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d라이브러리
"
사람
"(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Vegan Fashion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더욱 어렵다. 그럼에도 식생활을 넘어 삶의 다른 영역에서도 비건의 정신을 실천하는
사람
은 점차 늘고 있다. 패션과 화장품 등 일상으로 확대되는 비거니즘 경향을 살피고 이를 가능케 한 기술을 알아봤다.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채식만으로 충분히 멋지다Part1. [특집] 비건 ... ...
[특집] 비건 패션, 트렌드가 되다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더욱 많은
사람
에게 확산됐다. 여기에 개인의 건강을 위해 고기 대신 채소를 선택하는
사람
들이 가세하며 비건 시장은 나날이 커지고 있다.한국채식협회에 따르면 국내 채식 인구는 2008년 15만 명 수준에서 2018년 150만 명으로 10년 만에 10배 증가했다. 비건 시장이 무서운 성장세를 보이며 비거니즘의 ... ...
“과학과 지식 공유 막아선 안 돼”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그는 “어쨌거나 사이허브는 세계에 많은 질문을 던졌다고 생각한다”며 “사이허브에
사람
을 살리는 정보와 인류를 이끄는 지식이 담겨있다는 것만은 분명한 진실”이라고 덧붙였다 ... ...
[논문탐독] 세포를 시공간적으로 살피다, 4D 뉴클레옴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발현을 조절하는 ‘인핸서’인간 게놈 프로젝트를 시작한 1990년대만 해도 과학자들은
사람
의 DNA 염기서열을 알아내면 생명의 모든 비밀을 파헤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하지만 DNA 염기서열과는 상관없는 다양한 요인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는 후성유전학 개념이 등장하면서 생명이 보다 ... ...
야생을 잊은 노란 부리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자르기로 했다. 그 뒤 마취를 했다. 마취를 하지 않으면 야생동물이 발버둥치다가
사람
과 동물 모두 위험해질 수 있다.코핑을 위해선 반려동물용 발톱깎이, 드레멜, 스틱사포, 거즈, 오일이 필요하다. 거즈로 검은머리물떼새의 눈과 구강을 가린다. 코핑 과정에서 나온 부리 가루가 들어갈 수 있기 ... ...
기계학습에 연립방정식이 들어온 순간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사람
은 CCTV를 통해 제품의 불량 여부를 확인합니다. 그런데 어떤 제품이 불량인지 아닌지
사람
이 일일이 정답으로 정해 놓고 컴퓨터에게 알려주기는 어렵습니다. 이런 경우 정답없이 기계를 학습시키는 비지도형 기계학습을 이용해 제품이 불량인지 아닌지 알아내는 거죠.기계학습을 구현하는 ... ...
[매스미디어] 분노의 질주 : 더 얼티메이트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5월 19일 우리나라에서 전 세계 최초로 개봉해 화제를 모으고 있는 영화 ‘분노의 질주 더 얼티메이트’. 그 시리즈의 시작인 ‘분노의 질주(2001)’가 개봉한 ... 답안은 폴리매스 홈페이지에 올라갈 예정입니다. 6월 15일까지 비밀댓글로 답을 달아준
사람
중 2 명을 뽑아 선물을 드립니다 ... ...
[하비맨] 우아한 하비맨의 취미는 피아노 연주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하비맨은 중학교 1학년 이후 피아노 치는 일을 그만뒀다. 주변에 피아노를 잘 치는
사람
이 많아서 특별한 취미가 아니라고 생각한 것. 그런데 어른이 되어 피아노 소리를 들어보니 그렇게 아름다울 수 없었다. 하비맨은 다시 피아노를 신나게 칠 수 있을까? (※편집자 주.취미를 묻는 질문에 언제나 ... ...
[수학자의 연구노트] 예상치 못했던 수학자와의 만남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974년에 발표된 군론 분야의 특수한 결과를 이용하는 풀이였다. 당연히 나 같은 다른 분야
사람
이 풀기는 불가능했던 것이다! 나는 처박아 두었던 노트들을 다시 꺼내 내가 연구해 둔 부분과 웨이스 교수가 보낸 풀이를 연결해 보빌의 문제를 풀어가기 시작했다. 그때부터 두 달 동안 웨이스 교수와 ... ...
[이달의 수학자] 존 내시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8년 19세의 나이로 박사과정 진학을 준비하던 내시의 추천서에 석사과정 지도교수가 “이
사람
은 수학 천재다”라는 단 한 문장만 적었다는 유명한 일화도 있죠. 이후 내시는 1950년 5월에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으로 ‘비협력 게임’을 제출했는데요. 이 논문으로 1994년 노벨 경제학상을 ... ...
이전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