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d라이브러리
"
사람
"(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중 생태계, 미학의 과학 아쿠아스케이프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집안 풍경이 묘사돼 있다. 이미 300여 년 전부터 실내에 관상용 어항을 두고 생활하는
사람
이 꽤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19세기에는 과학과 기술의 도움을 받아 더욱 정교한 ‘물 생활’이 가능해졌다. 단단한 유리 수조와 기계식 공기 주입기 등이 개발됐다. 이들은 원래 수생 식물을 연구할 ... ...
[논문탐독] 세포를 시공간적으로 살피다, 4D 뉴클레옴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발현을 조절하는 ‘인핸서’인간 게놈 프로젝트를 시작한 1990년대만 해도 과학자들은
사람
의 DNA 염기서열을 알아내면 생명의 모든 비밀을 파헤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하지만 DNA 염기서열과는 상관없는 다양한 요인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는 후성유전학 개념이 등장하면서 생명이 보다 ... ...
기계학습, 너는 어떻게 학습하니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주로 데이터를 분류하거나 알 수 없는 값을 예측할 때 사용하죠. 최고의 바둑기사는
사람
이 아니다? 2016년 바둑 AI 알파고(AlphaGo)가 이세돌 9단과 대결해 4승 1패로 승리를 거뒀습니다. 16만 개의 기보로 바둑을 학습한 알파고는 자기 자신과 수많은 바둑을 두며 바둑을 익혔죠. 이처럼 알고리듬에 ... ...
전략 회의 10분 전! 폴리매스란 무엇일까?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어떤 문제가 좋은가에 대한 기준을 굳이 정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분명한 건 많은
사람
에게 흥미를 끌지 못하는 문제들은 그 자체로 의미를 갖기 어렵다는 겁니다. “계산 반복 문제만 아니라면 모든 문제는 의미 있습니다” 보기엔 짧고 노력 없이 낸 문제 같아보여도 그 풀이는 단순하지 않을 ... ...
후쿠시마 오염수, 수학으로 계산해보니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채취해 모니터링합니다. 채취한 바닷물 속 방사성 물질을 분석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사람
들도 있습니다. 바로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환경실 연구원들입니다. 연구팀은 2020년 10월에 방사성 물질을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법을 개발했습니다.김현철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환경실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대칭과 주사위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합니다.코로나19가 길어지면서 실내 활동이 늘어나 다양한 보드게임을 취미로 하는
사람
들이 많아졌습니다. 주사위 속 숨어있는 대칭을 함께 생각해 보면서 게임을 즐겨보는 건 어떨까요? ... ...
[이달의 수학자] 존 내시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8년 19세의 나이로 박사과정 진학을 준비하던 내시의 추천서에 석사과정 지도교수가 “이
사람
은 수학 천재다”라는 단 한 문장만 적었다는 유명한 일화도 있죠. 이후 내시는 1950년 5월에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으로 ‘비협력 게임’을 제출했는데요. 이 논문으로 1994년 노벨 경제학상을 ... ...
생명을 살리는 기적의 ‘1시간'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6호
도움이 필요해요. 환자를 실은 구급대가 먼저 지나갈 수 있도록 양보하거나, 쓰러진
사람
을 보고 119에 신고하거나, 긴급상황에서 쓸 수 있도록 심폐소생술을 배워두는 일이 모두 골든타임을 지키는 일이지요. ○ 생명 살리는 소방차의 골든타임은 5분! 119 소방차의 ‘골든타임’은 5분입니다. ... ...
[그래프뉴스]교가와 교훈에 성차별 내용이?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6호
169곳 가운데 54곳이 편견을 담은 교가를 가지고 있었어요 ※ 용어 설명자주적 : 다른
사람
의 보호나 간섭을 받지 않고 자기 일을 스스로 처리한다는 뜻이에요.편향적 : 한쪽으로 치우친 경향을 ... ...
[진실 혹은 거짓] 수학으로 사건 해결! 거짓 법과 수학, 우리 친해요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찾아낸 사건에서 진실 혹은 거짓을 가려보자. 법과 수학을 오가며 훌륭한 활동을 펼친
사람
이 있어. 바로 피에르 드 페르마야. 페르마는 오랜 시간 동안 수많은 수학자가 도전했지만 결국 360여 년이 지나서야 해결된 수학 문제,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만들었지.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풀기 ... ...
이전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