀의 전략에 대해 “최근 보도된 ... ...
이전2232242252262272282292302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