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뚜뚜우, 비밀 신호 전송! 모스 전신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이번 수업시간에 만든 전신기에는 실제 ‘모스 전신기’에는 없는 부품이 하나 있어요. 바로 작은 컴퓨터라 불리는 ‘아두이노’지요. 아두이노는 2005년 이탈리아 마시모 반지 교수가 교육용으로 개발한 도구로, 다양한 센서나 부품을 연결하고 프로그램을 적용해 간단한 로봇이나 스마트 기기 ... ...
- Part 2.지금의 별자리는 누가 정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통일시키기로 했어요. 그리고 1928년에 88개의 별자리를 공개했지요. 우리에게 친숙한 바로 그 별자리예요. ●변광성 : 시간에 따라 밝기가 변하는 항성. 현재 천문학 연구에서는 천체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좌표계를 사용해요. 하늘을 가로와 세로로 나누어 각도를 표시하면 천체의 위치를 ... ...
- Part 4. 실크로드 사람이 없어도 뱃길 OK!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친환경 연료를 사용하면서 운항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어요. 그 중 하나가 바로 전기로 움직이는 자율운항선박 ‘야라 버클랜드호’예요. 야라 버클랜드호는 노르웨이 농업회사 야라 인터내셔널과 선박 기술 회사 콩스베르그 그루펜이 함께 만들고 있어요. 2017년 10월에는 80m 길이의 ... ...
- Part 3.감마선 별자리, 하늘을 수놓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88개의 별자리로 가득 차 있다고? 그러면 헐크나 고질라 같은 새 별자리 친구들은 뭘까? 바로 눈에 보이지 않는 별들로 만들어진 감마선 별자리야! 페르미 망원경, 하늘에 감마선 별자리를 그리다! 지난 10월 18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과학자들이 21개의 새로운 별자리를 만들었다는 소식이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저씨의 탈출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과학자들은 이 질문을 살짝 비틀어서 새로운 질문을 던졌어요. 바로, ‘눈송이는 어떻게 녹는가?’라는 질문이지요. 무엇을 위해 이 연구를 시작한 걸까요? 답은 ‘눈에 의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예요. 눈은 비와는 달리 어딘가에 쌓이기 때문에 강설량과 더불어 ... ...
- [실전!반려동물] 댕댕이를 살리는 응급처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출혈이 멈추지 않으면 최후의 수단으로 신발끈이나 스타킹, 넥타이 등으로 상처 바로 윗부분을 꽉 조여 주세요. 이때 10분마다 매듭을 잠시 풀어야 괴사를 막을 수 있답니다. 출혈로 인해 체온이 낮아질 수도 있으므로 동물병원에 도착할 때까지 담요나 옷으로 온몸을 감싸 주는 것도 잊지 마세요 ... ...
- Part 2. 평범한 일상도 우주 실험이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수 없다는 점이다. 그래서 미국항공우주국은 우주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를 우주에서 바로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중이다. 그중 하나는 쓰레기를 소형 원자로에서 분해시켜 물, 산소 등의 물질을 뽑아내고 나머지 물질을 버리는 방법이다. 이렇게 하면 쓰레기를 재활용할 수 있을 뿐더러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저씨의 배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작동시켰어?” “아니. 나한테 피젯스피너가 없어!” “뭐라고? 앗, 저기 아저씨다!” 바로 앞 차에 아저씨가 보였어요. 그리고 세 번째 아이템이 아저씨의 손에 들려 있었지요. “아저씨가 빼앗아 간 거야? 아저씨는 정말 우리의 적이었어!” 그 순간, 앞차가 덜컹하고 흔들리더니 채윤이와 ... ...
- [시사과학 뉴스] 햄에서 나온 세균, 왜 문제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세균이 있다면 10일 뒤 그 수가 엄청나게 불어나겠지요. 이때 통조림이 부풀어오르면, 바로 ‘세균이 있다’고 판정하고, 부풀지 않으면 햄의 일부를 떼어내 다시 ●배지에서 배양해요. 이번에 문제가 된 런천미트는 통조림이 부풀지 않아 추가 실험을 진행했답니다. 하지만 이 시험만으로는 어떤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매리는 색깔을 맞힐 수 있을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본다면 먼저 모양을 보고 바나나라고 추론할 수 있을 거예요. 그리고 “노란색은 바로 이런 느낌이구나!”라고 말하지 않을까요? ▶이 질문이 왜 중요할까? 매리의 방 생각 실험을 고안한 프랭크 잭슨은 매리가 빨강이나 노랑의 느낌을 알 수 없다고 주장했어요. 나아가 이 세계가 자연과학의 ... ...
이전2212222232242252262272282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