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밑동
내부
밑바탕
밑
어림
속
하단
뉴스
"
아래쪽
"(으)로 총 246건 검색되었습니다.
롤러코스터 타는 기러기, 다 이유가 있답니다~
2015.01.18
머리와 몸의 움직임을 확인했다. 그 결과 잠자리는 먹잇감을 발견하면 우선 멋잇감
아래쪽
에서부터 접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머리를 먹잇감이 있는 방향으로 고정시킨 채 먹잇감의 비행 경로를 따라 비행하며 다가갔다. 잠자리는 먹잇감의 움직임에 따라 자신의 동작을 변화시켰다. ... ...
한국 로봇 ‘휴보’ 더 커지고 더 힘세졌다
2015.01.16
공개된 ‘DRC 휴보 Ⅱ’의 모습. 머리에 카메라와 레이저 스캐너를 설치했다. 정강이
아래쪽
에 바퀴를 달아 급할 때는 주저앉아 바퀴로 이동할 수도 있도록 해 기 능성을 높였다. 155cm였던 키는 168cm로 커졌으며 무게도 25kg 늘어 80kg의 육중 한 체구를 갖췄다. - KAIST 휴머노이드로봇 연구센터 제공 ... ...
초소형 3층 건물 만드는 비법
2015.01.11
있는 신경세포들이 이루고 있는 연결망의 일부다. 표지 사진은 위쪽에 있는 연결망이
아래쪽
과 끊어진 것을 부각시켜주고 있는데 그 이유는 이번 주 네이처 표지 논문이 ‘끊어진 신경의 재생’과 관련된 연구 결과이기 때문이다. 신경세포는 감각이나 생각, 동작 등의 신호를 온몸에 전달하는 ... ...
두 얼굴의 양자역학
2015.01.04
만들어질 것이다. 이중 슬릿 실험에 대한 과학자들의 반응을 모래 시계로 비유한 그림.
아래쪽
이 산 모양으로 쌓이지 않고, 호수에 돌멩이를 던졌을 때 물결처럼 된다고 상상해보자. 언뜻 이해하기 힘들 것이다. 이런식으로 앞뒤가 안 맞는 것 같은 현상이 양자역학에서 가장 어려운 점이다. - ... ...
안구건조증 비상, 인공눈물은 임시방편 해결책은..
동아닷컴
l
2014.12.19
있는 눈물층이 잘 작용할 수 있도록 눈을 자주 깜박이거나 책이나 TV를 눈 위치보다 약간
아래쪽
에 둠으로써 눈꺼풀 틈새를 작게 해주는 것도 좋다. 겨울철은 실내 온도를 18℃ 정도로 유지하거나 가습기를 사용해 습도를 60% 정도로 맞춰주면 눈물의 증발 감소가 가능하다. 또 자동차 히터 바람이 ... ...
뇌는 정말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구별하지 못할까?
2014.12.01
개발했다. 원숭이가 특정한 행동을 할 때 활성화되는 행동뉴런은 전두엽의 전운동피질
아래쪽
(F5라고 부른다)에 있다. 원숭이가 어떤 행동을 하자 특정 뉴런이 활동했다. 예를 들어 어떤 뉴런은 원숭이가 접시 위의 땅콩을 집으려할 때에만 반응했다. 그런데 예상치 못한 현상이 나타났다. 우연히 ... ...
티라노사우루스 때려 눕힌 거대 공룡이 사실은 수영 선수?
2014.09.15
이밖에 목과 꼬리가 유난히 긴 점도 수영 선수로는 좋은 체형이며, 코가 유난히
아래쪽
에 위치한 점도 수중 생활에 도움을 준다. 반면 연구팀은 논문에서 “스피노사우루스의 거대한 등비늘은 물고기의 등지느러미처럼 수영에 쓴 것이 아니라 돛단배의 ‘돛’처럼 자신의 현재 위치를 ... ...
작은 사방댐 하나가 산사태 막아
2014.08.31
많은 양의 빗물이 땅에 스며들어 경사지의 토양층이 한번에 무너져 내리는 산사태에서
아래쪽
의 주거지와 경작지 등을 보호할 수 있다. 이완교 산림청 산사태방지과 사무관은 “숲의 나무를 솎아 베고 가지를 쳐서 나무뿌리를 발달시키는 게 산사태를 막는 가장 기본적인 대책”이라면서도 ... ...
슈퍼컴으로 롤(LOL) 게임 한다면
과학동아
l
2014.07.28
” '슈퍼컴카페'에 참여한 한 고등학생이 전문가의 설명을 받아적고 있다. 사진
아래쪽
에 보이는 장비가 KISTI에서 운영하고 있는 슈퍼컴퓨터 타키온. - 과학동아 이한기 기자 제공 이날 행사는 참가자들이 전문가에게 궁금한 점을 묻고 답하는 토크콘서트와, 슈퍼컴퓨터를 견학하는 프로그램으로 ... ...
‘최신 용암’ 흔적…“한라산은 활화산” 증거 찾았다
채널A
l
2014.07.15
용암이 굳은 흔적인 두꺼운 현무암층이 보입니다. 현무암이 생긴 시기를 파악하기 위해
아래쪽
토양의 연대를 측정해봤습니다. 측정 결과 퇴적층 위쪽 탄화목의 나이는 5000년. 용암층은 적어도 그 이후에 만들어졌다는 뜻입니다. 지금까지 알려진 화산 활동 중 가장 근래의 것입니다. [인터뷰 :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